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방의회 의원의 겸직금지의무에 관한 법제 진단

An Analysis of Obligation of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to Local Council Members

지방자치법연구
약어 : LGLJ
2011 vol.11, no.2, pp.3 - 33
DOI : 10.21333/lglj.2011.11.2.001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58 회 열람

지방의회 의원이 직무에 전념하고 직무수행에 있어서 청렴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법은 지방의회의원의 겸직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원이 해당 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와 영리행위도 금지하고 있다. 지방의회의원의 겸직금지는 1998년 도입이후 그 대상에 대하여 확대와 축소를 반복해 왔으며 최근 개정을 통하여 그 대상을 확대하였다. 현재의 지방자치법의 겸직금지 규정은 그 내용이 불분명하여 해석은 물론 집행에 있어서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우선 지방의원의 활동의 경계를 분명히 명시하는 것이 지방의원은 물론 주민들을 위하여 필요하다. 지방자치법이 규정하고 있는 공공단체는 선출직에 대한 해석의 범위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여야 하며, 통일성을 유지하고 지방의회의 과대화 현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행강제력 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징계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공시제도를 시행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공공단체와 관리인의 의미가 불명확한 점은 공공단체를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출자ㆍ출연한 기관ㆍ단체,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계약 또는 위탁을 통해 그 사무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ㆍ단체, 해당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운영비, 사업비 등을 지원받고 있는 기관ㆍ단체로 명문화하여아 한다. 관리인은 대표, 임원, 상근직 직원과 의결권을 가진 위원회의 장 및 위원으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1차 산업 중심으로 되어 있는 지방자치법 제35조 제5항의 지방의원 겸직금지제도를 현재 산업구조에 맞게 2, 3차 산업으로 재정립하여야 한다. 위반사항이 당연퇴직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정하여 이행강제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의회 내부 윤리강령 등을 통해 겸직할 경우 불이익을 주는 등 제도적으로 겸직금지 대상과 처벌규정을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간접적인 견제장치로 지방의원의 겸직 신고 내역을 의장이 외부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의회 의원의 영리행위를 금지할 뿐만 아니라 본연의 활동인 입법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유급보좌관제나 지방의회직제 신설, 보좌기구 강화 등의 방안이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지방의원의 의정활동비를 합리화하여 지방의원이 영리행위 없이 직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이를 통한 재정부담 완화를 위하여 소의회제 도입, 의원정수 축소 등의 검토될 필요가 있다. 겸직은 그 허용 정도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이 지역 공동체 내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겸직으로 인한 권한의 오남용이라는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형성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의견 청취와 반영은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에게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서 법률에서 겸직금지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이 지방자치제도를 보다 성숙하게 하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Local Autonomy Act enacted obligation of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to local council members to constant in his devotion to duty for local council members and raise the purity and the clarity in performing duties. And Local Autonomy Act enacted to prohibition to seek profit to local council members.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to local council members is enacted in 1998 at first, and hereafter repeated the expansion and reduction in scope and expanded in a recent revision.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to local council members in Local Autonomy Act is inconsistent in interpretation and enforcement. First, clarifying the scope of work in local council members is needed for local council members and local residents. Public organizations in Local Autonomy Act must be applied to scope of interpretation to elected officials, and defined to maintain unity and streamline a bulky local council. Disciplinary action must be prepared and public announcement be reviewed in a way to guarantee fulfillment. Public organization and Manager in Local Autonomy Act article 35(5) shall be redefined more clearly. Local Autonomy Act article 35(5) is defined primary industries shall be redefined to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fit with industrial Structure. It shall be secured legal force by defined whether a violation applied compulsory retirement cause. And It shall be clarified the scope of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and the penalty institutionally, for example, punish local council members holding other jobs by ethics-code. A concurrent office to local council members was largely ambivalent about positive affect to form the community and negative affect to the misuse of authority. But it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to clarify the scope of work in local council members. Because it is important for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citizenry in the formation of policy for local governors and council members.

지방의회의원, 지방자치법 제35조, 겸직금지, 공공단체, 영리행위
Local Council Member, Local Autonomy Act Article 35,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Public Organization, Seeking Profit

  • 1. [단행본] 김동훈 / 2002 / 지방의회론 / 박영사
  • 2. [단행본] 이주희 / 2005 / 지방자치법 해설과 사례 / 기문당
  • 3. [단행본] 정종섭 / 2008 / 헌법학원론 / 박영사
  • 4. [보고서] 최봉석 / 2007 / 지방자치의 기본법리
  • 5. [기타] 행정안전부 / 2008 / 의정비 개정내용과 운영방법, 의회관계관 회의자료
  • 6. [단행본] 홍정선 / 2010 / 신지방자치법 / 박영사
  • 7. [학술지] 김재광 / 2008 / 한국의 고위공직자에 요구되는 청렴성, 도덕성의 기준 / 공법학연구 / 9 (3) : 3 ~ 3 kci
  • 8. [단행본] 김의성 / 2008 / 겸직 및 영리업무 금지 법제 / 법제
  • 9. [학술지] 김해룡 / 2009 / 지방의회 의원의 겸직금지 / 자치행정
  • 10. [학술대회] 라영재 / 2010 / 한국의 지방의회 윤리강령 개선안 / 국민권익위원회 지방의회 개선세미나 발표논문
  • 11. [학술지] 이기우 / 2005 / 지방선거와 정당참여 / 자치행정 (210)
  • 12. [단행본] 이광윤 / 1996 / 행정학과 행정법, 한국행정학의 회고와 전망 / 한국행정학회
  • 13. [학술지] 이종수 / 2006 / 공직취임과 자유위임, 겸직제한 및 이에 따른 민사법적 평가 / 고시계 / 51 (9)
  • 14. [단행본] 서원우 / 1996 / 행정학과 행정법의 대화, 행정개혁과 정책조정 / 한국행정학회
  • 15. [학술대회] 신기현 / 2005 / 지방선거제도 개편의 내용과 평가 / 한국거버넌스학회 2005년 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 16. [학술지] 신봉기 / 2008 / 주민소환법의 위헌 여부 / 공법학연구 / 9 (3) : 493 ~ 3 kci
  • 17. [학술지] 유재원 / 2000 / 지방의원의 대표성 확립방안 / 사회과학논총 / 20
  • 18. [학술지] 최봉기 / 2002 / 지방의정기능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방의원의 역할쇄신과 자질함양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14 (2) kci
  • 19. [학술지] 표시열 / 1999 / 행정학과 공법학의 가교를 위한 실천적 과제: 행정과정에서의 행정절차와 정보공개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
  • 20. [학술지] 허훈 / 2010 / 지방의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실태와 발전방안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2) : 149 ~ 2 kci
  • 21. [학술지] 홍정선 / 2011 / 지방자치헌법 이대로 둘 것인가 / 법연
  • 22. [보고서] 행정안전부 / 2010 / 제6기 전반기 지방의회 현황
  • 23. [단행본] Rohr, John A. / 1986 / To Run a Constitution: The Legitimacy of the Administrative State / Lawrence: University Press of Kansas
  • 24. [기타] Hans-Jurgen Papier / 1984 / DVBl. 1984, S.801ff
  • 25. [기타] Danwitz / 2007 / Grundsatz der kommunale Demokrat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