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생활안전사고의 유형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범위가 광대하며,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위험요인을 내포하고 있어 단일기관에 의한 통합적인 위험관리보다는 다원적인 위험관리가 효과적이다. 특히 지역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고발생지점에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생활안전관리는 중앙부처에 의한 통합관리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주도하에 독자적인 관리체계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활안전분야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개념으로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안전관리체계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효과적인 생활안전관리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으로서 첫째 생활안전에 대한 법적 개념을 확립함으로써 생활안전관리사무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야 하며, 둘째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생활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사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포괄적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생활안전관련사무가 지자체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중앙부처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 때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간의 업무를 명확히 함으로써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전공동체 사업 등 생활안전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사업 등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례제정 등을 촉진하는 방안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생활안전, 재난관리, 안전공동체, 안전관리

참고문헌(12)open

  1. [학술지] 배대식 / 2009 / 안전한 캠퍼스 구현을 위한 생활안전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 구축방안: 미국 주요 대학의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5 (1) : 27 ~ 43

  2. [보고서] 안전행정부 / 2012 / 안심마을 표준모델 구축 시범 사업 추진계획

  3. [보고서] 원소연 / 2013 / 한국형 협력적 거버넌스체계 구축방안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분야 비교사례연구

  4. [보고서] / 2014 / 생활안전제고를 위한 지역안전공동체 구축방안 연구

  5. [학술지] 이재은 / 2007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분류와 운영 방안 모색 / Crisisonomy 3 (2) : 1 ~ 17

  6. [학술지] 이창길 / 2011 /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7 (1) : 23 ~ 42

  7. [단행본] 정지범 / 2012 / 이명박정부 주요정책의 성과와 과제:재난안전관리 / 한국행정연구원 : 764 ~ 801

  8. [보고서] 중앙안전관리위원회 / 2010 /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 2010-2014

  9. [학술지] 채진 / 2013 / 소방조직의 효과적인 생활안전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7 (4) : 47 ~ 55

  10. [보고서] 행정안전부 / 2010 / 안전도시사업 성공모델 개발 및 평가기준 연구

  11. [인터넷자료] /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

  12. [인터넷자료] / 이치가와시 방범마을만들기 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