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사부 정벌 전후의 우산국 토착 사회에 대한 지금까지의 추론은 문헌 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중 고고학 자료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청동기시대 부터 울릉도에 주민이 정주했으며, 이 집단이 훗날 ‘우산국’으로 불리게 될 정치체로 성장했다는 시각으로 이어졌다. 또한 우산국이 본토의 다른 ‘국’들과 비슷한 사회 복합화의 과정을 통해 성장했을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그러나 울릉도 토착 사회의 모습이나 그 성장기반에 대해서는 ‘섬’이라는 경제·사회·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시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되어야지만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 속에서의 울릉도의 역할을 제대로 논의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유물의 실견, 전문가 자문, 기존 해석의 재검토 등의 방법을 통해 소위 울릉도의 ‘선사시대’ 고고학 자료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확실한 신석기시대 유물인 어망추는 존재하나, 그동안 청동기시대 유물로 간주된 홍도는 선사시대로 비정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동기시대 자료로 널리 알려진 무문토기, 갈판과 갈돌, 고인돌 역시 청동기시대로 비정할 확실한 증거가 없음을 밝혀냈다. 울릉도의 고고학 자료에 대한 이와 같은 실증적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사부 정벌 이전부터 울릉도에 거주했던 집단의 실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신석기시대에는 식량 획득 장소로서 울릉도에 대한 계절적 점유가 이루어졌으나, 청동기시대 개시 이후에는 생계전략의 변화로 인해 한동안 울릉도에 사람이 지속적・집중적으로 거주하지 않았음을 추정하였다. 또한 그 이후 어느 시점부터 환동해 서쪽 해역에서 해상 네트워크의 작동이 심화되면서 울릉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기회에 힘입어 해상 활동으로 권력의 기반을 확보한 집단이 울릉도를 지속적으로 점유하여 훗날 우산국으로 성장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토착 사회를 집약적 농경이 아닌 해양 자원이나 해양 교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사회로 바라봄으로써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에서의 울릉도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울릉도가 지표로써, 연안항법으로 항해할 수 있는 바다 범위를 동해의 중심부로까지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Inferences about the nature of Unsan-guk indigenous society around the time of the Silla General Isabu’s conquest have mainly been made based on the historical texts and the archaeological record. Due to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archaeological data, however, the view that people who had settled in Ulleung Island since the Bronze Age had developed into the polity that came to be known as ‘Usan-guk’ has gained currency. In particular, there seems to be the implict view that the pathway towards social complexity in Ulleung Island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the polities of the mainland. However, such a view acts to inhibit the active discussion of the role of Ulleung Island in the prehistoric and historic East Sea Rim interaction network.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so-called ‘prehistoric’ archaeological data from Ulleung Island through methods such as direct observation, expert consultation, and the review of current interpreta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an artifact dating undeniably to the Neolithic period is present (in the form of a distinctive, large fish-net sinker), the red burnished pottery examples that had been dated to the Bronze Age more likely date to the historic period, and that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that the artifacts believed to date to the Bronze Age can be dated as such. Based on this empirical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data, the nature of the group that resided in Ulleung Island prior to Isabu’s conquest is discussed. It is suggested that, in the Neolithic period, the island was a place where food resources were acquired and only seasonal occupation took place. It is also proposed that Ulleung Island was not occupied intensively or permanent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llowing the transition to the Bronze Age as a result of the adoption of new subsistence strategies. From the 2nd century BCE, the importance of Ulleung Island was highlighted as a marine network was formed and began to operate in the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By viewing the indigenous society of Ulleung Island as that which had grown based on marine resources or trade, rather than intensive agriculture, it was possible to adopt a new understanding of Ulleung Island’s role in the prehistoric and historic East Sea Rim interaction network. In particular, it was inferred that Ulleung Island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range of the seas that could be navigated using the method of coastal navigation by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ast Sea.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이사부 정벌 이전으로 소급되는 울릉도의 고고학 자료 검토
3. 이사부 정벌 이전의 울릉도 토착민 집단 추론
4. 울릉도와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의 작동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