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219.119
3.19.219.119
close menu
KCI 등재
청년의 정부 청년정책 신뢰수준 영향변인 분석: 사회·인구학적 특성, 청년의 청년정책에 대한 인식, 청년정책 기대수준, 청년취업 공정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Youth's Confidence Level in Government Youth Polic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Youth's Perception of Youth Policy, Youth Policy Expectation Level, and Youth Employment Fair Level
구철회 ( Chul Hoi Koo )
청소년학연구 29권 7호 309-326(18pages)
DOI 10.21509/KJYS.2022.07.29.7.309
UCI I410-ECN-0102-2023-300-000666954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파악하고, 청년의 청년정책에 대한 인식, 청년정책 기대수준, 청년취업 공정수준이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적실성 있는 청년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연구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사용 척도의 신뢰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Cronbach α계수를 파악하였다. 나이, 경제적 수준, 청년정책에 대한 인식, 청년정책 기대수준, 청년취업 공정수준,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대한 남녀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선택한 변인들이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들의 경제적 수준, 청년정책 기대수준, 정부 청년정책에 대한 신뢰 인식 정도에서 남녀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이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취업 공정수준 인식이 정부 청년정책 신뢰에 추가적인 영향력과 조절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youth policies by identify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lated to young people's trust in government youth policies, and analysing the influence of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youth policies, youth policy expectations, and youth employment fairness levels on government youth policy tru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economic level of young people, the expectation level of youth policy, and the level of trust in the government's youth poli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youth poli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overnment's trust in youth poli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fair level of youth employment has additional influence and control power on the trust in the youth policy in the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in establishing youth policies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