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국 주전선수들의 탁구경기 득점시스템 분석

Analysis of Table Tennis Game and Point System on Ace China Players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약어 : KSME
2012 vol.14, no.3, pp.79 - 93
DOI : 10.21797/ksme.2012.14.3.007
발행기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00 회 열람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주전 남자선수 3명을 대상으로 국제 주요 탁구경기의 득점시스템을 분석하여, 대표선수들의 국제대회 및 올림픽을 대비한 전략적 훈련방안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은 구별 득점률에서 3구, 리시브, 4구의 득점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는 비교적 단순한 기술을 구사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득점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짧은 중앙코스의 A5지역이었다. 리시브 구질은 포커트를 주로 사용(32.6∼45.9%)하였고, 다음으로는 포핸드/백핸드 리시브에서 구사횟수 대비 평균 20%의 득점률이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3구 5구 득점구는 집중적으로 포핸드/백핸드드라이브로 나타났으며, 포핸드드라이브 득점 비율이 3구보다 5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3구와 5구의 득점지역은 대상자 모두 긴 코스의 A1, A2, A3에서 가장 높은 득점률이 나타났다. 4구와 6구의 득점률과 득점지역에서, 대상자들은 3구 5구 조건과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긴 코스의 A3 지역보다 A1 지역에서 득점률이 더 크게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서비스 구사와 득점 빈도가 가장 높은 A5 지역의 조건에서, 연관성 분석에 의한 3구 득점시스템 결과는 다음과 같다. WH는 A5→B5→A3(백핸드드라이브 득점), A5→B6(B1)→A1 (포핸드드라이브), A5→B4→A3(백핸드드라이브), A5→B6(B2)→A2의 순으로 나타났고, ML은 A5→B1→A1(백핸드드라이브)의 득점시스템이 대상자들 중 가장 높은 연관성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는 A5→B1→A3의 백핸드드라이브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는 A5→B4→A2, A5→B6→A2의 중앙코스의 득점시스템으로 나타났다. WL은 A5→B1→A1(A3)의 양핸드드라이브에 의한 득점시스템의 연관성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선수가 짧은 중앙 코스인 B5 지역으로 리시브 할 때 낮은 연관성 빈도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way of preparing for Olympic and international table tennis competitions by analyzing the game contents of the three ace Chinese male pla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that can support the strategic training of Korean national table tennis players. The subjects showed high scoring in third ball(23.2∼29.7%), receive(16.7∼22.7%), fourth ball(12.6∼16.0%) and service(10.8∼17%). The most high scoring area showed A5 of short middle course, service scoring rate were 47.9∼54.0%. Receive ball pitch were forecut(32.6∼45.9%), the next ball pitch rate were average 20% at fore/back drive pitch. When serves were made into A5, the highest scoring system in the third ball for each player were as follows; WH showed order for A5→B5→A3, A5→B6(B1)→A1, A5→B4→A3, A5→B6(B2)→A2. ML showed highest scoring system of A5→B1→A1 by the most association analysis and second highest scoring system were A5→B1→A3. WL’s highest scoring system were A5→B1→A1(A3) and when receives were made B5 of short middle course by opponent, showed lower association analysis rate.

탁구경기내용, 득점시스템분석, 경기분석
Table Tennis, Scoring System Analysis, Datam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