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스노보드 선수들의 하지형태요인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파워의 관련성

Relevance Between Lower Extremity Factors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in Snowboarders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약어 : KSME
2013 vol.15, no.3, pp.77 - 88
DOI : 10.21797/ksme.2013.15.3.007
발행기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08 회 열람

본 연구는 국가대표 스노보드선수들과 프로선수들의 하지형태요인과 전문체력에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하지형태요인과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관련성 중 하퇴장은 Mean power, Peak power, Fatigue Index, Total work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퇴최대둘레는 Mean power, Peak power, Fatigue Index, Total work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퇴최대둘레에서도 Mean power, Peak power, Total work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형태요인과 등속성 근파워의 관련성 중 하퇴장은 PPFR, PPEL, PPER, APEL, APER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퇴최대둘레에서는 PPER, APEL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하퇴최대둘레에서도 PPEL, PPER, APEL, APER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형태요인이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Mean power(하퇴장, 하지장, 대퇴최대둘레), Peak power(하퇴장), Time to peak power(하퇴장, 대퇴피하지방), Fatigue Index(하퇴장), Peak power/kg(대퇴장, 하퇴장, 하지장), Mean power/kg(대퇴장, 하지장), Total work(하퇴장, 하지장, 대퇴최대둘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형태요인이 등속성 근파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PPER(하퇴장), PPEL(하퇴장), APFR(대퇴최대둘레), APEL(하퇴장), APER(하퇴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엘리트 스노보드선수들의 꿈나무 양성 및 우수 선수 선발 시 신체적, 생리적, 체력적 기준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지도자들에게 과학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경기력 향상과 이상적인 신체조성에 필요한 실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levance of lower extremity factors on professional physical strength in snowboarders in the national team and professionals are as follows. For the relevance between lower extremity factors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length of the lower limb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Mean power, Peak power, Fatigue Index and Total work. The maximal circumference of the thigh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Mean power, Peak power, Fatigue Index and Total work. The maximal circumference of the lower leg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Mean power, Peak power and Total work. For the relevance between lower extremity factors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length of the lower limb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PPFR, PPEL, PPER, APEL and APER. The maximal circumference of the thigh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PPER and APEL. The maximal circumference of the lower legs also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PPEL, PPER, APEL and APER. It was shown that lower extremity factors affecte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gave significant effects on Mean power (length of the lower limb, length of legs, maximal circumference of thighs), peak power (length of lower limb), Time to peak power (length of lower limb, thigh subcutaneous fat), Fatigue Index (length of lower limb), Peak power/kg (length of thighs, length of the lowers limb, length of leg), Mean power/kg (length of thighs, length of legs) and Total work (length of the lower limbs, length of legs, maximal circumference of thighs). It was shown that lower extremity factors affecte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gave significant effects on PPER (length of the lower limbs), PPEL (length of lower limbs), APFR (maximal circumference of thighs), APEL (length of the lower limbs) and APER (length of the lower limbs). This study could present physical and physiological standards upon rearing prominent players and selecting good players for elite snowboard players based on the results. It also can provide coaches with experimental data necessary for scientific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on performance and ideal body composition.

스노보드, 하지형태요인, 무산소성 운동능력, 등속성 근파워
snowboard, lower extremity factors,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 1. [학술지] 김만호 / 2005 / 고등학교 투척선수의 체격과 기록의 관련성 / 한국 스포츠 리서치 / 16 (3) : 13 ~ 3 kci
  • 2. [학술지] 김만호 / 2000 / 남자고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체격·체력과 경기성적의 관련성 / 발육발달학회지 / 8 (2) : 69 ~ 2
  • 3. [학술지] 김재호 / 2003 / 경기력 수준에 따른 알파인스키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 및 유?무산소성 능력 발달 특성 / 한국체육학회지 / 42 (6) : 721 ~ 6 kci
  • 4. [학위논문] 박용철 / 2000 / 알파인 스키선수의 등속성 대퇴근적성 및 평형성에 관한 연구
  • 5. [학위논문] 안정현 / 2001 / 알파인 스키선수중 엘리트 선수와 대학서클 선수의 등속성 근력발현 비교
  • 6. [학위논문] 양문선 / 1999 / 알파인 국가대표 스키선수와 크로스컨츄리 국가대표 스키선수의 등속성 운동능력 비교 연구
  • 7. [학술지] 윤영길 / 2006 / 종목에 따른 경기력 구성 요소의 기여도 /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7 (1) : 1 ~ 1 kci
  • 8. [학위논문] 이기홍 / 2001 / 우수 알파인 스키선수들의 경기력 수준별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 및 유·무산소성 능력 비교 분석
  • 9. [학위논문] 이상헌 / 2013 / 수준별 알파인 스노보드 선수들의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 비교 분석
  • 10. [기타] 이준혁 / 2011 / 6번째로 4대 스포츠 이벤트 모두 유치 / 아주경제
  • 11. [학술지] 정소봉 / 2010 / 엘리트 투척선수의 경기력에 대한 체격과 체력의 영향력 분석 / 한국스포츠리서치 / 21 (2) : 63 ~ 2
  • 12. [학술지] 조현철 / 2008 / 경륜선수의 하지형태요인과 경기기록,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와의 관련성 / 체육과학연구 / 19 (1) : 9 ~ 1 kci
  • 13. [학술지] 주기찬 / 1997 / 알파인 스키의 생리학적 고찰 /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 / 6 (1) : 263 ~ 1
  • 14. [학술지] 한동엽 / 2010 / 우수 알파인스키 선수의 세부 종목에 따른 유·무산소성 능력 특성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 : 849 ~ 42 kci
  • 15. [학위논문] 허승은 / 2001 / 알파인스키 국가대표와 국가대표 상비군의 등속성 요부 및 슬관절 근기능 비교연구
  • 16. [학술지] 황경식 / 2005 / 대학운동선수의 종목별 하지형태와 다리신전파워의 상관성 / 한국체육학회지 / 44 (1) : 297 ~ 1 kci
  • 17. [학술지] Beneke, R. / 2002 / How anaerobic is the wingate anaerobic test for human? /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 87 : 388 ~
  • 18. [단행본] Carter, J. E. L. / 1998 / THE Heath-Carter somatotype method / San Diego State University press
  • 19. [단행본] Davies, C. / 1992 / Compendium of isokinetics in clinical usage and rehabilitation techniques / S and S Publishing
  • 20. [학술지] Erikson, K. A. / 1996 / Export and exceptional performance : Evidence of maximal adaption to task constraints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47 : 273 ~
  • 21. [단행본] Malina, R. M. / 1994 / Physical activity: Relationship to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fitness
  • 22. [단행본] Ross, W. D. / 1991 / Kinanthropometry, In Physiological testing of the high-performance athlete / Human Kinetics : 223 ~
  • 23. [학술지] Stanek, Frank / 1996 / Aerobic and Anaerobic power performance of the elite youth alpine ski racer 791 / Med Sci Sports Exerc / 28 (5) : 133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