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Semiotic Translations of Possession: Multidimensionality of Its Embodiment

소유의 기호적 번역 연구: 체현의 다차원성을 중심으로

Abstract/초록/요약

본 연구는 소유(所有, Possession)의 개념적, 현상적 특성에 ‘왜?’라는 질문을 가지고, 소유의 제 관계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새로이 번역학적으로 접근, 그 문제틀을 재고찰함과 동시에 이론 상의 설명적 충족성 (explanatory adequacy)을 확보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소유의 본질적인 번역적 속성(translative nature)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언어학, 기호학, 인지과학, 인지언어학, 심리학, 번역학, 신경과학, 뇌과학, 신경언어학, 역사언어학, 문화연구, 사회학, 어원학, 역사학, 진화 생물학, 발생학, 광고학, 인지기호학, 생물기호학, 영유아 발달심리학, 고전 번역, 과학 철학, 번역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룬 이론적 발달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초학문적 연구방법(a transdisciplinary research method)을 채택, 메타이론을 지향하는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소유의 본질과 함께 그 개념 속성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기호 작용으로서의 번역 개념 (또한 동시에, 번역적 개념으로서의 기호작용)이 어떻게 언어, 인지, 의미, 문화라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을 설명하고 기술해야하는 연구과제에 유용하고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언어와 의미 (해석)의 다양한 층위와 양상을 통해 살펴보고 논의한다. 본 연구의 문제틀은 소유라는 일반적 개념 및 현상과 그 주요 의미 속성들 사이에서 쉽게 파악되는 (하지만 설명하기 힘든) 간극과 관계망에 주목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소유의 개념과 주요 의미 속성들이 지니고 있는 언어 횡단적 특징인 형식 차원의 제약성(i.e., 특정 범주의 단순 언어형식 사용)과 내용 차원의 확장성(i.e., 다양한 의미들의 중층적 결합 및 모호성)이—소유의 보편성이라는 일반화된 전제에도 불구하고—언어학적 연구에 있어서 기술적 충족성과 설명적 충족성 사이에 불균형을 초래한 사실에 주목하고,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 소유 그 자체를 보다 본질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실제 소유의 기원은 무엇인가?’ 그리고 ‘왜 소유 개념과 그 의미속성들은 인간 인지 상에서 그 보편성에 대한 믿음과 해석적 모호성/ 현상적 다양성을 동시에 야기시키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질문이면서 동시에 문제의 핵심인 이러한 연구의 문제틀은 더 나아가, 소유의 본질적 속성(들)이 존재하는지, 그 속성(들)의 내재적 관계는 무엇인지, 번역과 소유 중 실제 보편적 언어 인지(e.g., 개념화 및 문법화) 및 전지구적 문화 작용(e.g., 소유적 행동과 삶의 방식)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지, 언어 표현과 문화 양상을 연결하는 근본적 연결고리는 실제 무엇인지, 오늘날의 소유 개념과 방식을 물질 세계에 대한 경험론적 기술(empirical description)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지 아니면 삶의 올바른 존재론적 그리고 인식론적 이해를 위한 비판의 대상으로 이해해야 하는지 등의 질문들을 제기하고자 한다. 그 문제틀 내에서 일차적인 연구를 위해 형태론적, 의미론적, 통사론적 층위 등 다양한 언어 층위에서 상이성을 가지는 개별 언어의 대표적인 예로 영어와 한국어의 경우를 선정하고, 실제 언어와 문화의 경계를 뛰어넘는 보편적 소유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영어언어학과 한국어언어학 분야에서의 소유구문관련 선행연구들을 우선 조사한다. 언어학 분야에서의 선행연구는 개별 언어의 경계를 넘어서 소유의 의미가 내재적 관계(intrinsic relationship), 전체-부분 관계(part-whole rela-tionship), 통제성(state of control), 수반/ 동반성(comitative/ concomitance), 분리 (불) 가능성(in-/ alienable relationship), 처소/ 공간성 (location/ spatiality), 존재 (existence/ being) 등의 보다 세부적인 의미 요소들에 의해 유형화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편, 문화에 따른 언어 형식의 차이(e.g., 영어의 ‘have’ 동사 vs. 한국어의 ‘있-’ 동사, 영어의 ‘’s’ vs. ‘of’ 그리고 한국어의 사이시옷 vs. ‘-의’)가 심리언어학적 실체를 토대로 한 언어진화적 결과인지 아니면 그 외의 비가시적이면서도 결정적인 외적 인자 또는 인위적/ 의도적 작용이 행사함 으로써 나타나는 부산물적 사회, 문화 현상인지 등과 같은 질문 앞에서는 그 이론적 충족성이 약화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기존의 언어학적 선행연구는 기술적 충족성을 그 강점으로 가지며, 설명적 충족성에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연구되어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소유의 개념을 각 개인, 사회, 문화의 차원에서 특징적으로 구체화하고 담론화시키는 것을 소유 해석에 대한―언어 문화적 측면, 물리역사적 측면, 인류심리학적 측면 등이 강조된―번역적 역사 (translative histories of interpretation)로 파악하였을 때에도 이러한 기술적 충족성의 강세와 그와 대비되는 설명적 충족성의 부족은 해소되지 않는다 (viz., 존재와 소유의 긴밀한 대비 관계에 대한 설명 부재, 소유권(property)의 근원으로서의 소유(possession)에 대한 근원적 설명 부재, 등). 따라서, 본고는 이를 형태-내용, 실체-개념/의미, 몸-마음, 기표-기의, 물질-비물질, 주체-객체 (자아-타자), 이성-비이성, 언어-비언어, 인간-비인간 (cf. 영어 ‘men’ vs. 한국어 ‘인간’), 그리고 소유-무소유 등으로 절단/ 단절시키는 서양 전통적 사고, 즉, 극단적이고 편협한 시각 중심주의(ocularcentrism)에 기반한 절대적 이분법주의(absolutistic dichotomous thinking)를 강조하는 사고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논의의 중심을 언어 현상에서 번역 현상으로 옮기는 노력을 꾀한다. 논의 주제의 복잡성과 다층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번역 개념과 (메타) 번역이론의 범위는 로만 야콥슨이 주장한 삼위론(즉, 언어내 번역, 언어간 번역, 기호간 번역)에서 보다 발전되고 체계화, 상세화된 기호학적 번역이론(STT, Semiotic Theory of Translation)에서 기술하고 설명하는 초기호적 기호로서의 번역(trans-lation as transsigns, transsigns as translation)이 제시하는 함의를 받아들인다(Petrilli 2003; Petrilli and Ponzio 2005; Petrilli 2010; Petrilli 2012; Gorlée 1994; Gorlée 2004). 이와 함께 Lakoff and Johnson(1980/ 2003) 이후로 인지언어학과 인지과학의 이론적 발전에 힘입어 큰 설득력을 얻고 있는 마음/ 인지의 체현(Cognitive Embodiment) 작용을 소유의 측면에서 보다 면밀하게 고려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호적, 인지적 번역을 고려하면, 모든 인간은 개개인이 고유한 기호적 번역을 경험하고 실천하는 근원적 의미의 번역자(human beings as respectively unique translators in a fundamental translative sense)이며 따라서 번역의 기호 작용과 그 범위, 과정(i.e., the semiotics and semiosis of translation)은 협의의 언어 범위와 인간/ 문화 기호계(anthroposemiosphere and cultural semiosphere)를 넘어서 모든 기호계(global biosemiosphere)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고는 다음 단계로, 기호학적 연구 방법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의 질적 연구에 유용한 사유방법인 가추적(abductive) 사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상정하고자 한다. 즉, 인간기호계 (즉, 인간 경험의 영역) 내에서 모든 인간 개개인이 소유를 하나의 원형적인 개념으로 구축(prototypical concept formation) 가능케 하는 경험적 게슈탈트(experiential gestalt)가 존재, 작용하며 이는 실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태아 즉 생명이 어머니의 몸의 일부, 즉, 자궁 내에서 수정, 착상되는 순간부터 (viz., 최초의 전체-부분/ 수반/ 분리 불가능/ 통제/ 공간/ 내재적 관계 게슈탈트 형성) 그에 뒤이어 출생을 거쳐 어머니의 가슴과 얼굴, 눈을 시각, 촉각, 미각, 후각, 등을 매개로 경험하게 되는 수유기간까지—viz., 상징, 표상, 지표적 기호에 대한 몸 중심의 경험, 근본적인 광의의 기호적 번역(semiotic translation; translation as open transsemiotic processes)의 체현, 대상에 대한 개별적 애착 형성—크게 두 종류의 움벨트(Umwelt) 속에서 몸을 주 매개로 하는 (무의식적) 기호적 번역이 체현되는 과정 및 그 총체적 경험과 깊게 연관을 맺고 있다고 본고는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체와 태아의 일차적이고 본질적인 상호신체성(intercorporeity) 기반의 총체적 경험을 소유의 원형 게슈탈트(proto-gestalt), 즉, 소유 개념 및 소유 현상과 관계된 경험 게슈탈트의 원형(prototypical experiential gestalt for/ of possession)으로 상정한다. 다양한 언어적 실현은 특정 문화 구성원의 소유 게슈탈트에 대한 또 다른 기호적 해석의 발현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가추적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남은 장에서는 초학문적인 관점으로 제 학문 분야(e.g., 심리학, 발생학, 어원학, 진화생물학, 역사비교언어학, 인지언어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에서 제시하는 여러 이론적, 실제적 지식과 정보를 검색하고 검증하고 수용하여, 이론적 가설에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학술적 근거를 제시한다. 또한 원형 게슈탈트 (proto-gestalt)에 기반하거나 원형 게슈탈트(proto-gestalt)를 환기시키는 실제 기호적 번역의 예들을 크게 번역 기호계의 세 가지 하위 기호계 (anthropo-semiospheres of anthroposemiosic translation, interlinguistic translation, and endolinguistic translation)에 중점을 두고 관찰, 조사하여 소유관련 원형 게슈탈트(proto-gestalt)의 구체적인 초기호적 번역 가능성(transsemiotic translations enabled by the proto-gestalts of/ for possession)을 실제로 검증한다. 결과적으로, 표면적으로는 보편성-다원성의 대립적 이원성의 양상을 보이는 소유 개념과 현상은 그 근원적 속성이 인간 생명의 모태 내 발생 (genesis), 모태로부터의 출생(naissance), 모체를 통한 수유(suckling)와 보호라는 생명 초기의 몸 사이의 경험들(intercorporeal experiences)이 기호 번역의 기본 메커니즘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체현되는 원형 게슈탈트(proto-gestalt)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하며, 특정한 언어적 현상 및 사회문화적 현상은 체현된 소유의 원형 게슈탈트의 일부 속성 및 양상(들)이 개별 번역자(들)의 가치체계와 (무)의식적인 번역 과정/ 현상/ 목적에 의해 다차원적인 방법으로 기호 번역적으로 실현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호 중심, 번역 중심, 몸 중심, 생명 중심의 초학문적 연구방법과 관점은 그 이론적 한계와 문제 제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긍정적인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고 본고는 주장하며, 더 나아가 통합적, 인문학적, 다차원적 번역학 연구와 ‘소유’ 현상의 생명중심적 재고찰에 있어 후행 연구를 위한 다양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결론 짓는다.

more

Abstract/초록/요약

Semiotic Translations of Possession: Multidimensionality of Its Embodiment Zoë Eo Kyung LIM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nature of possession from a translatological perspective and shed light to the intrinsically multidynamic relation of possession present in cognition, language, and culture. By means of a translation-specific centripetal inquiry into the ‘why’ and ‘how’ dimensions of possession (viz., via translation per se), it maneuvers into the often-cited intrinsic relations of possession transdisciplinarily. By revisiting the notion of possession in such a way that the intrinsic nature of translation constitutes the main problematics for the inquiry on the relation of possession, it attempts to establish a transdisciplinarily effective theoretical account that can help achieve in-depth knowledge and multidimensional insight as to how and why the fundamental concept of possession is conceived and practiced almost “universally” in spite of the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realizations. For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biologically grounded cognitive aspect(s), that is, cognitive embodiment and enactment in relation to the (possible) origin of possession and implements a transdisciplinary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realizations of possession, while delving into the intrinsic problematics of (semiotic) translation and looking for insightful knowledge and empirical clues. As possession should be studied in relation to the all but “universal” translatability of the notion and, also because translation must be (re-) examined as a principal agent or factor for the seemingly “universal” conceptualization(s) and realization(s) of possession in both language and culture, this dissertation seeks to investigate and explore the fundamental nature and dimensions of possession and those of translation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with (situated) cognitive embodiment and global semiotics (thus, corporeally oriented biosemiotics) employed as its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this transdisciplinary investigation makes an academic attempt for an empirically based description and critically oriented explanation in terms of the cognitive-linguistic and historical-cultural phenomena of possess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widely practiced transsemiotic examples available in the sphere(s) of everyday life. And, in order for the translatological perspective to be equipped with a greater degree of synthesizing capacity and explanatory adequacy in this transdisciplinary account, this dissertation proposes to actively yet critically embrace a broad(est) sense of translation—only recently concretized and advocated by a few pioneering scholars such as Susan Petrilli, Augusto Ponzio, and Dinda Gorlée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doctrines of the sign by Charles Peirce and Thomas Sebeok—along with two other cognitively based notions named prototype and experiential gestalt (Lakoff and Johnson 1980/ 2003). In its transdisciplinary investigation having (a) the human cognition and (b) the sign in a translative sense as two fundamental and significant factors—working across the entire anthroposemiosphere and affecting all the biosemiosphere, this dissertation, then, proposes an abductively drawn hypothesis that what makes human beings perceive and conceive of as possession should be, in effect, the proto-gestalt (i.e., the preliminary yet prototypical state of an experiential getalt, the researcher’s neologism) of their prenatal, perinatal, and postnatal experiences based on their primordial encounters with their mother signs (e.g., the womb umwelt, the base sign, the breast sign, the face sign, the eyes sign, etc.). It, then, argues that, as soon as the research takes the notions of (anthroposemiotic yet culture-specific) prototype and experiential gestalt into account for its theoretical integration into a broader and more fundamental paradigm of translation (i.e., to translate is to interpret; every sign activity is translation), it should become evident that the semiotic theory of translation can not only open up the channels for transdisciplinary cooperation and convergence but also increase the power of the explanatory adequacy—at least, in this investigation into the complex phenomena of possession. Subsequently, in order to find out the empirical clues or evidence that can support the abductively made hypothesis, the research observes and analyzes some linguistic and cultural realia—available in the English or Korean culture, for example—from the (inter-/ intra-/ trans-) corporeally based translative and translational perspective,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the semiospheres of endolinguistic, interlinguistic, and anthroposemiosic translation/ translating. From the analysis, there appear several significant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translation mechanism and strategies of the proto-gestalt-induced and/ or proto-gestalt-evoking translation: (a) Translation is, fundamentally, the process of transsigns and, thus, that of the sign itself. (b) Translation is, quintessentially, manipulatively selective due to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ign, for which value-driven and value-laden processes (and results) are inevitable, irrespective of the tendency of taking reductionist, ocularcentrist, and/ or dichotomy-centered functionalist interpretations for granted. (c) Translation is and can be done multiperceptually rather than entirely rationally-cognitively (thus, multidimensionally and transsemiotically devised and implemented) with the body as its critical agent that has its own transsemiotic literacy and multimodal abilities. (d) Translation is (re-) translatable by means of the semiotic properties of iconicity, symbolicity, and indexicality in an infinitely open-ended manner. (e) The basic translation strategy is the use of the implicitation-explicitation scale (and, also, the homogenization-heterogenization continuum), even if the specific translation strategies may vary to the eyes of the ocularcentric and glottocentric analysts. (f) The establishment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proto-gestalt of/ for possession are ontogenetically preconditioned and phylogenetically susceptible. Individual differentiation is natural and unavoidable because of the unique baby-mother experience. (g) The properties of the orality-oriented phonocentric signs and those of the visuality-oriented ocularcentric signs have to do with the fact that every human being has his/ her own intercorporeally based transsemiotic experiences and their proto-gestalts, but it does not directly confirm that possession and those properties are “universal” because even the idea of “uni-verse” or “uni-vers-al”—along with many other metaphors—may originate in the baby’s primordial experiences of the proto mother signs (e.g., the womb umwelt, the single unique voice from above, etc.). (h) As the sign process for the human being is already and always intercorporeal and transsemiotic across multiple dimensions with multiple modalities (viz., intrinsically border-crossing and having ‘the other’ as a critical constituent of one sign), all the transsigns practices and realizations are naturally susceptible to reductive yet transformational interpretations. Nonetheless, the excessive non-stop use of absolute reductionism (e.g., ocularcentrism, glottocentrism, dichotomy-based binarism) and skopos-centered functionalism (e.g., presciptivism, standard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iverse languages as one authoritative language with strict usages, etc.) cannot be validated or justified owing to the fundamental nature and dynamics of the transsigns in the anthroposemiosphere and the bio-/ zoësemiosphere. (i) While the interlingual translation often resorts to the idea of equivalence-based exchange trades, the unique value-sensitive semiotics and semiosis of the proto-gestalt-related possession within each unique umwelt does not and cannot allow for “equi-valence”, for which exchange trades are only forcibly done on the basis of collectively agreed existence of the collectively conceptualized imagination of exchange. Exchanges carry on not because of the equivalence tautology but because of the natural translatability of the sign. In this sense, those rule-defying and even eccentrically creative translations of the possessives found in actual interlingual translation practices are not poorly implemented exceptions but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that has clues for the transsemiotic and heterosemiosic interpretations of possession. (j) Many of the major metaphors that “we live by” (Lakoff and Johnson 1980/ 2003) should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baby’s primordial experiences of the proto mother signs available at the phases of genesis, naissance, and suckling. (k) The existence and operation of the multidimensionally embodied proto-gestalt of/ for possession appear to have empirical clues throughout the anthroposemiosis, not just in the languages. The importance of the face sign, for example, must have to do with the existence and functions of the brain region concerning the face recognition and the rewarding/ indulgence/ reinforcing (cf. somatic marker). To sum up, this dissertation concludes that, firstly, “possession” ca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unique anthroposemiotically conditioned experiential gestalt that involves semiotranslations (i.e., sign as transsigns) and, secondly, translation per se inevitably and practically concerns global semioethics in zoë life (Petrilli 2003, 2010, 2012; Lim 2012c).

more

목차

1. Introduction 01
1.1. Goals of Research 15
1.2. Research Methodology 18
1.3. Ambits and Premises 21
2. Theoretical Background 27
2.1. Literature Review 27
2.2. Questions Raised 40
3. Semiotic Translations for Possession 47
3.1. TRANSLATION in Embodiment 69
3.1.1. Proto-Gestalt I: Genesis 78
3.1.2. Proto-Gestalt II: Naissance 90
3.1.3. Proto-Gestalt III: Suckling 97
3.1.3.1. Embodied Translation of Base Sign 97
3.1.3.2. Embodied Translation of Breast Sign 99
3.1.3.3. Embodied Translation of Face-Eyes Sign 106
3.2. TRANSLATION and Its Analogy 112
3.3. TRANSLATION in Intercorporeity 118
4. Semiotic Translations of Proto-Gestalts 123
4.1. Translation Examples Thereof 125
4.1.1. Endolinguistic Translation 127
4.1.1.1. Orality: Phonocentric Signs 128
4.1.1.2. Visuality: Ocularcentric Signs 187
4.1.2. Interlinguistic Translation 334
4.1.3. Anthroposemiosic Translation 355
4.2. Translating Examples Thereby 382
4.2.1. Endolinguistic Translating 385
4.2.2. Interlinguistic Translating 394
4.2.3. Anthroposemiosic Translating 424
5. Conclusion 474
References 484
Appendix 503
Acknowledgments 530
Abstract 53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