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국어와 한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 대조 연구 : 『아Q정전』의 한국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emporal Adverbs in Korean and Chinese: Focusing on the Novel 『阿Q正传』, It’s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ion

Abstract/초록/요약

시제 체계만으로 시간어가 갖는 섬세한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면에서 시간 표현 부사어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언어교육에서 시간 표현 부사어 교육은 매우 중요하고 한국어 시간 표현 부사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는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두 언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의 기능이 문법적이나 의미적 측면에서 유사한 점도 있고 상이한 점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시간 표현 부사어의 사용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시간 표현 부사어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 시간 표현 부사어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제2 언어 습득 중에 제일 큰 문제는 모국어 간섭이 미치는 영향이다. 모국어 언어 습관 때문에 문법이나 어휘를 혼용하여 쓰거나 오용하여 쓰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제2 언어 습득에서 모국어와 비교함으로써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고 비교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제2 언어의 학습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문학 텍스트를 통해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익힌 어휘를 깊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Q정전󰡕의 중국어 원본과 9개의 한국어 번역본을 대조하여 소설 속에 중국어 시간 표현 부사어가 대응된 한국어 시간 표현 부사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시간 표현 부사어의 의미와 용법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고 자연스럽게 사용하기에 도움을 주는 교육방안을 제시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 연구 2
1.3. 연구 대상 및 방법 4

Ⅱ. 중국어와 한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 7
2.1. 중국어와 한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 7
2.1.1. 중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 7
2.1.2. 한국어의 시간 표현 부사어 11
2.2. 중·한 시간 표현 부사어 대조 16

Ⅲ. 아Q정전의 중국어와 한국어 시간 표현 부사어 대조 23
3.1. 아Q정전의 시간 표현 부사어 목록 23
3.2. 아Q정전과 번역본의 시간 표현 부사어 대조 25
3.2.1 시상 표현 부사어 25
3.2.2. 빈도표현 부사 61
3.2.3. 순서 표현 부사어 75

Ⅳ. 교육적 활용 83
4.1. 시간 표현 부사어 교육 내용 84
4.2. 시간 표현 부사어 교육 방안 90

Ⅴ. 결론 94
참고문헌 96

Absctract 1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