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among Hospital Nurses.

Abstract/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구체적인 인수인계 현황을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5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9일부터 2023년 3월 28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정도는 4점 만점에 1.75±0.30점이었고, 제일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1.93±0.43점으로 ‘인계가 되지 않았거나 불명확하여 퇴근한 전 근무자에게 연락하여 확인한 적이 있다.’였다. 서면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5점 만점에 2.75±0.51점이었으며, ‘신규 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이 부족하다.’ 문항이 4.07±0.77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 점수는 6점 만점에 4.41±0.54점이었으며, ‘내가 받은 인계는 가장 최근의 것이다.’ 문항이 5.08±0.59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는 인수인계 오류 경험(r=-.312, p<.001)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r=-.437, p<.001)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수인계 오류 경험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14, p<.001). 결론: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간호사의 인수인계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원인을 감소시키는 것은 인수인계 평가를 높이는 전략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간호사 대상으로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인수인계 오류 원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인수인계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more

Abstract/초록/요약

Objectives: Recently,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of handover among hospital nurses, interest in written handover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15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at implement written handov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9, 2023 to March 28, 2023.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27.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 of handover error was 1.75±0.30, the cause of handover errors was 2.75±0.51, and the evaluation of handover was 4.41±0.5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evaluation and experience of witten handover error(r=-.312, p<.001), and the cause of handover error (r=-.43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and causes of witten handover errors (r=.514, p<.001). Conclusion: When preparing a handover training program for nurses who perform written handover, it is important to identify nurses' experiences, causes and evaluations of handover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trategy to reduce the experience and cause of the handover error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valuation of handover error.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5
1.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5
2.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7

Ⅲ. 연구 방법 9
1. 연구 설계 9
2. 연구 대상 9
3. 연구 도구 9
4. 자료 수집 방법 11
5. 자료 분석 방법 11

IV. 연구 결과 12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12
2. 연구 대상자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14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의 차이 18
4. 연구 대상자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의 상관관계 21

Ⅴ. 논의 22

Ⅵ. 결론 및 제언 26

참고문헌 27
부록 32
Abstract 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