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농촌지도사업 명칭의 이미지 및 적합성 분석

Analysis on The Fitness and The Images of The Term on Rural Extension Work in Korea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약어 : -
2007 vol.39, no.1, pp.137 - 165
DOI : 10.23840/agehrd.2007.39.1.137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112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사업의 명칭에 대한 이미지와 적합성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농촌지도사업의 개념과 명칭을 재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얻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농촌지도사업과 관련이 있는 농촌지도직, 농업행정직, 농업연구직, 농업인, 소비자 655명을 대상으로 웹 설문지(web questionnaire)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통해 빈도, 백분율, 카이자승기법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과 관련된 이미지, 즉 시간적 이미지, 기능적 이미지, 확산적 이미지, 감각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 등 5가지 요소에 대해 기능적 이미지의 경우만을 제외하고 모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명칭은 매력성 이미지, 신뢰성 미이지, 부드러운 이미지, 희망적 이미지, 우호적 이미지, 감동적 이미지 등에 대해 모든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농촌지도사업이란 명칭의 적합성은 농촌지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행정 당국(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이 지향하고 있는 비전 및 목적과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들 기관의 행정조직 및 체계와의 적합성은 기능과 역할에 대한 표현성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이 국가의 농업·농촌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목적, 내용, 방법과 시기적으로 부적절하고 잘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농촌지도사업이 주고객을 농업인 뿐만 아니라 소비자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와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강조하는 사업에 대한 요구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이 한계성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ity and education needs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experts review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and some modification of them with help of related experts, the specifics of the professionalit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1 roles including administrator, evaluator,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terial developer, individual career-development advisor, facilitator, marketer, need analyst, organizational change agent, program designer, and researcher; and 32 competencies including technical competencies, business competencies,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intellectual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on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the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ity development were identified as follows: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had educational needs for such roles as program developer, administrator, evaluator, material developer, and researcher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rketer, and organizational change agent; they had educational needs for technical competencies rather than intellectual competencies.

농촌지도사업, 이미지, 적합성
rural extension work, the fitness of term, the images of term

  • 1. [학술지] / 2000 / 정보의 불일치성과 정치인의 이미지 변화 / 49 : 7 ~
  • 2. [학술지] / 2004 / 농업교육의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발전방안 : 53 ~
  • 3. [학술지] / 1999 / 21세기 농촌지도사업의 새 패러다임 / 6 (2) : 3 ~ 2
  • 4. [학술지] / 1988 / 전환기 농촌지도사업 추진체계의 검토
  • 5. [학술지] / 2000 /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 패러다임 전환과 농촌지도사업 활력화 방안 / 7 (2) : 279 ~ 2
  • 6. [학술지] / 2003 / 전환기 농촌지도사의 역할과 능력개발 방향 / 35 (4) : 69 ~ 4
  • 7. [학술지] / 2001 / 농촌교육문제의 현실과 개선과제 : 49 ~
  • 8. [학술지] / 2004 / 농업인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탐색적 연구 : 205 ~
  • 9. [학술지] / 1996 / 저발전국 농촌지도사업의 공공적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 3 (1) : 157 ~ 1
  • 10. [학술지] / 1996 / 지방자치시대 농촌지도사업의 위상과 발전방향 / 28 (2) : 67 ~ 2
  • 11. [학술지] / 2002 / 소비자 농업인과 함께하는 농업지식정보사업 비전과 전략
  • 12. [학술지] / 2005 / 농촌지도사업 중장기계획(2004~2013)
  • 13. [학술지] / 2002 /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 척도 개발: 순정서적 이미지와 준정서적 이미지 / 25 (4) : 13 ~ 4
  • 14. [학술지] / 1999 / 지방 농촌지도사업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6 (1) : 1 ~ 1
  • 15. [학술지] / 2000 / 21세기 농촌지도사업의 선택 / 1 (1) : 1 ~ 1
  • 16. [학술지] / 1995 / 지방화시대의 농촌지도사업 활성화 방안 / 2 (2) : 27 ~ 2
  • 17. [학술지] / 1998 / 지방농촌지도조직의 광역화 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 / 5 (1) : 103 ~ 1
  • 18. [학술지] / 2003 /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14 (1) : 149 ~ 1
  • 19. [학술지] / 1998 / 행정개혁과 농촌지도사업체제 변천 / 5 (2) : 187 ~ 2
  • 20. [학술지] / 2000 / 21세기 한국 농촌지도사업의 비전과 발전과제 / 7 (1) : 101 ~ 1
  • 21. [학술지] / 1972 / 미국의 농촌 지도 사업 철학 및 목적 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 71 ~
  • 22. [학술지] / 1995 / 농촌구조개선을 위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 / 2 (1) : 71 ~ 1
  • 23. [학술지] / 2003 / 농촌지도사업 혁신방안에 대한 지방 농촌지도공무원의 인식 / 35 (4) : 87 ~ 4
  • 24. [학술지] / 1989 / 농촌지도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 27 ~
  • 25. [학술지] / 1993 / 농촌사회의 여건변화와 농촌지도사업의 과제에 관한 토론 : 60 ~
  • 26. [학술지] / 1988 / Guide on alternative extension approaches
  • 27. [학술지] / 1984 / Extension handbook
  • 28. [학술지] / 1981 / international experience i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 29. [학술지] / 1985 / Guide to extension training
  • 30. [학술지] / 1994 / A Cultural studies perspective toward understanding corporate image A case study of State Farm Insurance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 41 ~
  • 31. [학술지] / 1984 /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 32. [학술지] / 2004 /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discussion
  • 33. [학술지] / 1966 /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
  • 34. [학술지] / 1997 /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extension
  • 35. [학술지] / 1997 / Improving agricultural extension
  • 36. [학술지] / 1988 / Co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with John Wiley & Sons
  • 37. [학술지] / 1996 / Agricultural Extension
  • 38. [학술지] / 2004 / World trand agricultural extension
  • 39. [학술지] / 1992 / Planning for effective training
  • 40. [학술지] / 1984 / Improving extension strategies for rur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