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 GIS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and employment - GIS sector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약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6 vol.19, no.1, pp.161 - 171
DOI : 10.23841/egsk.2016.19.1.161
발행기관 : 한국경제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경제지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34 회 열람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As social environment has changed, a practical academy for higher employment rates becomes more important in higher education. It is need to have a paradigm shift in geography educ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 practical education in geography. This study propose practical strategy using GIS curriculum. First, the demand analysis in national and regional area is need. Second, continuous renewal reflecting new technologies is need. Third, capstone design and co-operative education with GIS company is need. Fourth, convergence and diversifi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is need. Fifth, publicity for the practical geography education is need.

지리 교육, 실용 학문, GIS 교육, 취업 교육
Geography education, Practical academy, GIS curriculum, Employe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