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형사절차에서 피해자의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of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

비교형사법연구
약어 : KJCCL
2012 vol.14, no.1, pp.295 - 314
DOI : 10.23894/kjccl.2012.14.1.011
발행기관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9 회 열람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dure, information provision is not only a prerequisite which enables the victim to secure his rights by receiving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ase, but also is a necessary condition which enables the victim, within a certain range, to appropriately exercise his criminal procedure participation rights at the right time. Furthermore, information provision rights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the criminal victim, who is in a passive orientated position, to effectively defend himself, but also becomes a starting point for the victim to take on an active position role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criminal procedure. These information provision rights is the most basic right of all various rights of the victim. Being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inflictor enables the victim to overcome the shock of the damage relating to the case, and helps the victim to release abstract and specific anxieties of the crime. It is the basic right of the criminal victim, a method to maintain the victim’s 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a necessary condition to secure the victim’s position and rights for criminal procedure purposes. In this regards,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appropriate methods to strengthen information provision policies which are in line with Korea’s criminal justice system in order to enable criminal victims to express their right and gain during the criminal procedure as well as re-establish legal grounds, especially suggest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methods. Especially, specific regulations regarding the range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victim and the method of information provision need to be established,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what type of information each individual victim wants and take action accordingly. In the criminal procedure, although not at the same level of procedural rights of the defendan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information provision in order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the victim by state his own rights and gains during the procedure.

형사절차, 범죄피해자, 정보제공, 개인정보, 범죄수사
Criminal Procedure, Crime Victims, Information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riminal Investigation

  • 1. [학술지] 강경래 / 2006 / 일본의 범죄피해자지원 및 보호 / 피해자학연구 / 14 (1) : 325 ~ 1 kci
  • 2. [학술지] 김한수 / 2011 / 영국 형사절차에서의 피해자 보호 / 국외훈련검사연구논문집 / 26
  • 3. [학술지] 김희수 / 2007 / 형사소송 관점 등에서 본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민주법학 (34) : 327 ~ 34 kci
  • 4. [보고서] 대검찰청 / 2004 / 통합형사사법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재설계 및 정보화전략계획(BPR/ISP)수립
  • 5. [학술지] 도중진 / 2002 /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에 대한 재고찰 / 피해자학연구 / 10 (1) : 173 ~ 1 kci
  • 6. [학술지] 박봉진 / 2011 / 경찰의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 법학연구 (42) : 291 ~ 42 kci
  • 7. [보고서] 법무부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추진단 / 2007 / 전자적 형사사법정보의 공개 및 보호에 관한연구
  • 8. [단행본] 안상운 / 2011 / 정보공개란 무엇인가 / 살림
  • 9. [학위논문] 윤현석 / 2011 / 형사사법절차에서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 10. [학술지] 이정수 / 2006 / 호주의 범죄피해자 지원제도 연구 / 해외연수검사연구논문집 / 22
  • 11. [학술지] 장규원 / 2010 / 피해자와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 형사정책연구 / 21 (4) : 251 ~ 4 kci
  • 12. [단행본] 장규원 / 2011 / 피해자학 강의 / 살림출판사
  • 13. [학술지] 전종휘 / 2009 / 합법적인 인권침해: 형사사법 정보 통합관리법과 DNA 정보 이용법, 야간집회 금지법 등 인권침해 법률 무더기로 국회 통과 임박 / 한겨레21
  • 14. [학술지] 조동기 / 1996 / 정보화 사회에서의 개인의 정체성과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 사회과학과 정책 연구 / 18 (3)
  • 15. [단행본] 조윤오 / 2011 / 피해자학 / 그린
  • 16. [학술대회] 최성진 / 2006 /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 구축사업 온 국민을 감시의 그물망에 묶어 두려는가?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 구축사업에 대하여 / 제262회 정기국회 국정감사 자료집1 발제문
  • 17. [보고서] 최진안 / 2009 / 전자정부 구축에 따른 개인정보공동이용의 헌법적 고찰: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 구축사업을 중심으로
  • 18. [학술지] Marc Groenhuijen / 2008 / 정의와 범죄피해자 지원을 위한 “UN 협약” 초안; 회복적 사법 조항과 관련하여 / 피해자학연구 / 16 (2) : 241 ~ 2 kci
  • 19. [단행본] 한위수 / 1997 / 알 권리와 정보공개 청구권, In 재판자료 제77집: 헌법문제와 재판 (下) / 법원행정처
  • 20. [단행본] 허영 / 2006 / 한국헌법론 / 박영사
  • 21. [학술지] 황순평 / 2008 /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보제공 - 경찰의 피해자통지제도를 중심으로 - / 경찰학연구 / 8 (2) : 29 ~ 2 kci
  • 22. [보고서] 황지태 / 2010 / 범죄피해자들의 피해실태 및 피해지원욕구 조사
  • 23. [보고서] Audit Report / 2008 / The Department of Justice’s Victims Notification System
  • 24. [단행본] Eduardo Vetere / 2005 / Victims of Crime and Abuse of Power / Festschrift in honour of Irene Mellup
  • 25. [기타] / 1996 / The 1996 Victims’ Rights Sourcebook: A Compilation and Comparison of Victims’ Rights Laws, Arlington / National Center for Victims of Crime
  • 26. [학술지] 新屋達之 / 1996 / 刑事手續への被害者參加 / 犯罪被害者の硏究
  • 27. [학술지] 太田澾也 / 1999 / 被害者に對すゐ情報提供の現狀と課題 / ジュリスト / 1163
  • 28. [학술지] 八澤健次 / 1994 / 被害者等通知制度たついて / 警察學論集 / 52 (5)
  • 29. [인터넷자료] / www.dojni.gov.uk
  • 30. [인터넷자료] / www.moj.go.jp
  • 31. [인터넷자료] / www.npa.go.jp
  • 32. [인터넷자료] / www.polic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