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 Moral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service Teac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약어 : -
2007 vol.24, no.2, pp.119 - 141
DOI : 10.24211/tjkte.2007.24.2.119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원교육학회
227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도덕적 행동을 산출하는 데 관련된 네 가지 심리적 과정을 도덕성을 구성하는 4구성요소로 모형화한 Rest(1983, 1986)의 도덕성 이론에 기초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교수체제개발의 일반적 절차인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으며,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도덕적 딜레마들을 수집하여 학생의 인권 영역(학생의 교육받을 권리,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 표현의 자유를 보호받을 권리, 적법절차를 보호받을 권리), 교사의 권리 영역(교육과정 편성권, 교육과정 운영권, 학생 평가권, 학생 징계권, 노동기본권, 공정한 대우를 받을 권리), 교사의 의무 영역(직무상 의무, 신분상 의무)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시범적 적용을 통해 잠정적인 효과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행 및 평가와 관련된 보완사항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velop a moral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constructed the theoretical model of a mor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 model of morality which conceptualizes four psychological processes determining moral behavior.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ISD), namel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content of morality education program were students' human rights(right to be educated, equal treatment, privacy, freedom of expression, due process), teachers' rights(curriculum management, achievement evaluation, punishment, right to work, equal treatment), and their duties(on a job and position). This study applied the program to the preservice teachers, verified effectiveness and validity, and discussed complementary item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교사의 도덕성,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Rest의 도덕성의 4구성요소 모형
teachers' morality, morality education program, Rest's 4 component model of morality

  • 1. [학술지] / 2002 / 교직윤리관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효과 / 40 (1) : 75 ~ 1
  • 2. [학술지] / 2004 / 사범대 학생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3. [학술지] / 2006 / 학교급에 따른 도덕판단력 발달 경향 분석: N2, 도덕적 도식 및 도식 발달 유형을 중심으로 / 20 (3) : 703 ~ 3
  • 4. [학술지] / 2007 / 예비교사를 위한 전문가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이 도덕성의 4구성요소 발달에 미치는 효과 / 7 (1) : 165 ~ 1
  • 5. [학술지] / 1988 / . 도덕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 6. [학술지] / 1994 / . 교원의 권위와 교직윤리 확립방안 연구. 서울 홍익대 교육연구소.
  • 7. [학술지] / 2002 / 교사의 인권의식 조사 연구
  • 8. [학술지] / 1999 / 도덕판단수준 향상을 위한 딜레마 토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 9. [학술지] / 1994 / . 딜레마 토론이 고등학생의 사회 도덕적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자력발전과 핵폐기물 처리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 [학술지] / 2000 /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인지 정서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 11. [학술지] / 2006 / 예비교사를 위한 교직윤리 및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12. [학술지] / 2007 / 교사와 도덕성
  • 13. [학술지] / 2004 /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직윤리 및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 14. [학술지] / 1998 /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 2 (2) : 80 ~ 2
  • 15. [학술지] / 2000 / 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16. [학술지] / 1994 / . Influencing the moral dimensions of dental practice. In J. R. Rest & D. Narv?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 121 ~
  • 17. [학술지] / 1975 / . The effects of classroom moral discussion upon children's moral judgment. Journal of Moral Education (4) : 129 ~ 4
  • 18. [학술지] / 1993 / . The development of a test of teachers' moral reasoning (m)
  • 19. [학술지] / 1994 / . Education for ethical nursing practice. In J. R. Rest & D. Narv?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 51 ~
  • 20. [학술지] / 1990 / . The moral dimensions of teaching. San Francisco
  • 21. [학술지] / 1983 / . Morality. In J. H. Flavell & E. M. Markma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ⅲ : 556 ~
  • 22. [학술지] / 1986 /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New York
  • 23. [학술지] / 1994 / Theory and research. In J. R. Rest & D. Narv?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 1 ~
  • 24. [학술지] / 1999 / Postconventional moral thinking: A neo-Kohlbergian approach
  • 25. [학술지] / 1998 / Does medical education inhibit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in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 73 : 591 ~
  • 26. [학술지] / 1986 / .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2 ~
  • 27. [학술지] / 1990 / . Teaching ethics to teachers : 47 ~
  • 28. [학술지] / 1984 / . Teaching as a moral craft. NY
  • 29. [학술지] / 1966 / . An experimental test of the sequentiality of developmental stages in the child's moral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