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셀프 연구를 통해 알아 본 예비교사의 반성적 문제해결과정

Student teachers' problem solving process in self-study

한국교원교육연구
약어 : -
2014 vol.31, no.2, pp.203 - 226
DOI : 10.24211/tjkte.2014.31.2.203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원교육학회
262 회 열람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셀프연구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반성적 문제해결과정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4학년 학생들이 교육실습 중 수행한 셀프 연구 보고서를 분석하여 듀이와 Korthagen의 반성적 사고의 과정 모형을 기초로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과정을 탐구하였다. 예비교사의 셀프 연구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은 5단계로, 문제인식-문제의 원인 파악-문제해결의 실마리 찾기-문제해결을 위한 노력-문제의 해결 및 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 중 ‘반성’은 문제인식, 문제의 구체화,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특기할 만한 점은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은 지도교사의 조언에 가장 많이 의존하였으나, 문제의 원인파악 단계에서는 반성적 사고가 활발히 일어났다.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와 좌절, 계획의 수정 후 재시도 등의 나선형 순환의 모습이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학습이 일어났다. 즉, 예비교사는 새로운 교육학 지식을 습득하거나 기존의 지식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문제가 해결되거나 개선되었을 때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노력에 대한 만족감을 느꼈으며 교사로서의 자신감 및 효능감도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실습 중 예비교사의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요인은 예비교사 자신의 자기반성 능력과 교육학 지식, 그리고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적 조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student teachers’ problem solving processes focusing on the role of reflection. Student teachers conducted self-study on their own research topics during their practicums. The problem solving process uncovered through the study occurred in five phases: Identifying the research problem, finding origins of the problem, finding clues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aking action to solve the problem, and resolving the problem or improving problematic issues. Reflection was involved in the phases of ‘identifying the research problem,’ ‘clarifying the problem,’ ‘taking action to solve the problem.’Student teachers mainly relied on the advice of coordinator teachers when searching for clues to solve their problems. In the ‘taking action to solve the problem’ phase,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frustration when their efforts produced unsuccessful results. They then revised their plans and reattempted them in the form of spiral circulation. This process led them to new knowledge. At the end of the process, the problems were solved or at least improved. The student teachers had greater self-confidence and self-satisfaction and viewed the results as rewards of their effort. The important factors for solving student teachers’ problems during their practicumsaretheirownabilities for reflection, acquired knowledge, and the coordinator teachers’ professional guidance.

셀프 연구, 교육 실습, 반성적 문제해결과정
Self-study, Practicum, Reflective problem solving process

  • 1. [학술지] 곽덕주 / 2007 /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 교육학연구 / 45 (4) : 195 ~ 4 kci
  • 2. [학술지] 권정숙 / 2003 / 반성적 사고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 열린유아교육연구 / 8 (2) : 113 ~ 2 kci
  • 3. [학술지] 김무영 / 2010 / 교육실습을 통해 본 예비체육교사의 반성 내용과 반성수준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17 (3) : 57 ~ 3 kci
  • 4. [학술지] 김은주 / 2010 /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4) : 27 ~ 4 kci
  • 5. [학술지] 남궁선혜 / 1999 /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유아 교사의 의사 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16 (1) : 182 ~ 1 kci
  • 6. [단행본] 노진호 / 1996 / 존 듀이의 교육이론 : 반성적 사고와 교육 / 문음사
  • 7. [학술지] 유솔아 / 2007 /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 유형과 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 교육과정연구 / 25 (1) : 39 ~ 1 kci
  • 8. [학술지] 이세나 / 2005 /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수준과 반성적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2 (2) : 247 ~ 2 kci
  • 9. [학술지] 이혁규 / 2012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 교육문화연구 / 18 (2) : 5 ~ 2 kci
  • 10. [학술지] 정미경 / 2005 / 유치원 교사의 교수가능 순간의 인식과 반성적 사고과정의 사례연구 / 한국유아교육연구 / 2 (1) : 167 ~ 1
  • 11. [학술지] 조덕주 / 2008 /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쓰기 연구 / 교육학연구 / 46 (1) : 231 ~ 1 kci
  • 12. [학술지] 조석훈 / 2004 / 교육실습생의 교직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 22 (1) : 201 ~ 1 kci
  • 13. [학술지] 최희경 / 2008 /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NVivo2)의 유용성과 한계: 전통적 분석방법과 Nvivo2 분석방법의 비교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18 (1) : 123 ~ 1 kci
  • 14. [학술지] Bain, J. / 1999 /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 Teachers and Teaching / 5 (1) : 51 ~ 1
  • 15. [학술지] Bain, J. / 2002 / Developing Reflection on Practice Through Journal Writing : Impacts of variations in the focus and level of feedback / Teachers and Teaching / 8 (2) : 171 ~ 2
  • 16. [학술지] Borko, H. / 1997 / Student teaching portfolios : A tool for promoting reflective practice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48 (5) : 345 ~ 5
  • 17. [학술지] Brouwer, N. / 2005 / Can teacher education make a difference?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42 (1) : 153 ~ 1
  • 18. [학술지] Colton, A. / 1993 / A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eacher reflection and decision making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44 (1) : 45 ~ 1
  • 19. [단행본] Dewey, J. / 2011 / How we think / 학이시습
  • 20. [학술지] Dinkelman, T. / 2003 / Self-study in teacher education : A means and ends tool for promoting reflective teaching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54 (1) : 6 ~ 1
  • 21. [학술지] Francis, D. / 1995 / The reflective journal : A window to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11 (3) : 229 ~ 3
  • 22. [학술지] Gore, J. M. / 1991 / Action research and reflective teach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 case study from the United States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7 (2) : 119 ~ 2
  • 23. [단행본] Korthagen, F. A. J. / 2007 /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 학지사
  • 24. [단행본] LaBoskey, V. K. / 2004 /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817 ~
  • 25. [단행본] Loughran, J. J. / 2004 /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7 ~
  • 26. [학술지] Ross, D. / 1989 / First steps in developing a relfective appoach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40 (2) : 22 ~ 2
  • 27. [단행본] Samaras, A. P. / 2012 / Self-study of teaching practices primer / 대한미디어
  • 28. [단행본] Schön, D. A. / 1983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 Basic Books
  • 29. [단행본] Schön, D. A. / 1987 /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 Jossey-Bass Inc
  • 30. [학술지] Smyth, J. / 1989 / Developing and sustaining critical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40 (2) : 2 ~ 2
  • 31. [단행본] Stephen, K. / 2008 / Enabling praxis: Challenges for education Rotterdam / Sense publishers
  • 32. [학술지] Stoughton, E. H. / 2007 / "How will I get them to behave?" : Pre service teachers reflect on classroom management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23 (7) : 1024 ~ 7
  • 33. [학술지] Zeichner, K. / 2003 / The adequacies and inadequacies of three current strategies to recruit, prepare, and retain the best teachers for all students / Designing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s for urban teacher preparation / 105 : 490 ~
  • 34. [단행본] Zeichner, K. / 2013 / Reflective teaching: An introduction /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