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해 유아과학수업을 개발하게해봄으로써 협동적 수업연구가 유아교사양성방법에 있어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협동적 수업 연구는 동료교사들과의 목표 설정 및 교육계획안 작성, 모의수업시연 및관찰, 모의수업 후 평가 및 토론, 그리고 개선된 계획안 작성의 체계적인 절차에 의해 이루어지며,기존의 모의수업과 달리 공동의 목표에 따른 수업 계획의 세부 절차와 수업 관찰자의 역할 강화,공동의 책임체제로 운영되는 수업분석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대학에서유아교사 양성과정의 한 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12명이었으며, 이들은 연구가 시행되는 전과정에 걸쳐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협동적 수업연구의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공동으로 수업의 목표를 수립하고 세부적으로 합의하여 계획해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수업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었다. 이 같은 공동체 의식은 수업 시연을 개인의 과업이 아닌 공동의 과제로 인식하게 하여 자신들의 수업에 관해 좀 더 건설적인비판(constructive criticism)을 하도록 도왔고,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모의수업 시연 중 수업을 같이 준비한 예비교사들에게 관찰자의 역할을 부여하여 수업 평가에 있어 근거에 기반을 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수업 개선전략을 좀 더 세부적으로 발전시켜 구안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룹의 일원으로 서로 의견을 조율하고 협동하는 사회적 기술이 교사에게 중요한 자질임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 경험으로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은 공동체로서의 성취감을 경험하였고 이는 향후교사로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협동적 수업연구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teaching)에 대한 능동적이고 발전적인 사고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키워드

예비교사교육, 협동적 수업연구, 모의수업, 과학교육

참고문헌(24)open

  1. [학술지] 권은주 / 2010 /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연구 30 (2) : 57 ~ 82

  2. [학술지] 김경철 / 2009 /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양성교육이 예비 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연구 29 (4) : 125 ~ 150

  3. [학술지] 김경철 / 2010 /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분석의 경험 / 유아교육학논집 14 (1) : 399 ~ 424

  4. [학술지] 김남희 / 2008 / 실천적, 반성적 유아교사교육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12 (1) : 193 ~ 215

  5. [학술지] 김영숙 / 2008 / 예비초등영어 교사를 위한 반성적 모의 수업 모형 / 초등교육연구논총 24 (2) : 159 ~ 181

  6. [단행본] 김영천 / 2008 / 질적연구방법론 I / 문음사

  7. [학술지] 김혜선 / 2006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본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생활 이해-교사되기를 향한 초임교사들의 교육 이야기 / 유아교육연구 26 (2) : 283 ~ 303

  8. [학술지] 길양숙 / 2008 / 예비교사가 수업계획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 해결방법 및 기준 / 교과교육학연구 12 (2) : 493 ~ 514

  9. [학술지] 박영예 / 2009 / 모의수업을 통한 예비 초등영어 교사의 반성적 교수활동 분석 / 신영어영문학 42 (42) : 203 ~ 230

  10. [학술지] 박은혜 / 1996 / 반성적 사고와 유아교사교육 / 유아교육연구 16 (1) : 175 ~ 192

  11. [학술지] 이선미 / 2006 / 한국 유아교사교육의 과제와 방향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 (4) : 429 ~ 449

  12. [학술지] 조부경 / 2000 /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 유아교육연구 28 (6) : 139 ~ 152

  13. [학술지] 정덕희 / 2004 /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아 교사 교육 탐구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8 (2) : 173 ~ 199

  14. [학술지] Calderheas, J. / 1991 / Images of teaching: Student teachers' early conceptions of classroom practice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 : 1 ~ 8

  15. [학술지] Cohen, E. G. / 1994 /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 Review for Educational Research 64 : 1 ~ 35

  16. [단행본] Corchran-Smith, M. / 1999 /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practice: Teacher learning in communities: In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249 ~ 306

  17. [학술지] Goodman, J. / 1986 / Field bases experiences /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1 (1) : 26 ~ 49

  18. [단행본] Lampert, M. / 1998 / Teaching, Multimedia and Mathematics: Investigations of Real Practice / Teacher's College Press

  19. [단행본] Lampert, M. / 1999 / Aligning teacher education with contemporary K-12 reform visions, In Teaching as the Learning Profession: Handbook of Teaching and Policy / Jossey-Bass

  20. [단행본] Lewis, C. / 2006 / Lesson study in North America: Progress and Challenges, In Lesson study: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policy and practice / Educational Science Publishing House : 33 ~ 63

  21. [단행본] Nolan, M. / 2007 /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 Thomson Delmar

  22. [단행본] Nunan, D. / 1993 / Active research in language education, In Teacher develop teachers research / Heinemann : 39 ~ 50

  23. [학술지] Sims, L. / 2008 / Lesson S study with practice teachers: Lessons from lessons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 (5) : 724 ~ 733

  24. [학술지] Zimmerman, B. J. / 1990 /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 (1) : 3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