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학교 영어 저성취 학생들을 위한 정서기반 영어 교수 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motion-based English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Lower-Leveled Elementary Students

교과교육학연구
약어 : -
2015 vol.19, no.2, pp.523 - 542
DOI : 10.24231/rici.2015.19.2.523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24 회 열람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저성취 학생들의 정서적 특징을 고려한 정서기반 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어 저성취 학생들의 정서적 개선을 통한 영어 저성취 학생들의 영어 학업 성취도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울산광역시 A초등학교 4학년 영어 저성취 학생 22명과 5학년 영어 저성취 학생 21명이 실험연구에 참여하였다. 먼저 사전 기초조사로 연구 참여 학생들의 정서적 유형을 이해하기 위해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학생들의 정서적 특징 판별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정서기반 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세부 학습 지도 내용을 설 정하였다. 정서기반 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연구는 14주에 걸쳐 실행되었으며 학습자 의 영어 학업 향상도와 정서적 변화는 영어 학업 성취도 평가와 정서 및 학습전략 검사(MLST)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영어 저성취 학생들의 정서적 특징은 효능감, 자신감, 성실도 등의 성격적 특성과 학습 동기적 특성, 학습 행동적 특성 등에 걸쳐 전반적으로 정서적 양상이 보통 학생들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정서적 유형으로는 방관형, 불안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책력형과 반항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 및 학습전략 사전 사후 검사 결과, 영어 저성취 학생 들의 자기주도성, 학습동기, 학습 행동적 특성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정서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영어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 진단평가와 중간평가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학업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중간평가에서 기말평가 향상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편차도 크게 줄어 영어 저 성취 학생들의 성적이 일반 평균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였다. 영어 학습 초기 단계에 충분한 학습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면 학습자의 기초 실력 부진으로 이어지고 이는 학습자의 부정적 정서 형성을 초래한다. 영어 저성취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학생들의 정서적 특징을 고려한 수업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 간 영어 학력 격차를 줄이기 위한 현장 교육의 방안으로 영어 저성취 학생들의 정서적 특징을 고려한 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English underachievers' English achievement and emotional traits through the emotion-based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ty thre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14 weeks. The teachers first identifi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underachieve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mainly categorized as two types, easygoing type and anxious type. After implementing the model, the changes in the English test scores and the emotional test (MLST: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 sco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mproved English language achievement. The students were also able to greatly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such as confidence, autonomy and di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develop a model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English underachievers.

영어 저성취, 정서 지도, 정서 기반 교수 학습 모형, 학습 부진
Emotion-based model, Low-leveled students, English underachievers

  • 1. [학술지] 남미숙 / 2010 / 초등학교 영어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2) : 80 ~ 2 kci
  • 2. [학술지] 문용린 / 2001 / 학교에서의 정서 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사대논집 / 62 : 27 ~
  • 3. [단행본] 민찬규 / 2011 / 영어과 학습 부진 학생 지도 전략 및 방법 연구 / 충북교육청 및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4. [학위논문] 박경희 / 2009 / 영어 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영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5. [보고서] 박약우 / 2006 / 초등학교 조기 영어교육 확대 방안 연구
  • 6. [단행본] 울산광역시교육청 / 2012 / 수업머리 인성교육 훈화자료집; 수업머리 이야기나누기
  • 7. [학위논문] 이지영 / 2010 / 초등영어 교과학습 부진학생을 위한 특별보충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 방안
  • 8. [학술지] 주영주 / 2011 /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성찰일지 작성여부와 소집단 구성방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쓰기성취도의 차이 / 교과교육학연구 / 15 (1) : 45 ~ 1 kci
  • 9. [학위논문] 윤만석 / 2010 / 학습부진아동의 정서적 특성과 지능 프로파일 분석
  • 10. [학술지] Anderson. L. W. / 2002 / Curricular alignment : A re-examination / Theory into Practice / 12 : 255 ~
  • 11. [단행본] Brown, H. D. / 2007 /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 Longman
  • 12. [학술지] Krashen, S. / 1994 / The effect of formal grammar teaching : Still peripheral / TESOL Quarterly / 27 : 722 ~
  • 13. [단행본] Mandel, H. P. / 1995 / Could Do Better; Why children Underachieve and What to Do About It. / JohnWiley & Sons
  • 14. [단행본] Rogers, C. / 1983 / Freedom to learn / Chanrles E. Mer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