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체육과학연구
약어 : KJSS
2007 vol.18, no.3, pp.148 - 158
DOI : 10.24985/kjss.2007.18.3.148
발행기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20 회 열람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심신의 건강을 담보할 수 있는 노인여가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 지역 소재 노인복지회관과 노인교실 이용노인 중 만 60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체계적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650명을 표집하였다. 이중에서 응답내용이 신뢰롭게 판단된 614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며, 이후원(1993), 정경희 등(1998, 2005)이 사용한 설문 문항을 토대로 문항을 작성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공변량분석과 회귀분석 등이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유형 중 운동 및 스포츠활동 참여 노인이 다른 여가활동 참여 노인에 비해 인지기능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둘째, 여가활동유형 중 운동 및 스포츠활동 참여 노인이 다른 여가활동 참여 노인에 비해 기본적,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았다. 셋째, 여가활동유형 중 운동 및 스포츠활동과 오락활동 참여 노인이 다른 여가활동참여 노인보다 인지기능이 높았고,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기본적,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the leisure policy of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in Seoul who were aged over 60 and attended the elder's college or senior welfare centers as of 2006. Total 650 samples were chosen by the systematic clustered random sampling metho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after considering the substantiality and sincerity of answers.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we referred to related previous works of Lee, Hu-won(1993) and Jung, Kyung-hee(1998, 2005) and somewhat revised the items after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ANC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at physical exercises and sports activities showed more favorable cognitive function than the elderly who participate at othe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at physical exercises and sports activities had more favorable the physica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han the elderly who participate at othe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ird,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at physical exercises and sports activities or recreation activities showed high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more favorabl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the superior the physica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여가활동유형, 인지기능,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types of leisure activity, cognitive function, physic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1. [학술지] 김귀봉 / 2000 /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19 : 3 ~
  • 2. [학술지] 고광욱 / 2003 / 신체활동 관련 및 최근 동향 및 이론 / 6 : 1 ~
  • 3. [학술지] 김귀봉 / 2000 / 노인의 신체활동과 인지기능간의 관계 / 39 (3) : 257 ~ 3
  • 4. [학술지] 김범경 / 2002 / 운동 여부에 따른 노인의 인지능력과 우울의 상관관계
  • 5. [학술지] 김경식 / 1995 /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 18 (2) : 4 ~ 2
  • 6. [학술지] 김양례 / 2005 /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 18 (2) : 259 ~ 2 kci
  • 7. [학술지] 김윤혜 / 2006 / 수원지역 노인들의 여가활동유형이 건강상태와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 21 (3) : 344 ~ 3 kci
  • 8. [학술지] 김여옥 / 1999 / 스트레칭 운동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일상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8 (1) : 108 ~ 1
  • 9. [학술지] 김응식 / 1999 / 노인의 생활체육참여와 생활만족의 관계 : 557 ~
  • 10. [학술지] 김정순 / 2005 /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35 (6) : 1153 ~ 6 kci
  • 11. [학술지] 김정희 / 1994 / 건강과 신체적 건강의 개념 및 측정에 관한 고찰 국민건강 연구소 논총 : 82 ~
  • 12. [학술지] 김종표 / 1999 / 고령자의 여가 스포츠 참가 유형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38 (4) : 887 ~ 4
  • 13. [학술지] 김윤혜 / 2006 / 수원지역 노인들의 여가활동유형이 건강상태와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 21 (3) : 334 ~ 3 kci
  • 14. [학술지] 김춘길 / 1996 / 운동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 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15. [학술지] 김현숙 / 2001 / 운동 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8 (3) : 53 ~ 3
  • 16. [학술지] 김효정 / 2001 /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건강개념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 / 15 (2) : 262 ~ 2
  • 17. [학술지] 김희자 / 1994 / 시설 노인의 근력 강화 운동이 근력 일상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18. [학술지] 마석렬 / 2001 / 노인의 스포츠참여와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심리적 행복감간의 인과분석 / 12 (1) : 51 ~ 1
  • 19. [학술지] 박정숙 / 2003 / 원예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17 (1) : 69 ~ 1
  • 20. [학술지] 송라윤 / 1997 / 저강도 운동프로그램이 입원노인의 일상생활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27 (4) : 807 ~ 4
  • 21. [학술지] 신경림 / 2004 /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 34 (5) : 869 ~ 5 kci
  • 22. [학술지] 송정선 / 1997 /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23. [학술지] 엄상용 / 2004 / 지구성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43 (3) : 691 ~ 3 kci
  • 24. [학술지] 우종인 / 1996 /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이 한국판 MMSE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35 (1) : 122 ~ 1
  • 25. [학술지] 이동수 / 2003 /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여가몰입도 및 고독감의 관계 / 42 (3) : 227 ~ 3 kci
  • 26. [학술지] 이성철 / 1996 /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 27. [학술지] 이승미 / 2002 /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 22 (3) : 135 ~ 3 kci
  • 28. [학술지] 이인학 / 2002 / 도시지역 노인들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4 (3) : 217 ~ 3 kci
  • 29. [학술지] 이철인 / 2004 / 근력증강 운동프로그램이 시설 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개선에 미치는 효과 / 16 (4) : 775 ~ 4
  • 30. [학술지] 원형중 / 1994 /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수도권 거주 노인의 고독감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90 ~
  • 31. [학술지] 이호성 / 2004 /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24 (2) : 163 ~ 2 kci
  • 32. [학술지] 이홍구 / 1996 /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 35 (3) : 202 ~ 3
  • 33. [학술지] 이후원 / 1994 / 여가활동참여유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연구 -서울시내 주부를 중심으로-
  • 34. [학술지] 임종호 / 2004 /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 747 ~ 22 kci
  • 35. [학술지] 정경희 / 1998 /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36. [학술지] 정경희 / 2005 /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37. [학술지] 조근종 / 2000 /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 39 (3) : 198 ~ 3
  • 38. [학술지] 조맹제 / 1998 / 일부 도시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율 / 37 (2) : 352 ~ 2
  • 39. [학술지] 최혜숙 / 2001 / 뇌졸중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수행도 및 작업수행도 만족도(COPM) / 19 (2) : 295 ~ 2
  • 40. [학술지] 최혜정 / 2006 / 노인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상태에 대한 연구 / 20 (2) : 119 ~ 2
  • 41. [학술지] / 2005.12.30 / 건강수명 2010년 72세로 늘린다
  • 42. [학술지] 홍성희 / 1998 /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16 (1) : 107 ~ 1
  • 43. [학술지] 황용찬 / 1993 /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수단적 일상생활 동작능력과 그에 관련된 요인 / 13 (2) : 84 ~ 2
  • 44. [학술지] Brinton, R. D / 1999 / A women's health issue: Alzheimer's disease and strategies for maintaining cognitive health / 44 (4) : 174 ~ 4
  • 45. [학술지] Etnier, J. L / 1997 / The influence of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upon cognitive functioning: A meta-analysis / 19 : 249 ~
  • 46. [학술지] Jerome, G. J / 2006 /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by Presence and Type of Functional Deficits in Older Women: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ies / 61 (11) : 1171 ~ 11
  • 47. [학술지] Murray / 1980 / The nursing process in later maturity : 241 ~
  • 48. [학술지] Park, J. H / 2000 / Revise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ing Instrument(CIDI) / 39 (3) : 589 ~ 3
  • 49. [학술지] Phelan, E. A / 2004 /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and Disability in Older Adults in a Randomized Trial of the Health Enhancement Program / 59 (8) : 838 ~ 8
  • 50. [학술지] Santiago, M. C / 2004 /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mong Women with Mobility Impairments: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Leisure Education / 38 (2) : 188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