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가설 생성 과정에서 의문 상황과 관련된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concepts in Question Situation on the Recognition of a Prior Knowledge in a Hypothesis Generation Process

중등교육연구
약어 : -
2011 vol.59, no.1, pp.79 - 98
DOI : 10.25152/ser.2011.59.1.79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119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와 ‘개념 인지 단계’의 적용이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학생 68명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상황의 의문과 일상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이 같은지를 확인하고,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험 집단은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하고 통제 집단은 지도하지 않은 후, 일상적 상황의 의문으로 이루어진 두 번째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의문에서 일상적 상황의 의문보다는 과학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잘 인지하였고,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인지하는 경우가 과학 개념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보다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는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한 실험 집단이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선행 학습된 지식의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때는 관련된 개념들을 먼저 인지하는 학습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concepts on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on the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and prior knowledge. The subjects consisted of 68 middle schoolers. The fir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identify that the students' ability of recognizing prior knowledge in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is identical to in those on scientific context. and to explore how their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in question situations influences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s a second step,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concept recognition steps and the control group not taught them. Afterwards, the differences in the two groups' ability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prior knowledge in the ques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inspection composed of the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The results of first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re-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s recognized correctly in the questions on scientific context than on everyday context in most of questions and the students who can recognize a scientific concept identify more scientific prior knowledge than those who cannot recognize it. The results of secon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recognizes more scientific concept and more accurately recognizes prior knowledge on the question situation. This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learn relative concepts first when they are conflicted with their prior knowledge.

사전지식, 과학적 개념, 개념 인지 단계
prior knowledge, scientific concept, concept recognition steps

  • 1. [학술지] 권용주 / 2000 /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0 (1) : 29 ~ 1
  • 2. [학술지] 권용주 / 2003 /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24 (4) : 250 ~ 4
  • 3. [학술지] 권용주 / 2003 /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3 (5) : 458 ~ 5 kci
  • 4. [학술지] 김익균 / 2007 / 과학적 가설세우기 과정에서 학생의 과학개념의 역할 / 새물리 / 54 (2) : 65 ~ 2 kci
  • 5. [학술지] 노금자 / 1996 /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용해 개념 / 초등과학교육 / 15 (2) : 233 ~ 2
  • 6. [학술지] 박은미 / 2006 /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6 (3) : 356 ~ 3 kci
  • 7. [학술지] 박종원 / 2000 / 학생의 과학적 설명 가설의 생성 과정 분석: 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0 (4) : 667 ~ 4
  • 8. [학술지] 박종원 / 2001 /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대학생의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1 (3) : 609 ~ 3
  • 9. [학위논문] 심해숙 / 2003 /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그 과정 분석
  • 10. [학술지] 오필석 / 2006 /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 추리 전략들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6 (4) : 546 ~ 4 kci
  • 11. [학술지] 오필석 / 2005 /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5 (5) : 610 ~ 5 kci
  • 12. [학술지] 오필석 / 2011 / 예비 초등 교사들의 귀추적 탐구 활동에서 가설의 정교화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1 (1) : 128 ~ 1 kci
  • 13. [단행본] 이광만 / 2001 / 중학교 과학 1 / 지학사
  • 14. [단행본] 이광만 / 2002 / 중학교 과학 2 / 지학사
  • 15. [학위논문] 정지숙 / 1996 / 삼차원 과학 탐구 평가틀을 이용한 국민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의 측정
  • 16. [단행본] 조희형 / 2001 / 과학 교육 총론 / 교육과학사
  • 17. [단행본] Barnhart, C. L. / 1953 / 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 / Harper & Brothers
  • 18. [단행본] Hanson, N. R. / 1958 / Patte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 [학술지] Klahr, D. / 1988 /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 Cognitive Science / 12 : 1 ~
  • 20. [단행본] Lawson, A. E. / 1995 /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21. [학술지] Niaz, M. / 1995 / Enhancing thinking skills: Domain specific/domain general strategies-A dilemma for science education / Instructional Science / 22 : 413 ~
  • 22. [학술지] Schauble, L. / 1996 /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in knowledge-rich contexts / Developmental Psychology / 32 (1) : 102 ~ 1
  • 23. [단행본] Shrager, J. / 1985 / Instructionless learning: Discovery of the mental model of a complex device / Carnegie Mellon University
  • 24. [학술지] Ward, T. B. / 1994 / Structured imagination: The role of conceptual structure in exemplar generation / Cognitive Psycgology / 27 : 1 ~
  • 25. [학술지] Whenham, M. / 1993 / The nature and the role of hypothesis in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15 (3) : 23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