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1차년도에서 3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교육 경험 여부, 사교육 시간 그리고 사교육 비용으로 구성된 사교육 경험 변인들이 학생들의 국어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변량 다층 성장 모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다변량 다층 성장 모형은 국어와 수학 성취도인 두 준거변인을 동시에 투입함으로써 일변량 다층 성장모형을 반복하여 분석하는 것보다 정확한 추정이 가능한 방법이며, 이 연구에서는 MLwin2.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 내 국어와 수학 성취도의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두 과목의 성취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다변량 다층 성장 모형이 적합하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개인 배경 특성과 학습심리적 특성을 통제한 후의 사교육 효과는 사교육 경험 변인에 상관없이 그리고 과목에 상관없이 각 과목의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교육 경험과 년도와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성취도 향상 측면에서는 사교육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국어 성취도, 다변량 다층 성장 모형, 사교육 효과, 수학 성취도, 한국교육종단연구

참고문헌(29)open

  1. [단행본] 강경찬 / 2013 / 자유학기제 출발에 즈음하여 / 헤드라인제주

  2. [보고서] 곽병선 / 2013 / 차기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3. [학술지] 김성연 / 2013 / 다변량 다층 성장 모형을 활용한 사교육이 수학과 영어 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학연구 20 (6) : 337 ~ 357

  4. [보고서] 김양분 / 2006 /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I)

  5. [학술대회] 김양분 / 2007 / 학생들의 학업성취 성장에 관한 중학교 효과 / 제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63 ~ 90

  6. [보고서] 류한구 / 2004 / 국가 수준의 종단적 교육 조사 모형개발

  7. [학술지] 박정주 / 2010 / 사교육 참여가 학교 수업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 37 (4) : 103 ~ 120

  8. [학술대회] 박정주 / 2011 / 사교육 참여와 학교수업 이해도 간 관계에 대한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분석 / 제5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85 ~ 100

  9. [학술지] 박현정 / 2010 /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 교육평가연구 23 (4) : 887 ~ 907

  10. [학술지] 박현정 / 2008 /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교육평가연구 21 (4) : 107 ~ 127

  11. [학술지] 박혜숙 / 2008 / 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독서태도, 독서습관, 독서시간과 국어성취도와의 관계 / 교육과학연구 39 (3) : 27 ~ 49

  12. [학술대회] 박혜숙 / 2011 / 청소년의 수학과목 사교육경험패턴에 따른 수학과목 학습이해 및 학습시간과의 관계 탐색 / 제5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67 ~ 84

  13. [학술대회] 변수용 / 2011 / Does shadow education matter? Assessing the effects of shadow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South Korea / 제5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37 ~ 65

  14. [학술대회] 상경아 / 2008 /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제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139 ~ 155

  15. [학술지] 이광현 / 2011 /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접근 / 교육재정경제연구 20 (3) : 99 ~ 133

  16. [학술지] 이수정 / 2009 /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 교육재정경제연구 18 (1) : 141 ~ 166

  17. [기타] 이인우 / 2013 / 박근혜 정부 창의교육, 사교육 열풍 조장 우려 / 서울타임스

  18. [보고서] 통계청 / 2012 / 2012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19. [학술대회] 최승현 / 2013 / 수학,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함양지도우수사례발표워크숍

  20. [학술대회] 허유성 / 2009 /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 양상에 있어서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영향 / 제3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543 ~ 581

  21. [학술대회] 황여정 / 2007 / 수준별 이동수업의 교육효과에 대한 종단적 분석 / 제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327 ~ 349

  22. [단행본] Bollen, K. A. / 2006 / Latent curve models / Wiley

  23. [학술지] Bull, R. / 1997 / Children's arithmetical difficulties:Contributions from processing speed, item identification, and short-term memory /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65 : 1 ~ 24

  24. [학술대회] Fraine, B. / 2011 / Growth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primary school: A bivariate transition multilevel growth curve model approach /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Research on earning and Instruction

  25. [학술지] Jordan, N. C. / 2003 / Arithmetic fact mastery in young childre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5 : 103 ~ 119

  26. [단행본] Polya, G. / 2008 /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보고서] Rasbash, J. / 2009 / A user's guide to MLwiN, version 2.1

  28. [단행본] Snijders, T. A. / 2004 / Multilevel analysis / Sage

  29. [학술지] Tate, R. L. C / 2007 / Multivariate hierarchical lenear modeling in randomized field experiments /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5 : 317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