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8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년층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는 청년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에 의해 조질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 19차(2016)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중 39세 이하의 사용직 전일제 직장인을 대상으로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을, 이직의도는 다른 변수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조직몰입이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직무만족이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직무만족에서 사회적지지가 증가할 경우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청년층의 이직의도를 이해함에 있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중요한 요소이며, 그들의 이직의도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특히 조직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moderated by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in youth,. For this purpose, the responses of 805 youth under the age of 39 in ‘The 19th KLIPS(2016)’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turn over intention,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ocial support,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urnover inten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ther variables. Next, the mediation effect of job involv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Additionally,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had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involv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was mo derated by low level job satisfac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youth and in order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job involvement.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