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체면 민감성, 과시 소비 성향, 패션 명품 선호도가 패션 명품 복제품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Fashion Luxury Goods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복식문화연구
약어 : -
2009 vol.17, no.2, pp.189 - 202
DOI : 10.29049/rjcc.2009.17.2.189
발행기관 : 복식문화학회
연구분야 : 생활과학
Copyright © 복식문화학회
184 회 열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luxury fashion goods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00 women in their teens to thirties in Gwangju. The data from 519 participan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4.0 Packag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of luxury fashion goods has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respectively. The direct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was somewhat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through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fashion luxury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luxury fashion goods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00 women in their teens to thirties in Gwangju. The data from 519 participan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4.0 Packag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of luxury fashion goods has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respectively. The direct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was somewhat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through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fashion luxury goods.

과시 소비 성향, 패션 명품 선호도, 패션 명품 복제품 구매 행동, 체면 민감성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ence of fashion luxury goods,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 social-face sensitivity.

  • 1. [인터넷자료] / 국내 짝퉁명품 1위 브랜드는 샤넬 / 한국일보
  • 2. [인터넷자료] 김기환 / 명품시장 ‘나홀로 호황’ 국내판매 실적 세계 상위권 / 세계일보 [뉴스경제]
  • 3. [학술지] 김기범 / 2003 / 한국 가정주부들의 심리적 특성분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사모님, 아줌마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8 (3) : 77 ~ 3 kci
  • 4. [학위논문] 김양하 / 2005 / 상징소비의 문화․사회적 의미분석
  • 5. [기타] 김인상 / 2000 / 미 적발 가짜상품 중 1위, 한국은 6위. 조선일보
  • 6. [기타] 박문규 / 2005 / 용광로문화. 경향신문
  • 7. [학술지] 박미정 / 2002 / 과시 소비 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 / 26 (1)
  • 8. [학위논문] 백경미 / 1995 / 도시 주부의 과시 소비 성향과 영향 요인
  • 9. [인터넷자료] / 세관의 지적재산권보호제도 / 서울세관 [소식의 문]
  • 10. [학위논문] 송은경 / 1997 /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 및 과시 소비 성향과 관련요인
  • 11. [인터넷자료] 안현태 / 백화점 명품관 불황 모르는 무소의 뿔 / 헤럴드경제
  • 12. [학위논문] 오태희 / 2006 / 고등학생의 과시 소비 성향과 진브랜드 복제품의 구매 행동
  • 13. [학술지] 유명의 / 1993 / 의복의 과시적 소비 현상과 사회적 지위불일치와의 관계 연구 / 복식문화연구 / 1 (1)
  • 14. [인터넷자료] 윤석만 / 신났다 럭셔리 짝퉁 / 문화일보
  • 15. [인터넷자료] 윤지나 / 중고생까지 짝퉁명품 열풍, 짝퉁감별사도 등장 / 국제신문
  • 16. [단행본] 이규태 / 1997 / 한국인의 의식구조-한국인은 누구인가 / 문리사
  • 17. [인터넷자료] 이병욱 / 짝퉁 키우는 인터넷 오픈마켓 / 국제신문 [사회면]
  • 18. [보고서] 이상민 / 2001 / 소비시장의 고급화와 기업의 대응
  • 19. [학위논문] 이승후 / 2003 / 이미테이션 패션 명품 태도 연구
  • 20. [학술지] 이승희 / 2004 / 패션 複製品 購買實態및 購買意圖에 關한 硏究: 韓ㆍ美消費者比較 / 패션 비즈니스 / 8 (4) : 60 ~ 4 kci
  • 21. [학술지] 이승희 / 2002 / 여대생들의 패션복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물질주의와 쇼핑가치를 중심으로 - / 한국의류학회지 / 26 (11) : 1537 ~ 11 kci
  • 22. [학술지] 이승희 / 2003 /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 행동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 / 27 (11)
  • 23. [학술지] 이승희 / 1998 / 소비자의 추구 혜택에 따른 의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복식문화연구 / 6 (3)
  • 24. [학위논문] 이지혜 / 1997 /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 소비 성향에 관한 연구
  • 25. [인터넷자료] / 중국산 짝퉁물품 등 밀수 적발 대폭 증가 / 인천본부세관
  • 26. [기타] 정시행 / 2003 / 어느 대학생의 빗나간 귀족병, 강남 친구들 쫓아가려 훔친 돈으로 명품사냥, 조선일보
  • 27. [학술지] 정지원 / 2003 /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21 (5) : 181 ~ 5 kci
  • 28. [학술지] 조은아 / 2004 /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명품 및유명브랜드 의류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행동 / 한국의류학회지 / 28 (1) : 76 ~ 1 kci
  • 29. [학위논문] 주성래 / 1998 / 의류제품 상표지향성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에 대한 태도
  • 30. [단행본] 최상진 / 2000 / 한국인 심리학 / 중앙대학교 출판부
  • 31. [학술지] 최상진 / 2000 / 체면의 심리적 구조 / 한국심리학회지 / 14 (1)
  • 32. [학술지] 최상진 / 1992 /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 6 (2)
  • 33. [학술지] 최선형 / 2001 /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 복식문화연구 / 9 (6) : 842 ~ 6 kci
  • 34. [인터넷자료] 최정현 / ‘밀수천국’, ‘짝퉁 최대 수출국’ 등 오명 벗어라 주문 / 뉴시스
  • 35. [인터넷자료] 최진숙 / 백화점 명품마케팅 불붙는다 / 파이낸셜뉴스
  • 36. [학위논문] 최창호 / 1993 / 체면과 자기존중감, 통제성향의 관계
  • 37. [학술지] 최흥섭 / 2007 / 한·중 소비자들에 대한 복제품 구매요인이 복제품 만족과 후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 통상정보연구 / 9 (4) : 415 ~ 4 kci
  • 38. [단행본] 특허청 / 2008 / 지적재산권용어사전 / 특허청 국제협력팀
  • 39. [학위논문] 편세린 / 1997 / 청소년의 소비 지향적 태도와 과시 소비 성향에 관한 연구
  • 40. [인터넷자료] / 표준국어대사전 / 국립국어원
  • 41. [학위논문] 한성숙 / 2005 / 패션 복제품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42. [학술지] Andersonm, W. T / 1972 / Gauging Foreign Product Promotion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 12
  • 43. [단행본] Brown, P / 1987 /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44. [학술지] Dubois, B / 1993 /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 27
  • 45. [학술지] Gentry, J. W. / 2001 / How Now Ralph Lauren? The Separation of Brand and Product in a Counterfeit Culture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 28
  • 46. [학술지] Grossman, G. M / 1988 / Counterfeit- Product Trade /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78
  • 47. [학술지] Johnson, J / 1985 / Assessing the Impact of Country of Origin on Product Evaluation : A New Methodological Perspective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22
  • 48. [학술지] Lababera, A / 1988 /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fulfillment /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 21 (1)
  • 49. [학술지] Mason, R / 1984 / Conspicuous Consumption: A Literature Review /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 18 (3)
  • 50. [학술지] Nia, A / 2000 /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 9 (7)
  • 51. [단행본] Veblen, T / 1899 /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 The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