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와 대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mits and Alternative of Social Studies Conversation Education

법교육연구
약어 : -
2015 vol.10, no.2, pp.29 - 54
DOI : 10.29175/klrea.10.2.201508.29
발행기관 : 한국법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법교육학회
118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 대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대안은 근대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화공동체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대화공동체는 대화적 관계를 전제로 하는 탐구공동체이자, 민주적 공동체이다. 대화공동체는 대화참여자들이 공론을 형성하고 탐구를 수행하는 대화를 통해 자기반성과 상호주관성, 비판적 사고와 공감 등과 같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이처럼 대화공동체는 대화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 모두가 특별한 경험을 체험함은 물론 민주적 의사결정을 통해 공동선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 대화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 조건을 대화 이론 연구 성과를 통해 인지, 정서, 태도, 행동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ose alternative out of conversation education limits. This alternative is to construct conversational Community to overcome Modernity problem. Conversational community is inquiry and democratic community. Conversational community have educational values that conversation participants construct public opinion, reflect theirs thinking, generate intersubjectivity with conversation for inquiry, bring about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Thus conversational community provides special experience through conversation to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pursues common good through democratic decision-making. We needs certain conditions for construct conversational community holding educational values. These conditions is presented to part cognitive , emotional , attitude , behavior through conversational theory result.

사회과 대화교육, 대화이론, 대화, 대화적 관계, 대화공동체
Social Studies conversation Education, conversational theory, conversational relation, conversational community

  • 1. [학위논문] 강사채 / 2007 / 대화의 교육적 의미와 학교교육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 2. [기타] 권부경 / 2006 / 2006년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세미나 자료집 : 208 ~
  • 3. [학술지] 김우미 / 2009 / 시민성의 전제로서 의사소통 합리성 / 시민교육연구 / 41 (2) : 47 ~ 2 kci
  • 4. [학술지] 노상우 / 2010 / 근대 이성개념과 교육학적 사유 / 교육철학연구 (49) : 25 ~ 49 kci
  • 5. [단행본] 목영해 / 1994 / 후기 현대주의 교육학 / 교육과학사
  • 6. [학술지] 명지원 / 2006 / 모더니즘 교육이론의 한계와 대안에 대한 연구:홀리스틱 패러다임을중심으로 / 한국교육논단 / 5 (1) : 169 ~ 1
  • 7. [학위논문] 박은주 / 2011 / 의사소통 행위이론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
  • 8. [학술지] 박상준 / 2012 /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 -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에서 - / 사회과교육연구 / 19 (3) : 11 ~ 3 kci
  • 9. [학술지] 박선영 / 2010 /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 대화(Conversation)와 내러티브(Narrative) / 교육철학연구 (49) : 49 ~ 49 kci
  • 10. [학술지] 박병기 / 2010 / 소크라테스 대화법의 이론과 실제 / 철학연구 / 113 : 111 ~ kci
  • 11. [학술지] 서혜정 / 2009 / 대학수업에서 대화를 통한 지식구성에 대한 경험 / 유아교육학논집 / 13 (3) : 213 ~ 3 kci
  • 12. [단행본] 엄기호 / 2013 /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 따비
  • 13. [학위논문] 오승호 / 2006 / 국민사법참여 활성화를 위한 법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참여 민주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 14. [단행본] 유현옥 / 1998 / 교육학 대백과사전 / 하우
  • 15. [단행본] 이상화 / 1992 / 대화의 철학
  • 16. [학술지] 이성호 / 2003 / 존 듀이(John Dewey)의 사회철학: 민주주의, 학교 그리고 자본주의 / 아시아교육연구 / 4 (2) : 215 ~ 2
  • 17. [학술지] 이용환 / 2012 / Freire 대화이론의 탈/근대성 / 교육학연구 / 50 (1) : 105 ~ 1 kci
  • 18. [학술지] 이정숙 / 2011 / 국어 수업대화의 재개념화 - ‘대화적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2) : 281 ~ 2 kci
  • 19. [학술지] 이호도 / 2012 / 의사소통능력과 그 합리성의 기준 - 사회과 수업을 위하여- / 사회과교육 / 51 (1) : 31 ~ 1 kci
  • 20. [학술지] 이화도 / 2012 / 데리다 해체철학의 유아 교육적 함의 / 열린유아교육연구 / 17 (6) : 53 ~ 6 kci
  • 21. [학위논문] 이태성 / 2012 / 의사소통 합리성에 근거한 사회과 토론 수업의 설계 및 분석
  • 22. [학위논문] 임청숙 / 2008 / 배려의 관계에서 공감(empathy) 발달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23. [단행본] 정기섭 / 2002 / 아동존중의 교육학 / 문음사
  • 24. [학술대회] 정혜승 / 2006 / 한국 학교 소통의 양상과 문제 / 「한국화법학회」제13차 전국학술대회 : 31 ~
  • 25. [학술지] 홍남기 / 2009 / 의사소통 합리성 함양과 사회과 교실수업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이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 41 (3) : 183 ~ 3 kci
  • 26. [학술지] 홍은숙 / 2002 / 공동체주의 교육의 개념 연구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 교육철학연구 (27) : 173 ~ 27 kci
  • 27. [단행본] Bakhtin, M, M. / 1981 / The dialogic imagination / University of Texas Press
  • 28. [단행본] Barber, B. / 1984 / Strong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for a new age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9. [단행본] Benhabib, S. / 1989 / Liberalism and the Moral Life
  • 30. [단행본] Benhabib, S. / 1990 / Situating the Self: Gender, Community, and Postmodernism in Contemporary Ethics First Edition Edition
  • 31. [단행본] Bridges, D / 1988 / Education, democracy and discussion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 32. [단행본] Burbules, Nicholas / 2000 / Revolutionary pedagogies: cultural politics, instituting education, and the discourse of theory / Routledge : 251 ~
  • 33. [단행본] Burbules, Nicholas C. / 2011 / 대화와 교육 :이론과 실천 / 교육과학사
  • 34. [학술지] Burbules, Nicholas / 1991 / Dialogue across differences:continuing the conversation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61 (4) : 393 ~ 4
  • 35. [단행본] Burbules, N. C. / 2001 / Theory and Research on Teaching as Dialogu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36. [단행본] Crapanzano, V. / 1990 / The interpretatoin of dialogue
  • 37. [단행본] Dewey, J. / 1916 / Democracy and education / Macmillan
  • 38. [단행본] Gadamer, H-G. / 1982 / Truth and Method / Crossroad
  • 39. [단행본] Habermas, J / 1990 / Moral consciousness and of modernity action / MIT Press
  • 40. [단행본] Haroutunian-Gordon, S / 1991 / Turning the soul: Teaching through conversation in the high school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41. [단행본] Keen, S / 1979 / 만남의 철학: 가브리엘 마르셸의 사상 / 교문사
  • 42. [단행본] Lipman, M / 2005 / 고차적 사고력교육 / 인간사랑
  • 43. [단행본] Lyotard, Jean-Francois / 1984 /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44. [단행본] Noddings, N. / 1991 / Stories Lives Tell: Narrative and Dialogue in Education
  • 45. [단행본] Patterson, C, H / 1997 / 인간주의 교육 / 박영사
  • 46. [단행본] Shor, Ira / 1987 / A pedagogy for liberation: dialogues on transforming education / Bergin and Garvey
  • 47. [단행본] Swearigen, C, J. / 1990 / The interpretatoin of dialogue
  • 48. [단행본] Vygotsky, L, S. / 1962 / Thought and Language / MIT Press
  • 49. [단행본] 정진곤 / 1997 / 개인주의와 교육 (John Watt저) / 학지사
  • 50. [학술대회] White, P. / 1990 / Trust and toleration; Some issues for educ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 Paper presented at the Morrell Conference on Toleration, Pluralism, and Multicultur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