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법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LRE teaching and learning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a

법교육연구
약어 : -
2014 vol.9, no.2, pp.1 - 27
DOI : 10.29175/klrea.9.2.201408.1
발행기관 : 한국법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법교육학회
114 회 열람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과목 통폐합과 시수축소, 학습량 증대로 인한 선택자 감소에 직면한 법교육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법교육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창의적 체험활동에 연계된 법교육 교수학습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와 성격이 사회과의 민주시민교육 목표와 어떻게 연계되는지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법교육의 교수학습 프로그램들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영역에 어떻게 결합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인지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혼란을 겪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내용도 내실화되는 동시에 시민교육으로서 법교육이 확장될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향성을 기반으로 보다 구체화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methods of LRE teaching and learning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newly introduced as the extra-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out the associations betwee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social LRE, then suggests the programs and types of education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Programs available for social studies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re as follows : an outsider’s lecture, a class to teach social issues, an academic research club, visiting agencies, the operation of research school. Based on these five ways methods, the four par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related : self-regulated activity, club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and career activity are classified as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With this study,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furtilizedn in the view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lso LRE can get a chance to acquire more opportunity for civic education. For that, more specified researches and program developements should as a manual for teachers should be followed.

법교육, 창의적 체험활동, 법교육 교수학습 방안, 사회과 교육과정
LR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RE, Social Studies curriculum

  • 1.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매뉴얼
  • 2.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손에 잡히는 창의적 체험활동(고등학교)
  •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 4.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사회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7]
  • 5.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창의적체험활동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 26]
  • 6. [학술지] 김자영 / 2012 / 교과외 활동으로서의 법교육 방안 탐색 / 법교육연구 / 7 (1) : 33 ~ 1 kci
  • 7. [보고서] 박순경 / 2010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 8. [보고서] 양승실 / 2012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 9. [학위논문] 엄주희 / 2013 / 사회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목표나무(Target Tree)를 중심으로
  • 10. [보고서] 이광우 / 2010 /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개발 연구
  • 11. [보고서] 이광우 / 2010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급별 창의적 체험활동모형 개발 연구
  • 12. [학술대회] 이대성 / 2011 / 중등 사회과 교과지도와 진로활동을 연계한 창의적 체험 활동 운영방안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연차학술대회
  • 13. [보고서] 이명준 / 2011 /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 14. [단행본] 전숙자 / 2001 /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이해: 통합적 접근의 쟁점, 방법 및 적용사례 / 교육과학사
  • 15. [단행본] 차경수 / 2008 / 사회과교육 / 동문사
  • 16. [학위논문] 허효인 / 2011 / 교과 외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연구
  • 17. [보고서] 홍후조 / 2006 / 중·고교생을 위한 진로, 직업탐색 자료 개발 연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