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영성교육 도입 통로로서 직관의 이해

Understanding Intuition as a Way to Introduce Spiritual Education

신앙과 학문
약어 : -
2018 vol.23, no.2, pp.29 - 64
DOI : 10.30806/fs.23.2.201806.29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기독교학문연구회
130 회 열람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수행을 훨씬 뛰어넘는 인공지능의 활약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됨에 따라 교육에서도 인간이 기계와 무엇이 다른가? 라는 존재론적 질문에 봉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간이 기계와 달리 영적인 존재라는 점을 간과하고 미래교육을 섣불리 논하기 어렵게 되었다. 왜냐하면 영성은 디지털 형태로 코딩할 수 없는 인간의 독특한 본질이기 때문이다. 영성을 함양하는 교육이 더욱 중요해짐에도 영성교육이 특정 종교에 국한된 것으로 인식되어 교육과정에 쉽게 도입되기 힘든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 영성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전략이나 통로로서 직관을 염두해 두고, 직관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인간지능과 기계지능의 차이를 통해 직관의 발현과 영성교육의 관계와 시대적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교육과 직관의 시대적 필요성을 지능의 의미 측면에서 고찰한다. 둘째, 직관의 개념과 직관적 사고의 특성을 통해 직관이 영성교육 도입의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셋째, 직관이 교과교육에서 영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임을 밝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은 인공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직관 즉,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기계에게 위임할 수 없는 인간의 특권이자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특성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의 영성을 계발하고 초월적 하나님과 가까워지는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한다. 우리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영성교육의 현실적 대안은 비종교적 영성교육이며 이를 실행할 주체는 일반교과가 되어야 한다. 일반교과에서 직관은 해당 학문 분야에 감춰진 비밀을 밝히는 창의적인 눈이며, 해당 분야에서 하나님의 지성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영역에서 인간이 실천할 수 있는 최고의 선을 찾아 행하는 것이 직관을 통한 영성의 계발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직관은 일반교과에서 영성을 도모하는 통로가 되며 이것은 자신과 이웃을 이롭게 할 수 있는 교과의 목표이자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worked well in many broad area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s been one ontological question, “what would be different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s in education areas?” It would harden to tell future education without considering that human beings are spiritual existence, unlike machines, because spirituality is an intrinsic human nature of which could not be coded. Although making students have spirituality would be more important, it has been difficult to introduce spiritual education in a regular school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spiritual education has been only related to specific religions. In this article, as a strategy or a method to introduce the spiritual education in school, having had intuition in her mind, this author has defined the intuition, studied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and discussed how intuition could work and its relationship with spiritual education and how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esent times. For this purpose, this author has examined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has studied its necessity for spiritual education and intuition as a significant aspect of intelligence. Second, this author has examined how students could obtain spirituality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uitive thinking. Third, the intuition is not only purpose, but also method to implement spiritual education through subject-matter education. In the meanwhile, this author has had the following outcomes. Human beings have intuition, the ability to see invisible things. However, machines are unable to even imitate the intuition. Intuition is an intrinsic human privilege, of which people cannot mandate to machines. In addition, intuition would develop human spirituality and build an important bridge to make people closer to God. While considering our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al alternative for spiritual education is non-religious spiritual education and its acting actor could be general curriculum. In general curriculum, intuition would be creative eyes to see the hidden secrets in every academic area and help reach the God’s intelligence in the academic area. In addition, finding the highest good and practice it would bring out the spirituality through intuition. Therefore, intuition would be a way to develop spirituality in general curriculum and it shall be understood as a purpose and method of curriculum to do good to ourselves as well as our neighbors.

직관, 직관적 사고, 지능, 영성교육, 교과교육
intuition, intuitive thinking, intelligence, spiritual education, subject-matter education

  • 1. [학술지] 고요한 / 2011 / 가르침과 배움에서 영성형성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 교육철학연구 / 33 (3) : 1 ~ 3 kci
  • 2. [학술지] 김명용 / 2006 / 칼 바르트의 계시론 / 장신논단 / 25 : 69 ~
  • 3. [학술지] 김봉제 / 2017 / 영성의 기능적 특성 이해와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윤리교육연구 (44) : 277 ~ 44 kci
  • 4. [학술지] 김정신 / 2002 / 영성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 5 (1) : 53 ~ 1
  • 5. [학술지] 김진숙 / 2016 /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역할 / 월간교육 / 7 : 104 ~
  • 6. [학술지] 김형주 / 2016 /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맥카시와 칸트의 지능개념을 중심으로- / 철학탐구 / 43 : 161 ~ kci
  • 7. [학술지] 유성창 / 2016 / 미래교육의 방향은 지성교육인가 인성교육인가? / 교육철학연구 / 38 (3) : 49 ~ 3 kci
  • 8. [학술지] 류희찬 / 1997 / 수학교육에서 직관에 대한 고찰 / 수학교육학연구 / 7 (2) : 103 ~ 2
  • 9. [학술지] 박남기 / 2017 /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 교육학연구 / 55 (1) : 211 ~ 1 kci
  • 10. [단행본] 박순경 / 2014 / 삼위일체 하나님과 시간: 제1권 구약편 / 신앙과 지성사
  • 11. [단행본] 박영만 / 2003 /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 학지사
  • 12. [학술지] 박장호 / 2015 / 욕구 조절과 도덕적 치유: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 윤리교육연구 (38) : 203 ~ 38 kci
  • 13. [학술지] 박준형 / 2017 /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7 (3) : 523 ~ 3 kci
  • 14. [학술지] 배시은 / 2015 / 직관의 이해에 대한 확장적 연구: 기독교상담적 접근으로 / 복음과 상담 / 23 (2) : 163 ~ 2 kci
  • 15. [학술지] 성태제 / 2017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교육학연구 / 55 (2) : 1 ~ 2 kci
  • 16. [단행본] 송영진 / 2005 / 직관과 사유: 베르그송의 인식론 연구 / 서광사
  • 17. [학술지] 심은주 / 2012 / 교육학 분야 영성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 20 (4) : 137 ~ 4 kci
  • 18. [학술지] 송인규 / 2002 / 이분설과 영육관계(2) / 신학정론 / 20 (1) : 90 ~ 1
  • 19. [학술지] 옥장흠 / 2013 / 통전적 영성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 기독교교육 논총 (36) : 343 ~ 36 kci
  • 20. [학술지] 온기찬 / 1995 / 직관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과 교육적 의미 / 교육학연구 / 33 (5) : 75 ~ 5
  • 21. [학술지] 유재봉 / 2013 / 교육에서의 영성회복: 학교에서의 영성교육을 위한 시론 / 교육철학연구 / 35 (1) : 97 ~ 1 kci
  • 22. [학술지] 윤화석 / 1999 / 기독교교육 인간론의 기독교교육 신학적 의의 / 기독교교육논총 / 4 : 47 ~
  • 23. [학술지] 이대현 / 2011 / 초등수학에서 직관적 원리에 의한 교육 내용 분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2) : 283 ~ 2 kci
  • 24. [학술지] 이대현 / 2008 / 직관에 관한 연구 역사와 수학교육적 의미 고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1 (3) : 363 ~ 3 kci
  • 25. [학술지] 이상섭 / 2014 / 13, 4세기 도미니코회에서의 가능지성의 가능성 개념의 변화 -알베르투스부터 에크하르트까지- / 가톨릭철학 (23) : 177 ~ 23 kci
  • 26. [단행본] 이진경 / 2013 / 히치하이커의 철학여행 / 휴머니스트
  • 27. [학술대회] 이혜정 / 2016 /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제도 혁신 /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 3주년 기념 심포지엄자료집
  • 28. [학술대회] 장슬기 / 2016 / 한국의 교육현장 속에서 미래학교를 찾다 /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 3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 29. [학술지] 전숙경 / 2016 / 초연결사회의 인간 이해와 교육의 방향성 탐색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21 (2) : 55 ~ 2 kci
  • 30. [단행본] 정병국 / 2015 / 두뇌발달 자녀교육법 / 좋은땅
  • 31. [학술지] 정재걸 / 2017 / 인공지능 시대의 가상현실과 교육 / 사회사상과 문화 / 20 (1) : 191 ~ 1 kci
  • 32. [학술대회] 정제영 / 2016 /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미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 ‘한국교육학회(KERA) 정책포럼: 지능정보사회 대비 미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자료집
  • 33. [학술지] 조상식 / 2016 /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 미디어와 교육 / 6 (2) : 152 ~ 2
  • 34. [학술지] 최경아 / 2016 /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 수학교육학연구 / 26 (3) : 565 ~ 3 kci
  • 35. [학술지] 최은순 / 2016 / 교육에서의 직관의 위치: 아퀴나스 신학의 메타프락시스적 해석 / 도덕교육연구 / 28 (2) : 49 ~ 2 kci
  • 36. [단행본] 한영란 / 2004 / 교사와 영성교육 / 내일을 여는 책
  • 37. [학술지] 허영주 / 2009 / 비이원적 앎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 교육과정연구 / 27 (2) : 33 ~ 2 kci
  • 38. [학술지] 허영주 / 2010 / 교사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변화 방향 탐색 / 교육과정연구 / 28 (1) : 261 ~ 1 kci
  • 39. [학술지] 허희옥 / 2017 /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지능과 학습 / 교육철학연구 / 39 (1) : 101 ~ 1 kci
  • 40. [단행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 2017 /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 창조경제연구회
  • 41. [단행본] 広中 平祐 / 2009 / 학문의 즐거움 / 김영사
  • 42. [단행본] Addison, N. / 2000 / Learning to Teach Art and Design in the Secondary School: a companion to school experience / Routledge
  • 43. [학술지] Anderson, J. R. / 1982 / Acquisition of cognitive skill / Psychological Review / 89 : 369 ~
  • 44. [인터넷자료] Artificial Intelligence / Wikipedia
  • 45. [단행본] Bastick, T. / 1982 / Intuition: How we think and act / Guilford Press
  • 46. [단행본] Burnham, S. / 2011 / The Art of Intuition: Cultivating Your Inner Wisdom / Tarcher/Penguin
  • 47. [학술지] Burke, L. A. / 1999 / Taking the mystery out of intuitive decision making /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 13 : 91 ~
  • 48. [단행본] Bruner, J. / 1973 / 교육의 과정 / 배영사
  • 49. [단행본] Capra, F. / 1995 /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 Shambhala : 19 ~
  • 50. [단행본] Clement, J. / 2008 /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The role of imagery, analogy, and mental simulation / Springer
  • 51. [단행본] Dewey, J. / 1934 / Art as Experience / University of Chicago
  • 52. [단행본] Dreyfus, H. L. / 1972 / What Computers Can’t Do: The Lim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arper & Row
  • 53. [학술지] Duch, W. / 2007 / Intuition, Insight, Imagination and Creativity /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 2 (3) : 40 ~ 3
  • 54. [단행본] Ehrenzweig, A. / 1970 / The Hidden Order of Art: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Artistic Imagina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55. [학술지] Fensham, P. / 1992 / What has happened to intuition in science education? /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22 (1) : 114 ~ 1
  • 56. [단행본] Fischbein, E. / 1987 / Intui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An Educational Approach / D. Reidel Publishing Company
  • 57. [학술지] Fischbein, E. / 1981 / Is it possible to measure the intuitive acceptance of a mathematical statement?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2 : 491 ~
  • 58. [단행본] Isaacson, S / 2006 / The Politics and Philosophy of Michael Oakeshott / Routledge
  • 59. [단행본] Isaacson, S. / 2015 / Steve Jobs / Reissue edition
  • 60. [학술지] Marton, F. / 1994 / A Nobel’s eye view of scientific intuition: discussions with the Nobel prize-winners in physics, chemistry and medicine(1970-86)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16 (4) : 457 ~ 4
  • 61. [단행본] McCorduck, P. / 2004 / Machines Who Think: A Personal Inquiry into the History and Pro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2nd ed.) / A. K. Peters, Ltd
  • 62. [단행본] Medawar, P. B. / 1969 / Induction and intuition in scientific thought / Routledge
  • 63. [단행본] Palmer, P. / 2013 / 일과 창조의 영성 / 아바서원
  • 64. [단행본] Palmer, P. / 2008 /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 IVP
  • 65. [단행본] Peursen, C. A. van / 1988 / 몸, 영혼, 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 서광사
  • 66. [인터넷자료] Pew Research Center / Religious Landscape Study
  • 67. [단행본] Polanyi, M. / 1966 / The Tacit Dimension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68. [단행본] Reid, L. A. / 1986 / Ways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 /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69. [단행본] Rifkin, J. / 2012 / 3차 산업혁명 / 민음사
  • 70. [학술대회] Schwab, K. / 2016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 World Economic Forum
  • 71. [학술지] Stavy, R. / 1996 / Intuitive rul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the case of ‘more of A more of B’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18 (6) : 653 ~ 6
  • 72. [학술지] Troy, T. F. / 1991 / The Correct Definition of Intellig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ce and Counterintelligence / 5 (4) : 433 ~ 4
  • 73. [학위논문] Webster, R. S. / 2003 / An Existential Framework of Spirituality for Education
  • 74. [인터넷자료] / 카톨릭대사전
  • 75. [인터넷자료] / 한국갤럽
  • 76. [인터넷자료] / 국가통계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