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琳田 趙廷奎(1791~1868 이후)는 19세기에 활동한 화가로서 산수·인물·화조에 모두 능했고 특히 어해도로 세상에 이름을 알렸다. 두 번의 어진 제작에 참여할 만큼 그림 실력을 인정받았던 화가였지만 도화서 소속의 화원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근대 화단을 이끌었던 손자 趙錫晉(1853~1920)에게 그림을 가르쳐 회화사적 의의도 적지 않다. 조정규 어해도의 특징은 기존의 게, 새우, 조개와 같은 소재를 꾸준히 그리면서 群魚圖, 雙魚圖, 躍鯉圖처럼 전통 어해도 양식의 도상까지 화폭에 담았다는 점이다. 그 중 쌍어는 이미 오래전부터 상서로운의미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길상의 의미와 맥락을 같이 한다. 더불어 복어, 우럭, 숭어 같은 물고기의 명칭을 동음이의어로 풀어내 福祿壽를 뜻하는 ‘三福’의 의미를 이미지로 도출하기도 했다. 이러한 점들은 다양한 수생동물들을 핍진하게 묘사한 張漢宗(1768~1815)의 寫生圖報式 어해도와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그 중 <어해도> 병풍 그림 3점은 모두 이전의 어해도와 달리 각 폭에 꽃나무를 주요 소재로 배치하여병풍의 장식 기능을 높이고 있다. 이 3점의 병풍 그림은 10년 이상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제작되었지만 소재와 구성이 거의 비슷하다는 특징도 지니고 있다. 이는 조정규가 화본을 가지고 있었을 수도 있고, 계속그림 주문에 응하게 되면서 자신만의 일정한 도안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 작품의구성이 변하지 않고 그려졌다는 사실은 조정규 <어해도> 병풍의 수요가 꾸준히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정규 어해도는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李漢喆(1812~1893 이후)은 조정규 어해도와 거의 비슷한소재와 구도의 작품을 그렸으며,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조석진은 물고기 비늘을 묘사하는 필법까지조정규를 따르고 있다. 조정규 <어해도> 병풍 그림은 길상적 성격이 강하고 장식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에서 19세기에 크게 환영받은 듯하다. 서민 화가들에 의해 제작된 조정규 양식의 민화 어해도들도 지금까지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조정규 어해도는 조선시대 어해도의 흐름에서 빠질 수 없는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민화 어해도의 종류와 형식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조선 말기에서 근대로 이행되는 과도기의 회화사 일면을 보여 준다.

키워드

조정규(趙廷奎, Jo Jeonggyu), 어해도(魚蟹圖, Fish and Crab Painting), 길상(吉祥, Best Wishes), 장한종(張漢宗, Jang Hanjong), 조석진(趙錫晉, Jo Seokjin), 민화(民畫, Folk Painting)

참고문헌(50)open

  1. [기타] / 內閣日曆

  2. [기타] / 純齋稿

  3. [기타] / 御眞圖寫事實

  4. [기타] / 影幀摸寫都監儀軌

  5. [기타] / 仁陵遷奉都監儀軌

  6. [기타] / 日省錄

  7. [단행본] 李奎報 / 東國李相國集 卷3

  8. [단행본] 李詹 / 雙梅堂篋藏集

  9. [기타] / 宣畫畫譜 卷9

  10. [단행본] 楊愼 / 異魚圖讚

  11. [기타] / 後漢書 卷97

  12. [기타] 경기도자박물관 / 2013 / 복-간절한 염원의 장식- / 경기도자박물관·국립민속박물관

  13. [단행본] 국립민속박물관 / 2007 / 수복壽福 / 국립민속박물관

  14. [기타] 국립중앙박물관 / 2012 / 吉祥-중국 미술에 담긴 행복의 염원- / 국립중앙박물관

  15. [기타] 東京国立博物館 / 1998 / 吉祥-中国美術にこめられた意味- / 東京国立博物館

  16. [기타] 부산박물관 / 2011 / 吉祥-염원을 그리다- / 부산박물관

  17. [기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 1979 / 조선시대의 그림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8. [단행본] 강관식 / 2001 /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 돌베개

  19. [학술지] 김근수 / 1982 / 한국실학과 명물도수학 / 정신문화 12 : 86 ~ 97

  20. [학위논문] 金美英 / 1984 / 朝鮮王朝時代의 魚蟹圖 硏究

  21. [단행본] 김세영 / 2011 / 병풍 속 글씨와 그림의 멋 / 수원박물관

  22. [학위논문] 김태은 / 2010 / 장한종의 어해도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어해병풍>을 중심으로

  23. [단행본] 안영길 / 2011 / 중국미술상징사전 / 고려대학교출판부

  24. [단행본] 宮下三郞 / 2007 / 本草綱目 附圖-上卷 / 여일

  25. [학술지] 朴廷蕙 / 1995 / 儀軌를 통해 본 朝鮮時代의 畫員 / 미술사연구 (9)

  26. [기타] 박철상 / 2011 / 병풍屛風 속의 서예書藝 In 병풍 속 글씨와 그림의 멋 / 수원박물관

  27. [기타] 방병선 / 2011 /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길상문, In 吉祥-염원을 그리다- / 부산박물관 : 197 ~ 207

  28. [학술지] 손정희 / 2008 / 19세기 博物學的 趣向과 繪畵의 새로운 경향 / 한국문화 (44) : 49 ~ 73

  29. [단행본] 吳世昌 / 2007 / 국역 근역서화징 / 시공사

  30. [단행본] 劉復烈 / 1969 / 韓國繪畫大觀 / 文敎院

  31. [학위논문] 유치석 / 2012 / 琳田 趙廷奎의 繪畵 硏究

  32. [학위논문] 尹景蘭 / 1996 / 李漢喆 繪畵의 硏究

  33. [학술지] 윤진영 / 2004 / 藏書閣 所藏"御眞圖寫事實"의 正祖~哲宗代 御眞圖寫 / 藏書閣 11 : 283 ~ 302

  34. [단행본] 李成美 / 1997 / 朝鮮時代御眞關係都監儀軌硏究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35. [학술지] 이소연 / 2004 / 一濠 南啓宇(1811-1890)蝴蝶圖의 硏究 / 미술사학연구 (242·243) : 291 ~ 318

  36. [단행본] 이수미 / 2010 / 조선왕실과 전주 / 국립전주박물관 : 234 ~ 242

  37. [단행본] 李時珍 / 2007 / (新註解) 本草綱目 第10卷 / 여일

  38. [학술지] 李源福 / 1987 / 朝鮮時代 魚蟹圖 / 季刊美術 44 : 163 ~ 179

  39. [학술지] 이중희 / 2010 / 박물학적 요구가 화단으로 옮겨가다-일본 초기 서양화풍의 탄생 / 미술세계 : 98 ~ 101

  40. [단행본] 이태호 / 2006 / 회화 명문가 3인전-琳田 趙廷奎·小琳 趙錫晉·小亭 卞寬植 / 東山房 : 51 ~ 61

  41. [학술지] 이훈상 / 2008 / 조선후기 지방 파견 화원들과 그 제도, 그리고 이들의 지방 형상화 / 동방학지 (144) : 305 ~ 366

  42. [단행본] 정병모 / 2012 /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 돌베개

  43. [단행본] 정붓샘 / 2009 / 옛 그림을 만나다 / 서울역사박물관 : 230 ~ 237

  44. [학술지] 조에스더 / 2011 / 민화 어해도의 동아시아 판화 수용과 전개-중국과 일본의 백과사전류 판화도판을 중심으로 / 한국민화 2

  45. [학위논문] 조에스더 / 2012 / 朝鮮 後期 魚蟹圖 硏究

  46. [단행본] 조용진 / 2000 / 東洋畫 읽는 법 / 集文堂

  47. [단행본] 허 균 / 1991 /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 敎保文庫

  48. [단행본] Sung Hou-mei / 2009 / Decoded messages: the symbolic language of Chinese animal painting / Yale University Press

  49. [학술지] 宮崎法子 / 1996 / 中國花鳥畫の意味(上)-藻魚図·蓮池水禽図·草蟲図の寓意と受容ついて- / 美術硏究 (363) : 265 ~ 281

  50. [단행본] 宮崎法子 / 2003 / 花鳥·山水畫を讀み解く / 角川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