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럽의 교육제도: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Education System of Europe: 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s of England, France, and Germany

유라시아연구
약어 : -
2008 vol.5, no.1, pp.67 - 86
DOI : 10.31203/aepa.2008.5.1.005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69 회 열람

지식기반경제하에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인적자원 중심의 성장전략이 필요하며 고등교육의 경쟁력이 핵심이기에, 세계 모든 국가들이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등교육 개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화에 따라 기존의 시장질서가 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에 있어서도 국가간 경계는 더욱 희미해져 가고 있으며, 특히 고등교육분야는 그 목적, 내용, 방법 면에서는 물론이고, 교육적 결과를 인정하고 평가하는 방식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고등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먼저 하나의 유럽을 지향하여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제반 분야의 인적, 물적 교류와 이동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정비해 온 유럽의 통합고등교육정책 중 가장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들의 국제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국제화의 개념과 최근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과 추진동향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유럽의 모든 정책은 정치.경제, 행.재정 결속을 더욱 다지는 것은 물론 상호 협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유럽인들 사이의 연대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유럽연합의 고등교육정책의 특징은 첫째, 회원국간 교육의 질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고, 기술적 규제와 평가절차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육과 훈련정책을 유럽연합 내 고용정책과 여타 시장정책과의 연계성 속에서 수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럽의 고등교육 정책을 참고로 우리나라 대학의 국제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우리나라 대학이 단기간에 국제경쟁력을 높여가기 위해서는 공동학위제와 복수학위제의 개념이나 규정의 구체화와 유연성을 제고해 교육과정 공동운영 등을 통해 세계 우수대학과의 네트워킹과 협력을 강화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외국대학과의 합작이나 분교 설치 그리고 국제공동학위의 운영 등과 같은 프로그램에 대해 정부의 법적, 제도적 보완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재정적인 지원책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우리나라 대학은 이제부터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며 통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들을 표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공인의 교육프로그램 인증 제도를 확립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국제기구를 통한 인증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하겠다. 넷째, 최근 유럽연합의 정치.경제 및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교육 분야에서도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인적자원 개발의 핵심적 주체인 고등교육의 틀 자체를 국제화하고 다양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다섯째, 국제화의 실제적인 기준과 평가방식을 마련하고 대학의 국제화 교육과 관련된 모든 자료나 정보들을 통합된 시스템에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며 단위 대학들이 선진 해외 대학의 우수사례와 국제화 관련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학사운영 모형을 개발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과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global world now pays attention to the reform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In this era of knowledge industry,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sts much upon the higher education and a development strategy with human resources on its center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a nation. Since the globalization the market order has been changed and so have been the educational boundaries between the nations. The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altered its goal, subject, and method as well as its qualification formalities and evaluation process. These two programs are part of large social reformation of politics, of economy, and of culture that the European Union as one Europe has been through before any other parts of the world prepared to cope with the globalization. These two program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ent higher education models, and by way of seeing these programs, we can find some useful way of internaliza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This thesis surveys and analyzes the concept of the internaliz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 and movement of internalization of higher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thesis will show as a conclusion that all the EU higher education policies are developed to strengthen the economical and cultural solidarity of the European nations up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the normalization of education, the standardization of evaluation process, and a training program in close relation with employment and market policies. Korean universities can sharpen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short period of time if they (re-)consider and actualize the joint or dual degree program with more flexibility and establish intimate network with renowned inter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a further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joint management, branch installation, and international degree program is required besides secure financial support. Korean universities need to standardize their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international acceptabil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also establish a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verification system through a qualified organization. Serious research on education needs to be carried side by side with political model of higher education, the core of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will administer the unified system of world educ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according its realizable standard and evaluation method is expected. Networking of local universities with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information-sharing between the two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organiz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formation and support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in the world by developing a new educational system.

유럽연합, 고등교육, 통합고등교육정책, 국제화 수준
European Union, Higher Education, Integrated Higher Education Policy, Internationalization Level

  • 1.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3 / 알기 쉬운 WTI DDA교육서비스 협상
  • 2. [단행본]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2003 / Knowing, Easy WTI DDA Education Service Agreements
  • 3.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4 /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방안
  • 4. [단행본]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2004 /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lan for a University Competitive Power Reinforcement
  • 5.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5 / 외국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 및 학술교수 현황
  • 6. [단행본]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2005 / Curriculum Commonness Operation and Scientific Professor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Nation Large Subject
  • 7. [학위논문] 김현영 / 2002 / 유럽정체성과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 8. [학위논문] Kim, H.Y. / 2002 / Cultural Policy of Europe Identity and European Union
  • 9. [단행본] 이병식 / 2005 / 지식사회 만들기:고등교육의 새로운 도전 / 한국교육개발원 : 93 ~
  • 10. [단행본] Lee, B.S. / 2005 / The Knowledge Society Making: Higher Education New Challenge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Circle : 93 ~
  • 11. [학술대회] 이현청 / 2004 / 국제화와 대학교육 개방의 과제 /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국제협력체제 구축 세미나 자료집 : 12 ~
  • 12. [학술대회] Lee, H.C. / 2004 / Subject of Internationalization and College Education Opening / Qualitative Raising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etup Construction Seminar Data House of College Education : 12 ~
  • 13. [단행본] 정종화 / 1997 / 유럽연합국가들의 교육제도 / 법문사 : 81 ~
  • 14. [단행본] Jeong, J.H. / 1997 / Education System of EU Countries / Beobmunsa Publishing Co. : 81 ~
  • 15. [단행본] 조금주 / 2006 / 대륙별 교육제도 비교 / 한국학술정보 : 120 ~
  • 16. [단행본] Joh, G.J. / 2006 / Continent by Education System Compares / Korean Scientific Information : 120 ~
  • 17. [학술지] 홍성호 / 2001 / 유럽통합과 프랑스 고등교육의 변화: J. Attali 보고서를 중심으로 / 불어불문학연구 / 70 (48) : 707 ~ 48 kci
  • 18. [단행본] Hong, S.H. / 2001 / Change of European Unification and France Higher Education: J.Attai Reports in Center in: Silence French literature Research / Korea Swells up Doing not Ask Academic Society : 707 ~
  • 19. [학술대회] European Commission / 2002 / Salamanca Convention 2001 / The Bolona Process and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 384 ~
  • 20. [학술대회] European Commission / 2005 /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Achieving the Goals / Communique of the Conference of European Ministers Responsible for Higher Education : 475 ~
  • 21. [단행본] Rrichert. S. / 2004 / Trends Ⅳ: European Universities Implementing Bologna / European University Association : 85 ~
  • 22. [단행본] Tauch, C. / 2002 / Survey on Master Degrees and Joint Degrees in European / European Commission : 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