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독일기본법은 제1조 제1항에서 인간존엄의 불가침성을 선언하고 이를 보호할 국가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독립선언문과 수정헌법 제14조는 자유를 강조하고 있다.
미국은 건국이래 자유로운 개인의 권리보장에 중심을 두고 있고, 독일에서는 인간의 존엄이란 기본가치에 뿌리를 두고 이를 둘러싼 제권리도 공익과 조화를 이루면서 행사되고 있다. 독일은 또한 인간의 존엄성을 선언한 세계인권선언의 정신도 국내법적으로 잘 수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독일에서는 태아도 생명을 가진 인간으로 존중되고 태아인간의 존엄을 임신부의 자기결정권보다 우선시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에서는 태아를 인간으로 보지 않고 중절여부의 결정문제는 개인적 私事에 속하는 문제로 보고 있다.
낙태에 관한 독일에서의 인간의 존엄성기준은 Kant의 사상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면에 미국은 Mill의 자유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밀의 본래의도와는 달리 개인주의적인 형태로 변질수용된 측면이 강하다.
또 독일은 사회적 불평등해소를 위해 국가의 개입이 허용되는 사회국가를 지향하는 반면, 미국은 개인주의성향이 강한 자유주의국가로서 국가로부터 간섭받지 않는 개인의 권리확보에 중심을 두고 있다.
미국에서의 사생활의 권리는 독일의 자기결정권보다 그 보장범위가 넓고 포괄적이다.
낙태의 문제를 프라이버시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미국판례의 태도는 개인적 자유와 여권 신장에 기여한 긍정적 면도 있지만 현대의 사회적 복지국가화경향이나 인간존엄성의 존중이란 인류의 보편적 가치, 자유주의의 폐해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평가된다. 이런 점에서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이 타당한 설득력이 있다.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like in Germany the moral value of human dignity has been neglected or treated as indifferent under the influence of liberalism and the legal of protection based on human dignity was eventually absorbed in the notion of Equal Protection Clause.
The right to privacy is approved on the ground of the Amendment Clauses 1. 4. 5. 9. 14 etc., thus the pregnant women’s right to abortion are recognized. The right of privacy in the U.S.A. are guaranteed broader and more inclusive than in Germany. But in all cases of the four decisions they declared the human dignity and the right of privacy were not absolute, and allowed the exceptions in case of some special reasons, so U.S. Federal Sureme Court and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came close to the other. But in Germany through the three decisions Constitutional Court confirmed unconstitutionality of abortion in principle clearly. thus It looks like impossible for the two different standpoints to access close each other because of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oughts and recognition.
In short, the probleme of abortion is whether it is harmony with constitutional structure, that is, the fundamental values of democratic republic. The human dignity among all constitutional values is at the top of constitutional hierarchy and surrounded with many fundamental rights to realize it.
The right of lif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dignity, the life of fetus is virtually all in the fetus' dignity. Abortion can be justified in one exceptional situation only when the situation of continuous pregnacy threaten the woman's life seriously.
However, as Durig says, the abortion can't be justified for the woman' health simply because the concept of health very broad and abstrct. Abortion for it is a risk of abu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bortion is illegal in principal, the prior prevention must be preferable. Also the nation must consider the concrete and difficulty situation of bringing up,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m. In this respect, German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is reasonable and persuasive.

목차

Ⅰ. 서론
Ⅱ. 미국과 독일에서의 낙태판결
Ⅲ. 인간의 존엄과 프라이버시의 자유
Ⅳ. 맺는 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362-01471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