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점수에 기초한 학교효과 평가 모형 개발 연구: 학교책무성평가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 비교

Exploring models of school effect evaluation study based on the growth scores of students

교육사회학연구
약어 : -
2008 vol.18, no.4, pp.115 - 139
DOI : 10.32465/ksocio.2008.18.4.005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회학회
126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의 학교효과를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검토하면서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학교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서 학교를 단순한 성취도 수준으로 서열화하고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얼마나 비과학적이며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횡단적인 자료에 근거한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이 해당 학교의 교원과 학교의 교육적 노력의 결과물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누적적으로 발생하는 학생들의 성취도 격차는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때 고유하게 해당 학교를 다니면서 변화한 점수 중에서 가정배경변인이나 개인 노력변인의 효과를 제외한 학교효과의 크기가 어느 정도이며 그 크기는 기존의 학교 입학 당시의 학생들의 가정배경에 의한 학업성취도 격차를 줄여주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균점수, 2-수준분석, 3-수준 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얻은 학교효과에 대한 결과자료들은 서로 이질적이며 일관성이 매우 낮았다. 아직까지 고부담 학교책무성 평가를 학생들의 성취도를 기준으로 시행하기에는 이론적으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책무성 평가를 위해 학생들의 성취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우리 사회에 적합한 학교효과 모델이 무엇이 될 것인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major concern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diverse method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evaluation using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finding the meaningful implication for policy in Korea. To evaluate genuine school effects we have to consider the starting point of students and the growth rates of students during school years. In this study I criticized the general approaches and common perceptions about school accountability evaluation. In this society people think that a school with a high student achievement level is an effective school, while one with a low student achievement school is ineffective. This is a very unscientific approach and also distorts teacher and school's efforts to teach students. And so I tried to compare the results of four methods to evaluate the school effects. First, I calculated the mean score of first grade year for each school, and ranked the order of the schools. And second, using the difference score of third grade score and first grade score, I also ranked the order of the schools. Third, using 2-level HLM model I could get the residual file, including the school score, and rank them. Finally I tried to run 3-level growth model so I could get the school score and rank them also. Between these indexes there were no positive relationship and consistency. These results show that using the simple mean score of school to evaluate high-stake accountability is a dangerous and irrational approach. From now we have to develop more reasonable school effect model to know the authentic school effect, and so we cannot use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using school achievement level. More time and more efforts will be necessary for adopting this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to our nation.

학교효과, 변화점수, 위계적 선형모형, 성장모형, 학교책무성 평가
school effect, growth score, HLM, growth model, school accountability evaluation

  • 1. [학술대회] 강상진 / 2004 / 학업성취도 평가를 바탕으로 한 시·도 교육청 학교평가 모형의 적용 /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평가 발전방향 탐색 세미나 자료집
  • 2. [학술지] 김규태 / 2001 /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적 구조 / 교육행정학연구 / 19 (2) : 287 ~ 2
  • 3. [단행본] 김명수 / 2003 / 국가수준의 학교평가 개선방안. 학교발전을 위한 학교평가의 방향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4. [학술대회] 김신영 / 2008 /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제와 전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 개선안 수립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 5. [학술지] 김영철 / 2005 / 학교의 책무성 제고 방안 / 한국교육 / 32 (1) kci
  • 6. [학술지] 김주후 / 2004 / 시도교육청 학교평가 실태 분석 / 교육평가연구 / 17 (2) : 237 ~ 2
  • 7. [학술지] 김주후 / 2006 /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 교육평가연구 / 19 (3) : 21 ~ 3 kci
  • 8. [학술지] 배호순 / 1996 / 교육적 책무성 확립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교육학연구 / 34 (5) : 167 ~ 5
  • 9. [학위논문] 성기선 / 1997 / 인문계 고등학교 학교효과 연구
  • 10. [단행본] 성기선 / 1998 / 학교효과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 원미사
  • 11. [학술지] 성기선 / 2004 /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효과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 교육사회학연구 / 14 (3) : 87 ~ 3 kci
  • 12. [학술지] 이광현 / 2008 / 미국의 책무성 정책이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 26 (1) : 22 ~ 1 kci
  • 13. [단행본] 이인효 / 1999 / 초·중등학교 평가체제 개발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14. [학술지] 임후남 / 2008 / 교육정보공시제의 목적과 의미 / 교육개발
  • 15. [단행본] 정택희 / 2003 / 현행 학교평가의 실태와 문제점, 학교발전을 위한 학교평가의 방향과 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16. [학술지] 조혜진 / 2007 / 교원평가제와 교원성과급제 정책 결정의 딜레마 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25 (1) : 185 ~ 1 kci
  • 17. [단행본] 최희선 / 2004 / 책무성 관점에서 본 학교평가. 학교발전을 위한 학교평가의 방향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18. [학술지] Aitkin, M / 1986 / Statistical modeling issues in school effectiveness studies /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 / 149 (1) : 1 ~ 1
  • 19. [학술지] Burstein,L / 1980 / The analysis of multilevel data in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 8 : 158 ~
  • 20. [단행본] Coleman, J.S. / 1966 /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 U.S. Goverment Printing Office
  • 21. [학술지] Coleman,J.S / 1988 /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94 : 95 ~
  • 22. [단행본] Coleman, J.S. / 1982 / Public and private school. Reprint submitted to the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 National Opinion Center
  • 23. [단행본] Coleman, J.S / 1987 /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Impact of Communities / Basic Books
  • 24. [단행본] Cronbach,L.J / 1976 / Research in classrooms and schools: Formulation of questions, design and analysis. An Occasional paper / Standford.CA.
  • 25. [단행본] Goldschmidt, P.K.C / 2003 / Using hierarchical growth models to monitor school performance over time: Comparing NCE to scale score results. CSE Technical Report / Center for Resr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
  • 26. [단행본] Herman,J.L / 2005 / Making accountability work to improve student learning. CRESST Working paper / UCLA
  • 27. [단행본] Linn,B / 2006 /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CRESST Working Paper / UCLA
  • 28. [단행본] McDonnell,L.M / 2004 / Politics, persuasion and educational testing / Harvard University Press
  • 29. [단행본] Meyers,R.H / 2000 / Value-added indicators: A powerful tool for evaluating science and mathematics programs and policies. NISE Brief, 3, No. 3. Madison / National Center for Omproving Science Education(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30. [단행본] Peterson, P.E / 2003 / No Child Left Behind? The politics and practice of school accountability / Brookings Press
  • 31. [단행본] Raudenbush,S.W / 2004 / Schooling, statistics and poverty: Can we measure school improvement?. The ninth annual William H. Angoff Memorial Lecture. Princeton / Educational Testing Service
  • 32. [단행본] Raudenbush, S.W / 1992 / Hierarchical linear model: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 Sage
  • 33. [단행본] Teddlie, C / 2000 /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 Falm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