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인도네시아에 있어서 정부정책과 종족갈등관리

Government Policies and the Management of Ethnic Conflicts in Indonesia

비교민주주의연구
약어 : CDS
2013 vol.9, no.2, pp.73 - 107
DOI : 10.34164/injede.2013.9.2.003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연구분야 : 정치외교학
Copyright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9 회 열람

본 연구는 종족집단, 종족관계, 종족갈등에 관한 정부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종족갈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정책적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인도네시아는 300여 종족으로 구성된 다종족국가로 문화적, 지역적, 종교적인 균열 상황에 놓여 있다.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자바족의 정치적 우위는 타종족과의 심각한 대립과 갈등을 초래했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억제되어 있던 종족 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격차에 따른 갈등은 민주화 이후 강력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 주목했다. 첫째, 본 연구는 종족문제에 대한 정부정책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주요정책의 특징, 정책변화의 배경과 원인, 종족갈등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했다. 둘째, 본 연구는 어떠한 정부정책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종족갈등이 어떠한 과정과 방식을 통해 관리되었는가를 분석했다. 셋째, 정부의 종족갈등관리정책의 문제점과 한계는 무엇이고 이에 대한 정치사회적 영향은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분석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Indonesia is one of the world’s great multi-ethnic countries. With a total population of around 250 million, at the census more than 300 separate ethnic groups were listed. For several decades, Indonesia has afflicted by serious ethnic conflict. After the breakdown of New Order regime, there were serious ethnic conflicts in Maluku and Sumatra as well as communal violence associated with ethnonationalist mobilization in Aceh and Papua. Decentralization and massive reform were initiated by the new regime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Soeharto. This context is the setting in which ethnic politics is emerging. The possibility of the transition from ethnic conflict to ethnic peace lies in the set of political institutions designed by Indonesia’s government. As one important decision,Decentralization has the effect of declining ethnic conflict and forming national identity. Government policy like this can stress commitment to diversity in unity.

정부정책, 종족갈등, 동티모르, 아쩨, 이리안자야
ethnic conflict, government policy, East Timor, Ache, Irianjaya

  • 1. [학술지] 곽숙희 / 2004 / 사회갈등과 통합에서 언어와 교육정책의 역할 ― 스리랑카의 종족 및 지역갈등을 사례로 / 공간과 사회 (22) : 119 ~ 22 kci
  • 2. [학술지] 김달관 / 2005 / 카리브 해에서 인종과 정치의 혼종성: 도미니카공화국과 아이티를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 / 9 (1) : 25 ~ 1 kci
  • 3. [학술지] 박장식 / 1996 / 미얀마의 종족분쟁의 양상과 국민통합의 전망 / 동남아시아연구 / 4 (1) : 29 ~ 1
  • 4. [학술지] 손주영 / 1999 / 이슬람권 소수민족 분쟁의 역사⋅문화적 전개 / 중동연구 / 18 (2) : 7 ~ 2
  • 5. [학술지] 신명순 / 2002 / 말레이시아 정당 정치의 특성과 민주화의 문제 / 한국정치학회보 / 36 (4) : 365 ~ 4 kci
  • 6. [학술지] 안성호 / 1995 / 민주화와 민족문제 상관관계연구: 동구CASE / 한국정치학회보 / 29 (1) : 353 ~ 1
  • 7. [학술지] 안승국 / 2008 / 인도네시아에 있어서 신질서체제의 해체와 민주화 / 아태연구 / 15 (2) : 179 ~ 2 kci
  • 8. [학술지] 안승국 / 2009 / 성장과 위기의 인도네시아 정치경제 / 아태연구 / 16 (2) : 139 ~ 2 kci
  • 9. [학술지] 안승국 / 2012 / 언어-종족 분절구조와 민주주의: 바누아투와 피지의 사례 비교 / 기억과 전망 (27) : 293 ~ 27 kci
  • 10. [학술지] 압둘 라만 엠봉 / 2003 / 국가, 계급, 그리고 종족갈등-말레이시아의 민주화 경험- / 민주주의와 인권 / 3 (1) : 71 ~ 1 kci
  • 11. [학술지] 유달승 / 1999 / 이슬람권 소수민족 분쟁의 전개과정 : 서남아시아의 아프가니스탄 종족분쟁 / 중동연구 / 18 (2) : 133 ~ 2
  • 12. [학술지] 윤덕희 / 1998 / 사회주의권 변화와 민족주의의 부활 / 한국정치학회보 / 32 (2) : 256 ~ 2
  • 13. [학술지] 윤덕희 / 2000 / 구유고 지역의 민족문제와 민족갈등에 관한 연구 / 국제정치논총 / 40 (2) : 177 ~ 2
  • 14. [학술지] 이병도 / 2006 / 태국 남부 이슬람지역의 유혈사태에 관한 연구 / 국제지역연구 / 9 (4) : 153 ~ 4 kci
  • 15. [학술지] 이병희 / 1999 / 사이프러스의 인종갈등: 그 기원, 발전과 전망 / 대한정치학회보 / 7 (1) : 1 ~ 1
  • 16. [학술지] 이신화 / 1996 / 인종분쟁과 난민위기 예방을 위한 조기경보(Early Warning) / 국제정치논총 / 35 (2) : 79 ~ 2
  • 17. [학술지] 이은구 / 1998 / 민주화 이후 동유럽 소수민족 문제와 민족정치: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학회보 / 32 (4) : 324 ~ 4
  • 18. [학술지] 이희수 / 1999 / 이슬람권 소수민족 분쟁의 비교연구와 전망 / 중동연구 / 18 (2) : 189 ~ 2
  • 19. [학술지] 장용규 / 2007 / 르완다 제노사이드: 후투와 투치의 인종차별과 갈등의역사적 전개 / 한국아프리카학회지 / 26 : 153 ~
  • 20. [학술지] 조흥국 / 2006 / 태국의 지역 및 종족갈등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동아연구 (51) : 149 ~ 51 kci
  • 21. [학술지] 최동주 / 2006 / 저개발국 내전 형 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아프리카 분쟁의 대안적 분석 모델 모색 / 국제지역연구 / 9 (4) : 363 ~ 4 kci
  • 22. [학술지] Booth, A. / 1992 / Can Indonesia Survive as a Unitary State? / Indonesian Circle / 58 : 32 ~
  • 23. [단행본] Gurr, T. / 1994 / Ethnic Conflict in World Politics / West View press
  • 24. [학술지] Hefner, R. / 1987 / Islamizing Java? Religion and Politics in Rural East Java / Journal of Asian Studies / 46 (3) : 533 ~ 3
  • 25. [학술지] Hefner, R. / 1992 / Islam, State, and Civil Society: ICMI and the Struggle for the Indonesian Middle Class / Indonesia / 6 : 1 ~
  • 26. [단행본] Herbert, F. / 1962 / The Decline of Constitutional Democracy in Indonesia / Cornell University Press
  • 27. [학술지] Hislop, R. / 1998 / Ethnic Conflict And The Generosity Moment / Journal Of Democracy / 9 (1) : 140 ~ 1
  • 28. [단행본] Indonesia / 1996 / An official Handbook / Department of Information, Republic of Indonesia
  • 29. [학술지] Joppke, C. / 2001 / Multicultural Citizenship: A Critique / European Journal of Sociology / 42 (2) : 431 ~ 2
  • 30. [단행본] Kell, T. / 1995 / The Roots of Acehnese Rebellion, 1989-1992 / Cornell University Press
  • 31. [학술지] Liddle, W. / 1996 / The Islamic Turn in Indonesia: A Political Explanation / Journal of Asian Studies / 55 (3) : 613 ~ 3
  • 32. [단행본] Marshall M. / 2003 / Peace and Conflict 2003: A Global Survey Of Armed Conflicts, In Self Determination Movements and Democracy /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University of Maryland
  • 33. [단행본] Marshall M. / 2001 / Peace and Conflict 2001: A Global Survey of Armed Conflict, Self Determination Movements and Democracy / Centre For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University of Maryland
  • 34. [단행본] / 1990 / Statistical Handbook of Indonesia /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 35. [단행본] Sundhaussen U. / 1982 / The Road to Power: Indonesian Military Politics 1945-1967 / Oxford University Press
  • 36. [단행본] Suryakusuma J. / 2009 / 천 가지 얼굴의 이슬람 그리고 나의 이슬람 / 아시아 네트워크
  • 37. [단행본] Taylor J. / 1991 / Indonesia’s Forgotten War: The Hidden History of East Timor / Zed Books
  • 38. [단행본] Woodwand M. / 1989 / Islam in Jave: Normative Piety and Mysticism in the Sultanate of Yogyakarta / University of Arizon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