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70.235
13.58.70.235
close menu
KCI 등재
중국기업의 해외진출과 해외산업단지의 의미와 시사점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Chinese ODI and The Industrial Park
최낙섭 ( Choi Nakseop ) , 서봉교 ( Seo Bongkyo ) , 이현태 ( Lee Hyuntai )
중국지역연구 7권 1호 177-210(34pages)
DOI 10.34243/JCAS.7.1.177
UCI I410-ECN-0102-2021-000-0004242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중국 정부가 승인한 중국의 20개 해외 산업단지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해외산업단지는 해외에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중국이 주로 주도하였다. 해외진출 경험이 부족한 중국 기업은 산업 단지에 들어가면서 비용과 리스크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중국의 해외산업단지를 적극적으로 조성한 주체는 중국 정부가 아니라 민영기업들이었다. 20개 주요 해외산업단지 중에서 14개가 민영기업에 의해 조성되었다. 셋째, 중국 해외산업단지는 대개 먼저 기업이 조성하고 나중에 중국 정부가 추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해외산업단지는 중국이 Belt & Road Initiative(BRI)를 제시한 2013년 이전에 최초로 조성되었다. 넷째, 중국 해외산업단지는 각 산업 단지의 특화된 역할과 발전 가능성이라는 경제적인 효율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특색 있는 단지로 조성되었다. 이런 특징들은 중국 기업의 해외산업단지를 통한 해외 진출이 중국의 BRI와 같은 정책적인 목적보다는 경제적인 효율성 추구에 따라 진행되었음을 말해 준다. 이런 중국기업의 해외 진출과 해외산업단지의 건설은 동남아 지역에 집중되었다. 또한 동남아 지역과 중국의 국제 산업 분업이 강화되면서, 이 지역에서의 중국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베트남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장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20 Chinese overseas industrial parks approv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overseas industrial parks were mainly led by China to pursue economic profits abroad, not by recipient countries. Chinese companies, which lack experience in overseas expansion, were able to reduce costs and risks by entering overseas industrial parks. Second, it was the private enterprises, not Chinese government, who actively created the overseas industrial parks. Of the 20 major overseas industrial parks, 14 were created by private enterprises. Third, Chinese overseas industrial parks are usually created by enterprises first and later approv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addition, most overseas industrial parks were first established before 2013, when China proposed the Belt & Road initiative. Fourth, Chinese overseas Industrial parks were developed with distinctive features in each region, consider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each industrial park's specialized role and development potential.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Chinese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through the overseas industrial parks was driven by economic efficiency rather than by policy objectives such as China's BRI. Chinese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and construction of overseas industrial parks were concentrated in Southeast Asia. In addition, with the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industrial division between Southeast Asia and China, China’s market share in the region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Korea has a declining market share in most regions except Vietnam,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a new policy.

Ⅰ. 연구배경
Ⅱ. 중국 해외직접투자 선행연구와 연구 이슈
Ⅲ. 중국 해외산업단지의 현황과 특징
Ⅳ. 중국 해외산업단지의 의미와 시사점
Ⅴ. 결론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