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Inquiry on the Role-Conflict of Paraprofessional in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연구
약어 : -
2008 vol.15, no.2, pp.137 - 162
DOI : 10.34249/jse.2008.15.2.137
발행기관 : 국립특수교육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국립특수교육원
103 회 열람

특수교육보조원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당사자들이 교육현장에서 겪는 역할갈등, 어려움 등에 대한 논의는 피상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나름의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이들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심층적 고찰은 이 제도가 제대로 정착하고 발전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리라 본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 어려움을 당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기준으로 3가지 측면에서 심층면담하였다. 교수-학습 지원 상황에서는 눈치, 역할지시의 부재로 인한 혼란, 지식의 부족으로 어려움, 인간관계에서는 무시, 역할에 대한 잘못된 인식, 차별적 관심과 대우, 어중간한 중간입장으로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환경적인 부분에서는 열악한 고용조건, 나만의 공간 부족, 부족한 연수, 불투명한 소속, 육체적 노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eacher-aid-system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as emerged as a developmental system for effective inclusion from March 2003 in South Korea. The role-conflict and difficulties of paraprofessional in special education have almost discussed in survey inquiry. But the subjective feeling about role-conflict of paraprofessional in the real field of teacher-aid-system could be different from the results through general survey inqui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nterpretate qualitatively what are the role-conflict and bottlenecks of paraprofessional in the real field. They are asked with half-structured questionary in interview in dep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erms of personal relations in the school: the paraprofessional confronts with the problems like neglecting, wrong perception about their roles, discriminative treatment and position hanging in midair. (b) As concerns about situation for learning-support, they should often see how the winds blow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Furthermore they are diffused cause of insufficient instructions from the teachers, how the paraprofessional should support the 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these case, they blushed at their ignorance. (c) About the working condition: they are suffering with much inconvenience like bad salary, poor working surrounding, lack of own-recreative space and hard-physical working.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수행, 심층면담
role-conflict, paraprofessional, teacher-aid-system, in-depth interview

  • 1. [단행본] 강경숙 / 2002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방안 연구 / 국립특수교육원
  • 2. [학위논문] 권애경 / 2005 / 특수교육보조원 활용에 관한 특수학급 학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3. [학위논문] 공임연 / 2005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 4.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3 /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03~07’)
  • 5.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2007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 6.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2007년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 7. [학위논문] 김경옥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교원간 인식 비교
  • 8. [학위논문] 김계환 / 2005 / 특수 및 통합 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 운영실태 및 활용방안
  • 9. [학위논문] 김광수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에 있어서 특수학급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 10. [학위논문] 김선영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인식 조사
  • 11. [단행본] 김영천 / 2006 / 질적연구방법론Ⅰ / 문음사
  • 12. [학위논문] 도외숙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실태 및 만족도 조사
  • 13. [학위논문] 박봉선 / 2006 /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14. [단행본] 박승희 / 2007 / 장애관련종사자의 특수교육 입문 / 학지사
  • 15. [학위논문] 변성희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연구
  • 16. [학위논문] 서정애 / 2005 / 유?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인식
  • 17. [학위논문] 성정현 / 2006 / 특수교육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및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
  • 18. [학위논문] 손영화 / 2007 /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실태와 통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 탐색
  • 19. [학위논문] 이실배 / 2007 /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규범적 임무와 현상적 임무
  • 20. [학위논문] 이인숙 / 2006 /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의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수행 실태 및 인식 조사
  • 21. [학위논문] 이인순 / 2005 /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연구
  • 22. [학위논문] 이희연 / 2006 /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요구
  • 23. [학위논문] 장명수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실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특수학급 교사,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료 조사 연구
  • 24. [학술지] 전인진 / 2001 / 보조교사의 역할 규명과 순기능, 역기능에 관한 고찰 / 특수교육학연구 / 36 (3) : 233 ~ 3
  • 25. [학위논문] 정수연 / 2005 / 비정규직의 조직내 사회심리적 갈등에 관한 연구
  • 26. [학술지] 정정진 / 2005 /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활용방안.강남대학교 / 강남대학교 논문집 / 46 : 1 ~
  • 27. [학위논문] 진은랑 / 2005 /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기대와 갈등에 관한 연구
  • 28. [단행본] 충청남도교육청 / 2007 / 특수교육 운영계획
  • 29. [학위논문] 허미희 / 2006 / 특수교육보조원의 자질 및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 분석
  • 30. [학위논문] 허효남 / 2005 /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한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 31. [학술지] Brown, L. / 1999 / Fever paraprofessionals and more teachers and therapists in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 24 (4) : 250 ~ 4
  • 32. [학술지] Frank, A. R. / 1988 / Training Needs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 Exceptional Children / 55 (3) : 253 ~ 3
  • 33. [학술지] French, N. K. / 2000 / Taking time to save time: Delegating to paraeducators / Exceptional Children / 32 (2) : 69 ~ 2
  • 34. [단행본] Gerlach, K. / 1994 / Strengtbening the partnership: Para-educators and teachers working togethe / Pacific Training Associates
  • 35. [학술지] Giangreco, M. F. / 1999 / The tip of theiceberg: Determining whether paraprofessional support is nee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 24 (4) : 281 ~ 4
  • 36. [단행본] Patton, M.Q. / 1990 /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