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홍릉수목원의 식생유형별 서식지의 특성을 구명하여 향후 도심 내 위치하고 있는 수목원의 관리에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홍릉수목원의 식생구분은 초지-교목형, 소나무림, 화백림, 참나무 우점림으로 구분하여 식생유형과 환경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조사구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64과 125속 162종 2아종 11변종 2품종17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유형별 식피율은 초지-교목형의 교목층 식피율이 가장 낮았으며, 초본층 식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림은 다른 식생유형보다 관목층 식피율이 6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백림은 아교목층식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나무 우점림은 교목층 식피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초본층 식피율은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목본층에서는 0.785±0.547∼1.043±0.524, 초본층에서는 1.713±0.277∼3.141±0.141로 나타났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중 토양pH, 유효인산(Avail. P2O5), 유기물(O.M), 양이온치환용량(CEC) 등에서는 식생유형별 유의차가 있었으나, 토성, 전질소(TN), 나트륨(Na+)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층식생에 대한 NMS 분석결과 식생유형과 환경요인은 구분되었으며, 하층식생에 대한 DCA 서열법을 분석한 결과 경사, 유효인산, 토양pH, 유기물함량은 하층식생의 서식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Vegetation, NMS, DCA ordination, Species diversity, Hongneung arboretum

참고문헌(37)open

  1. [단행본] 국립산림과학원 / 2011 / 홍릉숲이야기 / 지오북 : 32

  2. [기타] 국립수목원 / 2007 / 국가표준식물목록 : 534

  3. [학술지] 김신원 / 1999 / 서울대공원 식물원 재조성계획 / 산림휴양학회지 3 (1) : 71 ~ 81

  4. [학술지] 김용식 / 1995 /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을 위한 복원계획의 필요성 /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15 : 43 ~ 66

  5. [학술지] 김중현 / 2008 /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5) : 481 ~ 504

  6. [학술지] 박석근 / 2003 / 한국의 테마식물원 현황과 전망 / 관광농업연구 10 (1) : 61 ~ 83

  7. [인터넷자료] 법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8. [보고서] 산림청 / 2010 / 수목원·생태숲 전국 권역별 장기 발전방안 연구 : 219

  9. [단행본] 신원섭 / 1998 / 생태맹 극복을 위한 도시림의 활용, In 숲과자연교육 / 수문출판사 : 22 ~ 28

  10. [학술지] 신원섭 / 2003 / 도시림이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한국임학회지 92 (1) : 92 ~ 99

  11. [학술지] 안병일 / 2009 / 도시림과 소음의 상호 연관관계 분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43 (5) : 47 ~ 55

  12. [학술지] 윤용한 / 2004 / 녹지의 토지피복현황과 식재층위구조가미기상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 (1) : 25 ~ 33

  13. [학술지] 윤호중 / 2011 / 태풍 곤파스에 의해 발생한 풍도목 특성과 바람과의 관계 분석 / 한국임학회지 100 (2) : 246 ~ 255

  14. [학술지] 이창복 / 1979 / 자연보호에 있어서 수목원의 역할 / 산림 160 : 59 ~ 63

  15. [단행본] 이창복 / 1985 / 대한식물도감 / 향문사 : 990

  16. [단행본] 이창복 / 2003 / (원색)대한식물도감 / 향문사 : 914

  17. [학술지] 임양재 / 1977 / 홍릉 수목원 수목의 개화시기에관하여 / 한국생태학회지 : 17 ~ 43

  18. [학술지] 임양재 / 1987 / 한국산식물의 개화에 미치는 온도기후의영향 / 한국양봉학회지 2 (1) : 9 ~ 28

  19. [학술지] 임연진 / 2005 / 국립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형태 및 만족도 분석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 (2) : 21 ~ 27

  20. [학술지] 원명수 / 2010 / 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한 산불위험성 평가 -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 (1) : 59 ~ 65

  21. [보고서] 전승훈 / 1995 / 식물의 야생식물 종자보전 전략 : 67 ~ 72

  22. [학술지] 정진현 / 2002 /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 한국임학회지 91 (6) : 694 ~ 700

  23. [단행본] 주진희 / 2005 / 한국양치식물도감 / 지오북 : 399

  24. [단행본] Braun-banquet, J. / 1965 / Plant Sociology, In The study of the plant communities : 439

  25. [단행본] Brower, J. E. / 1977 /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 Wm. Brown Company : 194

  26. [학술지] Curtis / 1951 /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vorder region of Winsconsin / Ecology 32 : 476 ~ 496

  27. [보고서] Hill MO / 1994 /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28. [학술지] Johnson. D.W. / 1982 / The effects of acid rain on forest nutrient status / Water Resour. Res 18 : 449 ~ 461

  29. [학술지] Kim, S. I. / 1994 / Noise attenuation effects of tree / Jour. Korean For. Soc 83 : 400 ~ 409

  30. [보고서] McCune, B. / 2006 /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31. [학술지] Mielke, P. W., Jr. / 1982 / An extended class of permutation techniques for matched pairs / Communities. Statist.-Theor. Meth 11 : 1197 ~ 1207

  32. [학술지] Nowak, D.J. / 1993 / Atmospheric Carbon Reduction by Urban Trees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7 : 207 ~ 217

  33. [단행본] Shannon, C.E / 1963 /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 Univ. Illinois Press

  34. [학술지] Schlegel, H. / 1992 / Element distribution in red spruce(Picea rubens) fine roots; evidence for aluminium toxicity at Whiteface Mountain / Can. J. For. Res 22 : 1132 ~ 1138

  35. [단행본] Van Cleve, K / 1995 / Soil carbon, soil formation, and ecosystem development, In Carbon Forms and Functions in Forest Soils /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 155 ~ 200

  36. [학술지] Whittaker, R.H. / 1965 /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t communities / Science 147 : 260

  37. [학술지] Zak. D. / 1990 / Carbon and nitrogen cycling during old-field succession: constraints on plant and microbial biomass / Bioechemistry 11 : 111 ~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