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ness Assessment of Forest Welfare Services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약어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16 vol.20, no.3, pp.1 - 16
DOI : 10.34272/forest.2016.20.3.001
발행기관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연구분야 : 임학
Copyright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94 회 열람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Forest welfare service, Publicness, Social service, Experts survey

  • 1. [학위논문] 백현진 / 2013 / 노년기 산림복지정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산림치유원 조성 계획을 중심으로
  • 2. [학위논문] Chang, C. Y. / 2015 / A study on the local common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Korean mountain villages
  • 3. [학술지] 조한솔 / 2014 / 근거이론을 이용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도 도입 방안 분석 / 농촌계획 / 20 (4) : 113 ~ 4 kci
  • 4. [학술지] Choi, E. R. / 2004 / Evaluation on public sector roles in childcare: Focused on provision and financ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97 : 22 ~
  • 5. [학술지] 최승호 / 2014 /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Forest Welfare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18 (4) : 73 ~ 4 kci
  • 6. [학위논문] 최용택 / 2009 / 공기업의 공익성과 기업성 확보를 위한 적정사업구조 분석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한주택공사 사업구조를 중심으로
  • 7. [학술대회] Feeney, M. K. / 2009 / Science networks, productivity, and institutions: Realized publicness at public and private research universities / Public Management Research Conference : 1 ~
  • 8. [학술대회] Hur, G. T. / 2014 / A study of forest welfare service system as viewed from functionalist theory / Proceeding of the Winter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 733 ~
  • 9. [학술지] Jang, W. H. / 1998 / Fostering private forest managers /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 21 (4) : 67 ~ 4
  • 10. [학술대회] Jeong, J. H. / 2013 / A study on forest welfare in the view of forest management / Proceeding of the Symposium on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 11 : 53 ~
  • 11. [학술대회] Jeong, J. H. / 2015 / A study on policy-making of forest welfare service / Proceeding of the Fall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 119 ~
  • 12. [학위논문] 정세영 / 2012 / 지방의료원의 공공성과 수익성에 관한 실증분석
  • 13. [학술지] 김혜영 / 2014 / 노인복지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체계화- 서비스 인프라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18 (3) : 1 ~ 3 kci
  • 14. [학술지] 김준현 / 2014 /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공공성 위기 고찰: 정당성 위기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4 (4) : 187 ~ 4 kci
  • 15. [학술지] Kim, J. H. / 2006 / The publicity of childcare services / Catholic Journal of Social Science / 22 : 57 ~
  • 16. [학술지] 김세빈 / 2013 / 임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실수의 지역특화 연구 / 한국임학회지 / 102 (2) : 292 ~ 2 kci
  • 17. [학술지] 김통일 / 2013 / 산림복지 개념 정립과 정책 방향 설정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17 (4) : 119 ~ 4 kci
  • 18. [보고서] Korea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 2014 / An analysis on publicness of news programs
  • 19. [보고서] Korea Forest Service / 2007 / A study on building governance to promote urban forestry
  • 20. [보고서] Korea Forest Service / 2011 / A study on the concept and policy-making of forest welfare
  • 21. [보고서] Korea Forest Service / 2013 / The master plan of Korean forest welfare
  • 22. [보고서]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2009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ness assessment elements in medical institution
  • 23. [학술대회] Lee, S. H. / 2014 / Introducing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forest welfare facilities / Proceeding of the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 11 : 30 ~
  • 24. [학위논문] Lee, S. H. / 2015 / A study on activation strategies for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 25. [학술지] 이수경 / 2012 /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공공성의 쟁점과 개선방안 모색 / 한국자치행정학보 / 26 (3) : 385 ~ 3 kci
  • 26. [학위논문] 이용석 / 2014 / 산림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27. [학술지] 임의영 / 2003 /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 정부학연구 / 9 (1) : 2 ~ 1 kci
  • 28. [학술지] 이진숙 / 2012 / 보육아젠다를 통해 본 공공성의 동학 / 보건사회연구 / 32 (4) : 361 ~ 4 kci
  • 29. [보고서]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 2009 / A study on policy implications of port redevelopment for securing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 30. [보고서]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2015 / The survey on estimating forest welfare baseline in Korea
  • 31. [학술지] 백완기 / 2007 / 한국행정과 공공성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18 (2) : 1 ~ 2 kci
  • 32. [학술지] 박범진 / 2015 /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시설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임학회지 / 104 (2) : 285 ~ 2 kci
  • 33. [학술지] 박수지 / 2009 / 복지국가의 사회서비스 제도화 및 재구조화에 대한 고찰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 61 (3) : 155 ~ 3 kci
  • 34. [학술지] 소명진 / 2003 /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 정부학연구 / 9 (1) : 1 ~ 1 kci
  • 35. [학위논문] Son, J. W. / 2015 / Classifica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for senior’s welfare
  • 36. [학위논문] Tae, Y. L. / 2015 / A study on the foster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social economy in forest sector
  • 37. [학술지] 양성욱 / 2012 /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의 내용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 / 43 (1) : 31 ~ 1 kci
  • 38. [학위논문] Yang, S. W. / 2015 / A study on realized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creating public value on social services provider
  • 39. [학술지] 양기용 / 2013 / 사회서비스 공급체계변화와 공공성: 지역사회서비스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 한국공공관리학보 / 27 (1) : 89 ~ 1 kci
  • 40. [학위논문] Yeom, D. G. / 2015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forest welfare facilities and the content development of the associatedprogram for life cycle stage
  • 41. [학위논문] 유미년 / 2012 / 공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성 및 수익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