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근대 피아노문화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시기 피아노는 한국 근대음악의 표상으로 등장했고, 피아노음악은 문명화된 신문화로 뿌리내렸다. 피아노는 1910년 경 근대식 학교를 통해 등장했는데, 초기 피아니스트로는 김영환 ․ 박경호 ․ 정애식 ․ 김메리 ․ 김원복 ․ 이애내 ․ 김영의 등이 존재했다. 이들은 주로 선교사들에 의해서 세워진 교회 및 근대식 학교를 통해 음악 입문 및 수학을 이루었고, 그 후에 본격적인 피아노 수학을 위해서 일본과 미국, 나아가 독일 유학을 감행했다. 이 시기 피아니스트들의 음악활동으로는 연주와 반주가 지배적이었다. 박경호 ․ 김영의 등이 독주회를 연 바 없지 않으나, 선교 ․ 음악 보급 ․ 단체 후원 ․ 기념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옴니버스식의 연주회가 즐겨 이루어졌다. 또한 피아노는 성악 및 기악 연주회의 반주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것은 이 시기 피아노가 독주악기로서 보다 반주악기로서의 기능이 훨씬 더 우세했던 것을 반영한다. 피아노 독주를 위한 레퍼토리는 주로 서양의 고전 ․ 낭만시기에 한정되었다. 모차르트 ․ 베토벤 ․ 멘델스존 ․ 슈만 ․ 쇼팽 ․ 브람스 등의 작곡가들의 곡들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들의 낭만적인 음악은 각종 콩쿠르의 지정곡으로 제시됨으로써 레퍼토리의 표준화를 강화시켰다. 낭만적인 음악은 물론, 낭만주의 미학관을 수용한 당대 피아니스트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었다. 그러한 문명국에 대한 그들의 환상과 인식은 초기 서양 선교사들이 가졌던 오리엔탈리즘과도 무관하지 않다. 또한 근대시기는 문명적인 것, 곧 ‘깨끗하고 순수함’이 음악에서 순수음악주의를 낳았다. 김영환 ․ 김메리 ․ 김애리시 ․ 윤기성 ․ 박경호 등 많은 피아니스트들은 유행가나 재즈의 도덕 ․ 윤리적 저급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그들의 순수음악주의는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현실 앞에서는 둔감했다.

키워드

피아노와 근대, 한국 근대음악, 초기 피아노문화, 한국 제1세대 전문 피아니스트, 김영환, 김원복, 김영의, 박경호

참고문헌(46)open

  1. [단행본] 고미숙 / 2009 /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민족 ・ 섹슈얼리티 ・ 병리학 / 책세상

  2. [학술지] 김미옥 / 2010 / 특집: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음악 / 음악과 민족 (40) : 47 ~ 90

  3. [단행본] 金允植 / 1997 / 李箱硏究 / 문학사상사

  4. [단행본] 김재용 / 2004 / 협력과 저항 / 소명출판

  5. [단행본] 노동은 / 1989 / 제3전환기 선언. in: 한국민족음악 현단계 / 세광음악출판사

  6. [단행본] 노동은 / 1991 / 일제하 음악사회의 성격. in: 민족음악론 / 한길사

  7. [단행본] 노동은 / 2002 / 일제하 음악인들의 친일논리와 단체 in: 굴욕의 노래 친일음악 / 민족문제연구소

  8. [단행본] 민경찬 / 2006 /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 두리미디어

  9. [단행본] 사이드, 에드워드 / 2007 / 오리엔탈리즘 / 교보문고

  10. [단행본] 새문안 85년사 편찬위원회 / 1973 / 새문안 85년사 / 새문안교회

  11. [학술지] 서우선 / 2007 / 피아노 도입기 수용계층의 특성과 피아노의 사회문화적 의미 / 음악과 민족 (33) : 135 ~ 160

  12. [단행본] 孫泰龍 / 2001 / 每日申報音樂記事總索引 / 민속원

  13. [단행본] 손태룡 / 2007 / 사진으로 읽는 음악사 / 영남대출판부

  14. [단행본] 송방송 / 2009 / 한국근대음악인사전 / 보고사

  15. [단행본] 슈미드, 앙드레 / 2009 /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 휴머니스트

  16. [단행본] 安東林 / 1973 / 梨花學堂

  17. [단행본] 이강숙 / 2001 / 우리 양악 100년 / 현암사

  18. [단행본] 이장직 / 1990 / 개화기 음악의 사회사. in: 음악과 사회 / 청하

  19. [단행본] 한상우 / 2003 /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들 / 지식산업사

  20. [단행본] 홍선표 / 2006 / 근대의 첫 경험 / 이화여대 출판부

  21. [기타] 每日申報 / 1915년 8월 28일자-1945년 3월 31일자

  22. [기타] 朝鮮日報 / 第三回 全朝鮮 男女音樂콩쿨. 1937년 6월 19일자

  23. [학술지] / 1938 / 新進音樂家巡禮-피아니스트 金信德孃 / 朝光 35 : 269

  24. [학술지] / 1938 / 伯林서 音樂修業 五年間 피아니스트 李愛內孃 / 女性 : 38

  25. [학술지] / 1939 / 外國大學生 生活 座談會 / 女性 : 36

  26. [학술지] / 1939 / 三女子專門學校 解剖 / 女性 : 82 ~ 83

  27. [학술지] / 1939 / 本社主催 第四回音樂콩쿨曲目決定 / 朝光 43 : 226

  28. [학술지] / 1941 / 音樂結婚 安柄玿 李愛內氏 新家庭訪問記 / 春秋 5 : 106 ~ 113

  29. [기타] 金管 / 바이올린 音樂小論 : 桂貞植氏 獨奏會를 압두고. 1935년 5월 14일자 / 朝鮮日報

  30. [학술지] 金南天 / 1937 / 朝鮮 人氣 女人藝術家 群像: 金元福 鄭勳謨 / 女性 : 16 ~ 17

  31. [학술지] 김메리 / 1935 / 째스나 流行曲이 一般家庭에 끼치는 影響-남의집애라도 귀막어 주고 싶다 / 新家庭 : 33

  32. [학술지] 김메리 / 1936 / 미쓰朝鮮의 世界:音樂과 美의 歌-피아니스트 金메리씨의 世界 / 新人文學 12 : 29 ~ 30

  33. [기타] 金水鄕 / 1936 / 白高山 少年의 提琴獨奏會를 듣고: 君의 將來를 爲하야 苦言一二(1-4) 1936년 8월 18-21일자 / 朝鮮中央日報

  34. [학술지] 김애리시 / 1924 / 流行歌是非-갓득이나 탕일한 음악엿는데 / 新女性 6 : 51

  35. [학술지] 김영환 / 1924 / 流行歌是非-학교당국을 책망하시오. / 新女性 6 : 47

  36. [학술지] 김인식 / 1941 / 新文化 들어오던 때. / 朝光 68 : 128 ~ 129

  37. [기타] 朴慶浩 / 1935 / 音樂時評: 桂貞植氏의 提琴獨奏會를 듯고. 1935년 5월 19일자 / 朝鮮日報

  38. [학술지] 박경호 / 1935 / 째스나 流行曲이 一般家庭에 끼치는 影響-道德的價値가 없다. / 新家庭 : 52

  39. [기타] 朴慶浩 / 1935 / 콩쿨 審査後感. 1935년 10월 4일자 / 朝鮮日報

  40. [단행본] 朴容九 / 1949 / 渡美 音樂家論. in: 音樂과 現實 / 民敎社

  41. [학술지] 李慶熙 / 1940 / 나의 愛奏曲 / 女性 : 72

  42. [학술지] 윤기선 / 1924 / 流行歌是非-趣味가低級한것을表白하는것이외다. / 新女性 6 : 52

  43. [학술지] 洪蘭坡 / 1936 / 東西音樂의 比較 / 新東亞 : 65

  44. [학술지] 홍난파 / 1939 / 洋樂 朝鮮의 搖籃時代. / 朝光 46 : 125

  45. [학술지] 홍영후 / 1924 / 流行歌是非-해는 잇슬지언정 리익은 업습니다. / 新女性 6 : 48

  46. [인터넷자료] 나운영 /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의 발자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