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여색입체시(Anaglyph)를 이용한 지리 수업

Geographical Instruction used the Anaglyph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0 vol.20, no.1, pp.79 - 87
DOI : 10.35149/jakpg.2010.20.1.008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77 회 열람

입체사진(streoscopic photography)은 두 눈은 두 개의 다른 상을 하나로 만드는 양안시 기능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컬러 필터를 이용해 여색입체사진이 1880년대 발명되었다. 여색입체시(여색법)은 다른 입체시와 다르게 훈련이 없이도 곧바로 안경만 쓰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값비싼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여색입체사진은 모든 지리학습 주제를 답사를 통해 확인해볼 수 없는 현실에서 학생들의 지리적 개념에 대한 괴리감을 줄이고 이해를 촉진시키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여색입체사진이 일선 학교에 널리 보급된다면 지리교육 활성화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Stereoscopic photography makes possible by the binocular vision which changes two different images of two eyes to one image. Since 1880s anaglyph has been invented by using color filter 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Contrast to other stereoscopic vision, without any training the anaglyph feel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only wearing glasses, and makes possible to realize without expensive equipment and a complex process. Also,anaglyph’s photos can be used as an instrument which reduces a gap between the real world and geographical concepts, and improves geographical understanding. If they are distributed widely to schools, it is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in vitalizing geographical education.

입체시, 입체사진, 여색입체시, 지리사진
stereoscopic vision, stereoscopic photography, anaglyph, geographic photography

  • 1. [단행본] 김연옥 / 2003 / 사회과지리교육연구 / 교육과학사
  • 2. [학술지] 박광열 / 2007 / 유사입체 영상 제작에 관한 연구 / AURA (16) : 117 ~ 16 kci
  • 3. [단행본] 박광열 / 2007 / 사진으로부터 출발한 입체영상의 미래 - 일본 3D 입체엑스포를 다녀와서. in: 사진예술
  • 4. [학술지] 홍해진 / 2000 / 동적입체시측정에서교차시차와 비교차시차의 입체시 비교 / 대한안과학회지 / 41 (9) : 183 ~ 9
  • 5. [단행본] Jean G. Poulot / 2005 / 3D 포토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것들 / 다빈치
  • 6. [인터넷자료] / http://www.lmsphoto.com/wanee/bbs/board.php?bo_table=7_2&wr_id=3&page=3
  • 7. [인터넷자료] / http://cafe.naver.com/pbp.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