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제주도 농어촌 지역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애월읍 신엄마을을 사례로-

A Contemporary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on Jeju Island ­Mainly Based on the Case of Shinum Village in Aewol-eup­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1 vol.21, no.3, pp.153 - 170
DOI : 10.35149/jakpg.2011.21.3.012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109 회 열람

본 연구는 제주도 애월읍 농어촌지역 마을인 신엄마을을 사례로 마을내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발굴함으로써 마을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시에 해당자원을 활용하여 마을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는데 목적을 두고 시범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신엄마을의 자원을 발굴한 결과 자연자원은 9개, 인문자원은 12개 등 총 21개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자연자원과 인문자연을 합해 12개의 자원이 비교적 자원가치가 높고 활용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신엄마을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도 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12개의 마을자원에 대하여 스토리텔링을 시도하였다. 마을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은 해당자원의 성격과 특성(10개 항목)을 포함하여 마을자원의 정의, 상징적 의미 및 마을주민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자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비교적 정보를 얻기 용이한 신엄마을을 사례로 검토한 것이지만, 앞으로 제주도 내 다른 마을의 사례를 통해서도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방안 등을 심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in the farming and fishing region of Aewol-eup on Jeju Isl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ntity for the villagers. Also,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such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 vill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a total number of 21 resources, including 9 natural ones and 12 cultural ones, have been found. It has been found that 12 of them, combining both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a relatively higher value as resources, showing a possibility of utilization. Furthermore, regarding the 12 resources at Shinum Village,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urrent stage, a story-telling process has been applied. The objective of such a process for the resources at the village i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sources based on such factors a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10 categories), definition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subject resources in addition to their connection with the villagers. Even if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Shinum Village where it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village resources through the cases of other villages on Jeju Island in the future.

신엄마을, 자원발굴, 마을자원, 자연자원, 인문자원
Shinum Villag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Village Resources,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 1. [단행본] 강순석 / 2004 / 제주도 해안을 가다 / 제주도민속박물관
  • 2. [단행본] 강정효 / 2008 / 제주거욱대 / 도서출판 각
  • 3. [학술지] 김일림 / 2011 / 서울 중랑 옹기마을의 사례 연구 - 질적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2) : 77 ~ 2 kci
  • 4. [단행본] 김찬흡 / 2002 / 제주인명사사전 / 제주문화원
  • 5. [학술대회] 김혜민 / 2006 / 농촌마을의마을자원활용현황분석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 207 ~
  • 6. [단행본] 오창명 / 2007 / 제주도 마을 이름의 종합적 연구 I / 제주대학교출판부
  • 7. [기타] 이형상 / 1702 /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 8. [단행본] 정광중 / 2008 / 제주도의 마을: 다양한 자원이 존재하는 공간 / 국립제주박물관 : 79 ~
  • 9. [학술지] 정광중 / 2008 /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18 (1) : 7 ~ 1 kci
  • 10. [단행본] 제주도 / 1996 / 제주의 방어유적 / 제주도
  • 11. [기타] 제주읍지 / 정조 연간(1780-1789)
  • 12.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 1990 / 주민등록 인구통계 보고서
  • 13.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 2008 / 제주신당조사(제주시권)
  • 14. [단행본] 제주특별자치도인력개발원 / 2008 / 제주여성문화유적 / 도서출판 각
  • 15. [단행본] 제주특별자치도 / 2009 / 화산섬, 제주문화재 탐방 / 도서출판 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