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유적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2012∼2013년 현지조사를 통해 선흘곶자왈에는 다양한 역사문화유적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숯가마 80기(돌숯가마 2기, 1회용 숯가마 78기)를 비롯하여 숯막(움막) 50기, 노루텅(석축함정) 7기, 경작지 20개소, 물텅(통) 10개소가 주를 이루며, 이외에 신앙 유적(신당 및 포제단) 2개소와 동굴 유적 1개소도 포함된다. 이들 유적은 인위적으로 축조하여 사용한 시점은 다르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과거 또는 현재를 살아가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관련 유적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선흘곶자왈 내에서도 역사문화유적이 특정지구에 대거 밀집된 곳이 말하자면 단위생활지구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돌숯가마 1기를 비롯하여 1회용 숯가마 12기, 숯막 1기, 경작지 6개소, 머들, 머들 + 경작지 경계 돌담 41개소, 노루텅 3기 등이 분포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적은 조선시대 말∼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에 축조하여 사용한 것이 있는 반면, 조선시대말∼1960년대 중반까지, 혹은 해방 이후∼1960년대 중반 사이에 축조하여 사용해온 유적들도 있다. 그리고 경작지는 1894년 이후부터 1950년대 말 사이에 주민들이 직접 개간하여 사용해온 유적이다. 이처럼 단위생활지구에는 사용 시기가 서로 다른 역사문화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사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셋째로, 선흘곶자왈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들 중에서 대표성과 원형 유지의 정도를고려하여 5종류의 유적을 세부 측량과 함께 실측하였다. 이들 유적의 측량과 실측을 통해 유적별 단면도, 평면도 및측면도를 제시한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들 유적의 실측 자료는 앞으로 제주의 여러 곶자왈에 분포하는 동일한 유적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선흘곶자왈, 역사문화유적, 돌숯가마, 1회용 숯가마, 숯막

참고문헌(18)open

  1. [단행본] 강창화 / 2006 / 한라산의 역사⋅유적 /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 [학술지] 김대신 / 2008 / 제주도 곶자왈지대의식물상 /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 (2) : 91 ~ 103

  3. [학위논문] 송시태 / 2000 /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에 관한 연구

  4. [기타] 송시태 / 2007 / 제주의 곶자왈 / 제주특별자치도⋅국립민속박물관

  5. [학위논문] 신정훈 / 2012 / 제주고사리삼(고사리삼과) 서식지의 환경 특성, 개체군 동태와 환경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태학적 반응

  6. [학술지] 이경미 / 2012 /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 한국습지학회지 14 (1) : 35 ~ 45

  7. [학술지] 장용창 / 2009 / Gotjawal Forest In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 한국습지학회지 11 (1) : 99 ~ 104

  8. [학술지] 전용문 / 2012 /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고찰: 예비 연구결과 / 지질학회지 48 (5) : 425 ~ 434

  9. [학술지] 정광중 / 2004 / 곶자왈과 제주인의 삶 / 제주교육대학논문집 33 : 41 ~ 65

  10. [학술지] 정광중 / 2008 /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8 (1) : 7 ~ 26

  11. [학술지] 정광중 / 2012 / 제주의 숲, 곶자왈의 인식과 이용에 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 (2) : 11 ~ 28

  12. [학술지] 정광중 / 2013 /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 (4) : 37 ~ 55

  13. [기타] 제주특별자치도 / 2009 / 개정 증보 제주어사전 / 제주특별자치도

  14. [단행본] 제주특별자치도 / 2010 /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선흘1리 / 도서출판 각

  15. [보고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 2012 / 곶자왈의 역사문화자원 현황조사

  16. [보고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 2012 / 곶자왈의 역사유적 현황조사

  17. [보고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 2013 / 곶자왈의 보전 및이용 기술 개발: 곶자왈의 역사유적분포⋅실측조사 및 역사문화자원 평가⋅활용 기술개발 연구

  18. [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 2009 / 제주 서광리 숯가마 발굴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