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곶자왈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곶자왈의 존재방식에 대한 물음과 제언-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Gotjawal -Questions and proposals about the existence of Gotjawal-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5 vol.25, no.3, pp.15 - 32
DOI : 10.35149/jakpg.2015.25.3.002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107 회 열람

제주 곶자왈의 현실적인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된 앞으로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대응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곶자왈은 제주도민들이 당연히 지켜야 할 대상으로, 곶자왈의 무궁무진한 미래 자산적 가치와 제주 섬에서 살아갈 후세대를 위하여 반드시 보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주도민들에게는 곶자왈을 보전하기 위한 수준 높은 시민의식이 요구된다. 두 번째로, 곶자왈의 보전은 ‘지금 이 순간부터’라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곶자왈은 해를 거듭할수록 엄청난 면적의 파괴가 진행되고 있음을 인식해야만 한다. 그리고 곶자왈 보전의 대상 지역은 주민들이 거주하는 ‘마을 주변의 곶자왈’부터 설정하여 접근하거나 혹은 현시점에서 ‘남아있는 곶자왈’ 모두를 설정하려는 전제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 앞으로는 곶자왈을 구성하는 자연요소와 인문(문화)요소를 잘 보전하고, 또 미래에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것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목적의식이 분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곶자왈을 구성하는 자연요소와 인문요소는 곶자왈을 빛나게 하는 자연자원이자 인문자원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곤란하다. 네 번째로, 곶자왈을 보전하고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국립공원이나 생물권보전지역으로의 지정, 또는 현재의 곶자왈도립공원의 확대 지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곶자왈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제로 미래 세대를 위한 최적의 보전과 활용 방안이 무엇인지, 제주도민들의 합의를 통해 결정하는 방안이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preservation and use of Jeju’s Gotjawal, whi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wareness of realistic problems as follows. First, Gotjawal is a subject that absolutely must be protected by Jeju residents, and preserved for its infinite future value as an asset as well a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hat will live in Jeju. Thus, Jeju residents need a high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to preserve Gotjawal. Second, there is a need to adopt a ‘starting from this moment’ strategy to preserve Gotjawal.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Gotjawal is undergoing a significant amount of destruction every year. Moreover, the target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Gotjawal at this point must be set as ‘Gotjawal around a village’ where the residents live, or all of the ‘remaining Gotjawal.’ Third, there must be a clear sense of purpose to well preserve the natural elements and humanistic (cultural) elements that form Gotjawal, and to use them as efficiently as possible in the future. One must not forget that the natural and humanistic elements of Gotjawal are ultimately the natural and humanistic resources that give Gotjawal vitality. Fourth, a specific method to preserve and use Gotjawal might be to designate it as a national park or biosphere reserve, or to expand the scope of the current Gotjawal Park.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decide the optimum methods to preserve and use Gotjawal for future generations based on its value and importance, with the consent of Jeju residents.

곶자왈, 보전과 활용, 제주도민, 자연자원, 인문자원
Gotjawal, Preservation and Use(of Jeju’s Gotjawal), Jeju Residents, Natural Resources, Humanistic Resources

  • 1. [보고서] 강창화 / 2013 / 곶자왈의 역사유적 분포⋅실측조사 및 역사문화자원 평가⋅활용기술 개발 연구(곶자왈의 보전 및 이용기술 개발)
  • 2. [보고서] 강창화 / 2014 / 곶자왈의 역사유적 및 문화자원의 가치 평가와 활용 연구(용암숲 곶자왈의 가치 발굴 및 지속가능한 활용기반 구축 연구)
  • 3. [학술지] 강창화 / 2014 /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4 (1) : 153 ~ 1 kci
  • 4. [학술대회] 김범훈 / 2014 / 곶자왈의 지형⋅지질 및 생태 환경과 지속가능한 관광의 선순환 구조 논의 /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에 관한 심포지엄 자료집: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 : 47 ~
  • 5. [학술지] 김준호 / 1992 / 제주도와 자연, 자원, 그리고 인간 / 제주도연구 / 9 : 49 ~
  • 6. [학술대회] 김찬수 / 2011 / 곶자왈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연구방향 / 곶자왈의 보전과 활용 심포지엄 자료집: 곶자왈, 보전과 활용 어떻게 할 것인가 : 87 ~
  • 7. [학술지] 김효철 / 2006 / 자본과 개발의 식민지, 제주도 / 환경과 생명 / 48 : 182 ~
  • 8. [학술대회] 문영희 / 2014 / 곶자왈의 보전적 활용방안 /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에 관한 심포지엄 자료집: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 : 77 ~
  • 9. [학술대회] 박진우 / 2014 / 곶자왈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법률적 기반 조성 방안 /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에 관한 심포지엄 자료집: 곶자왈의 실체와 보전 : 63 ~
  • 10. [기타] 송시태 / 2007 / 제주의 곶자왈(제주의 민속문화 ④) / 국립민속박물관
  • 11. [학술지] 정광중 / 2004 / 곶자왈과 제주인의 삶 /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 33 : 41 ~
  • 12. [학술지] 정광중 / 2012 / 제주의 숲, 곶자왈의 인식과 이용에 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2) : 11 ~ 2 kci
  • 13. [학술지] 정광중 / 2015 /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 / 문화역사지리 / 27 (1) : 83 ~ 1 kci
  • 14. [보고서] 정광중 / 2012 / 곶자왈의 역사문화자원 조사(곶자왈의 보전 및 이용기술 개발)
  • 15. [학술지] 정광중 / 2013 /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3 (4) : 37 ~ 4 kci
  • 16. [단행본] 제민일보곶자왈특별취재반 / 2004 / 제주의 허파 곶자왈 / 도서출판 아트21
  • 17. [보고서]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 2014 / 곶자왈 보전관리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최종보고서)
  • 18. [인터넷자료] / 곶자왈공유화재단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