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의 특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는 한국 촌락 경관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고성군을 연구지역으로 선택하여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재료를 중심으로 해서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고성군의 13개 면에서 각각 하나의 촌락을 선정하여 총476개 가옥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가옥을 먼저 지붕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그 다음으로는 각 지붕형태와 결부되어 있는 지붕 재료와 외벽 재료에 따라 가옥을 유형화하였다. 연구대상 476개 가옥 중 161개(33.8%) 가 팔작지붕(지붕 형태)-컬러강판(지붕 재료)-시멘트(외벽 재료) 유형의 가옥에 속하였다. 두 번째로 탁월하게 나타나는 유형(81개(17.0%))은 단순평지붕-시멘트-적벽돌 유형의 가옥이며, 세 번째로 탁월하게 나타나는 유형(40개(8.4%)) 은 우진각지붕-슬레이트-시멘트 유형의 가옥이다. 연구대상 가옥의 67%가 전통 가옥의 지붕 형태(팔작지붕, 우진각지방, 맞배지붕)를 취하고 있지만, 현대적 건축 재료가 지붕 재료와 외벽 재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키워드

촌락, 촌락 가옥, 지붕, 지붕 형태, 고성군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전종한 / 2014 / 현대촌락지리학 / 시그마프레스

  2. [학술지] 김기덕 / 2001 /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 (3) : 29 ~ 43

  3. [학위논문] 김영만 / 2004 / 경북북부 전통마을의 민가특성 조사 연구 : 안동군 서미 2리와 문경시 현리를 중심으로

  4. [학위논문] 김용집 / 1998 / 전북지방 농어촌주택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단행본] 김홍식 / 1993 / 한국의 민가 제1권 / 한길사

  6. [단행본] 김홍식 / 1993 / 한국의 민가 제2권 / 한길사

  7. [학술지] 박태화 / 1998 / 맞배지붕 민가의 발달과 구조 / 국토지리학회지 32 (2) : 59 ~ 86

  8. [학술지] 박태화 / 1998 / 맞배지붕 민가의 사진에 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7 : 105 ~ 115

  9. [학술지] 박태화 / 2002 /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 (1) : 3 ~ 47

  10. [단행본] 이전 / 2011 / 촌락지리학 / 푸른길

  11. [학술지] 장보웅 / 1974 / 제주도 민가의 연구 / 지리학 10 : 13 ~ 31

  12. [학술지] 장보웅 / 1980 / 한국의 민가형 분류와 문화지역구분 / 지리학 22 : 41 ~ 58

  13. [학술지] 장봉기 / 2013 / 슬레이트 지붕의 설치년도와 면적에 따른 공기 및 유출 빗물 중의 석면 농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3 (3) : 196 ~ 204

  14. [단행본] 조성기 / 2006 / 한국의 민가 / 한울아카데미

  15. [단행본] 홍경희 / 1985 / 촌락지리학 / 법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