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덕수궁과 경희궁에 대한 궁궐지형 고찰

Study of Deoksu-gung and Gyeonghui-gung's Palace Terrain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8 vol.28, no.2, pp.73 - 87
DOI : 10.35149/jakpg.2018.28.2.006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171 회 열람

조선 시대의 풍수는 민간에서 이루어진 민속행위가 아니라 왕실과 관료집단에서 활용한 통치기제였다. 고려의 태조 왕건의 탄생설화와 조선의 한양천도 그리고 육룡의 왕릉 성역화 과정에서 나타난 풍수적 활용은 왕조의 정통성을 마련해 주었다. 서울의 왕궁은 조선의 창업과 더불어 창건되었는데, 풍수지형에 맞추어 궁궐터를 선정하였다. 경복궁은 중심능선을 따라 아미산과 교태전・강녕전・근정전을 배치하여 축선을 통일하였고, 균형적인 공간을 배치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 선조의 행궁이었던 덕수궁은 사대부의 저택을 왕이 임시로 머무르는 장소로 활용하였으므로궁궐지형을 갖추지 못한 것이 당연하였다. 광해군이 창건한 경희궁은 그가 중건했던 창덕궁의 풍수가 길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배척하였고, 정원군의 잠저에 왕기가 서렸다는 말에 그의 집을 빼앗아 경희궁을 지었다. 궁궐을 지을 수있는 풍수지형인지의 여부를 논하기 전에 정치적 판단으로 궁궐을 지은 것이다. 이러한 독단은 신하와 백성들의 민심이반을 초래하였고 결국 인조반정이 일어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Feng Shui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a folk act performed in the private sector, but a ruling mechanism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bureaucratic groups. The use of feng shui in the process of regeneration of the royal tombs of the kingdom of Hanyang and Chosu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birth of King Taejo of King Koryo of Korea provided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The palaces of Seoul were built with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alac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eng Shui Terrain. Gyeongbok Palace unified the axis by arranging Amicsan, Gyotaejeon, Gangnyeonjeon, and geunkjeongjeon along the central ridge, and arranged a balanced space. Deoksu-gung, which was the palace of the late Joseon Dynasty, used the mansion of Sadaebu as a temporary place for the king to stay. It was natural that it did not have a palace terrain. Gwanghae-gun rejected Changdeokgung, builted by him, because of the fact that it can not make a feng shui temple of Changdeokgung and took Jeongweon-gun’s house and built the Gyeonghui-gung Palace to the point that the royal family had stood the king in his house. Before discussing whether it is a feng shui terrain that can build a palace, he built a palace by political judgment. This kind of dogmatism resulted in the dissolution of the people and people of the people, and eventually gave birth to a InCho restoration.

덕수궁(德壽宮), 경희궁(慶熙宮), 궁궐지형(宮闕地形), 풍수요소(風水要素), 금천(禁川)
Deoksugung Palace, Gyeongheegung Palace, palace geographical features, Fengshui Elements, Geumc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