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숲길 이용자의 의식분석을 통한 숲길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of Forest Trail Management through Consciousness Analysis of Forest Trail User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8 vol.28, no.3, pp.115 - 130
DOI : 10.35149/jakpg.2018.28.3.009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130 회 열람

본 연구는 숲길 이용자의 의식분석을 통해, 숲길 종류별 이용에 적합한 숲길의 조성과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등 합리적 숲길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숲길의 종류별 인지도가 21%로 매우 낮아, 숲길 분류의 명확성과세부적 기준의 마련 및 이에 대한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숲길 이용의 만족도는 전체 평균(리커트)이 3.25로 낮았다. 요인별 만족도는 접근성이 4.2로 가장 높았고, 치유성, 건강성, 연계성 등의 순이었으며, 승부성이 2.2로 가장낮았다. 특히 자연성과 저비용 등은 중점 개선이 필요하였다. 숲길의 종류별 여건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의개발, 주요 숲길에 안내시설과 인력을 확대하여, 산림환경의 훼손 방지 및 숲길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숲길의 정보습득은 인터넷이 과반을 차지하여, 주요 정보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숲길 이용자가 숲길 난이도에 따라 이용 목적에 적합한 숲길을 선택할 수 있게 객관적 숲길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숲길 이용자의 안전사고에 대처를 위한 숲길 이용의 매뉴얼 작성 및 각종 편의시설물 설치 등의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이용 숲길의 재탐방, 타인에게 추천, 다른 숲길이용의 선호도는 모두 높았고, 특히 휴양치유 숲길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를 고려한 숲길의 조성⋅관리, 이용 정책의 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forest trails management such as suitable forest trail composition by type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users through consciousness analysis of forest trail users. The awareness of forest trail by type was too low with 21%, and so clarity of forest trail classification and detailed standard is needed and advertisement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satisfaction level of forest trail use was low with 3.25 in overall average of Likert scale. Satisfaction level by factor was highest with 4.2 in accessibility, followed by therapy, health, connectivity, and competition was lowest with 2.2. Especially, naturalness and low-cost should be highly improved. Prevention of forest environment damage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users are required by developing diverse programs and by expanding guidance facilities and employment based on condition and time by forest trail type. Third, provision of objective forest trail information is needed to make users choose forest trails matched with the user’s purpose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 by constructing system and network for major information offering because half of the users get informed about forest trail through internet.Also, manual guidance and amenities installation are nee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 of forest trail users. Firth, revisiting of the used forest trail, recommendation to others, use of different forest trail were preferred all. Especially, recreation and therapy forest trail was preferred the most, and thus, managing the forest trail and strengthening policy is needed considering this result.

숲길 이용자, 이용형태, 의식분석, 숲길관리
forest trail user, utilization pattern, consciousness analysis, forest trail management

  • 1. [학술지] 권태호 / 2004 / 숲길의 바람직한 정비방안에 관한 고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92 (1) : 165 ~ 1
  • 2. [학술대회] 권태호 / 2005 / 숲길의 바람직한 정비방안 수립을 위한 탐방객 인식 조사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96 ~
  • 3. [단행본] 김구 / 2008 / 한글 SPSS 14.0을 이용한 사회과학 계량분석의 활용 / 비앤앰북스 : 139
  • 4. [기타] 북부지방산림청 / 2013 / 2012년 청태산 치유의 숲 운영 결과
  • 5. [기타] 산림청 / 2013 / 2013년 숲길의 조성 및 운영⋅관리 매뉴얼
  • 6. [보고서] 산림청 / 2015 /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결과 보고서 : 30 ~
  • 7. [기타] 산림청 / 2017 / 임업통계연보
  • 8. [보고서] 산림청 / 2017 / 2016/2017년도 산림과 임업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 220 ~
  • 9. [학술지] 손지원 / 2012 /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101 (2) : 309 ~ 2 kci
  • 10. [기타] 울진국유림관리소 / 2014 / 2013년 금강소나무숲길 운영⋅관리 위탁운영 결과
  • 11. [기타] 인제국유림관리소 / 2013 / 2012년 점봉산 생태안내프로그램 운영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