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간은 인간과의 교감이 기술적인 부분이 더해져 다양한 요소로 소통되어지고 있다. 특히 시각매체는 읽혀지는 정보의 기능으로부터 인간의 행동에 대한 통제와 공간의 기능을 더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주고 있다. 공공공간은 이러한 교감과 경험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소로서 많은 정보와 체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 시점에서 대입되어지는 경험매체들이 공공공간에 사용되어지는 사례들을 통해 상호작용성이 이루어지는 기술적인 부분부터 인간이 체험되어질 때 느껴지는 감각적인 부분까지 다루어 보았다. 또한 인터렉션디자인이 가지는 특성과 GUI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공간디자인에 중요한 요소로서 지속적으로 변화되어지는 공간에 확장하여 연구되어지도록 하였다.

키워드

공공공간, 인터렉션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사용자, 경험, 공감각, GUI

참고문헌(5)open

  1. [학위논문] 김기환 / 2005 / 현대 건축에서 공공영역 구축방식과 도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2. [학위논문] 강국 / 2003 / 현대도시에서의 공공성 및 공공 영역의 재해석을 통한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3. [학술대회] 천지혜 / 2007 / 감성적 이미지 생성기법을 적용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4. [학술지] 이동영 / 2007 / 현대 공간디자인에 나타나는 인터페이스의 표현특성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9 (1)

  5. [단행본] 지상현 / 2007 / 디자인의 법칙 / 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