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DMZ 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방안

Space Design Policy Alternative for the creation of the DMZ Peace Park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약어 : -
2013 vol.8, no.3, pp.137 - 145
DOI : 10.35216/kisd.2013.8.3.137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9 회 열람

(연구배경 및 목적) 박 대통령은 2013년 미국의 상*하 양원 합동연설에서“DMZ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고 천명하였다. 이에 정부와 지방정부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DMZ 평화공원 조성에 따라 DMZ일원 생태환경보호를 조건으로 세계평화의 상징인 동시에 지역경제에도 이익이 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관점에서 디자인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에 DMZ 관련문헌연구를 통하여 문제, 조건, 활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DMZ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내 외 사례를 네오, 에코투어리즘으로 분별하여 사례를 살펴보고 시간적, 공간적, 디자인적 조성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결과)시간적 단계별 계획으로 1단계 테마별 평화공원 조성 후보지 배후시설 확충, 2단계 UN 관리 평화공원조성, 3단계 남북 DMZ관련 공간 및 시설 연결통합화를 제시하였다. 공간적 접근방안으로 수직, 수평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간디자인 조성방안으로, DMZ일원에 거버넌스 차원의 남과 북을 아우르는 DMZ평화벨트 조성을 제안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Park Gun-Hye, stated her standpoint saying, "I want to make the demilitarized zone into a world peace park" in the speech delivered to the House and Senate of the United States in 2013. In this regar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Korea are suggesting various policies to create a DMZ world peace park.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ot only the DMZ world peace park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zone as a symbol of the world peace but also the policy plan to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from the space design perspective.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problems, conditions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DMZ related studies was considered carefully. And temporal, spatial and design alternatives are suggested taking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peaceful use of the DMZ and categorizing them into Neo and ecotourism.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by stages; 1st stage: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palace by categories and securing the related infrastructures, 2nd stage: The creation of the peace park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ed Nations, 3rd stage: The suggestion of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space and facilities between 2 Koreas(South & North) which means the creation of the DMZ peace belt that governs South and North as a policy plan in the space design.

비무장지대, 평화공원, 공간디자인정책
DMZ : Demilitarized Zone, Peace Park, Space Design Policy

  • 1. [단행본] 김계중 / 2006 / DMZ, 사랑과 평화의 공간, In DMZ의 생태와 반도의 평화 / 아카넷 : 59 ~
  • 2. [보고서] 박성조 / 2006 / 경기도-북한지역 협력 및 공동개발, 독일 경험을 중심으로 : 97 ~
  • 3. [보고서] 성현찬 / 2007 / DMZ 일원 자연환경보전 및 생태관광 추진방향 설정 연구 : 9 ~
  • 4. [학술대회] 신원우 /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생태계 보전대책, DMZ 접경지역의 현황과 전망 / DMZ 특별위원화 공동개최 세미나자료 : 13
  • 5. [보고서] 정성우 / 2009 / DMZ 일원의 환경보전 기본 방향 : 57 ~
  • 6. [학술대회] 한정엽 / DMZ 그린커넥션 시티로의 부활 / 공간디자인 학회 학술발표 : 1 ~
  • 7. [학위논문] 한정엽 / 2009 / DMZ 일원의 공간디자인 선행지표 체계화 모형 : 그린커넥션시티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 8. [학술지] 한정엽 / 2010 / DMZ일원 정비구역의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GIS기술 활용방안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5 (2) : 71 ~ 2 kci
  • 9. [인터넷자료] / 두산백과사전
  • 10. [인터넷자료] 법제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11. [인터넷자료] 한상진 / 통일정책에 도움 줄 ‘남북통합지수’ 만들었어요
  • 12. [인터넷자료] 조은효 / 반기문 총장“유엔도 DMZ 평화공원 어떻게 도울지 검토
  • 13. [인터넷자료]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 / 관광 패러다임 쉬프트와 네오투 어리즘 /
  • 14. [인터넷자료] 정용석 / 평화공원 조성 아직 서둘 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