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나라 인구의 절반이 도시 환경에 사는 현재, 도시 생활은 인간에게 위생적인 환경과 편리한 삶을 제공해주었지만 이와 더불어 인간의 근본적인 자연 친화적 삶을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상황을 야기 시켰으며 이에 환경학자들은 현대도시인들이 가진 가장 광범위하고 심각한 질병이 '자연 결핍 증후군'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답답한 도심의 일상을 벗어나 자연환경이 좋은 곳에서 여가 생활을 하며 웰빙과 힐링을 즐기는 트랜드가 형성되었으며 쇼핑 공간 또한 단순히 쇼핑만을위한 공간이었던 과거에서 벗어서 쇼핑과 더불어 자연 체험을 하고 삶의 풍족감을 누리는 공간이라는 인식이 확대되었다. 이에본 연구는 쇼핑 공간이 쇼핑과 더불어 현재의 라이프 스타일 트랜드를 반영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으로 기획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교외형 쇼핑몰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연 요소를 쇼핑 공간에 도입시키는 방법들을 구체화하여 추후 교외형 쇼핑몰 초기 기획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먼저, 개발 초기 단계로 아직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쇼핑몰에 대한 개념과 교외형 쇼핑몰의 공간 배치 특성을 이론적 고찰 하였다. 다음으로, 자연속에서 공간에 도입시킬 수 있는 4가지 요소를 선정하여 공간 속에 표현하는 방법과 도입하는 시키는 방법을 구체화 시켜 이론적 고찰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만들어진 분석 모형을 통해 국내, 외 교외형 쇼핑몰을 조사하였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자연 요소를 쇼핑 공간에 도입시킬 때 고객은 쇼핑과 더불어 다양한 자연 친화 체험으로 쇼핑 공간에 대한만족감을 높일 수 있었다. '빛'은 개방형 구조가 특징인 교외형 쇼핑몰에 가장 빈번하게 도입된 자연 요소이다. 또한 '식물'은 쇼핑몰 실내, 외 공간에 조경을 조성하거나 휴게 정원을 배치하는 등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도입이 가능한 자연 요소이다. 특히 '물' 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교외형 쇼핑몰의 경우, 쇼핑 공간 전체에 '물'이 특징적인 컨셉으로 자리 잡았고 고객의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자연 친화 체험을 제공하여 쇼핑 공간의 만족을 높였다. 또한 '개방'과 '배치'는 사례의 모든 쇼핑몰에서 도입되었던 방법이다. 자연 속에 개방되어있는 쇼핑 공간과 동선 흐름에 따라 배치된 자연 요소들은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자연 친화 경험을 유도하였다. (결론) 기존의 리테일 환경과 비교하여 교외형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적인 장점은 입지적 자연환경을 부각해쇼핑 공간에 자연을 도입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쇼핑몰이 서로 다른 특징적인 컨셉을 가질 수 있으며 쇼핑 공간에 대한 고객의 탐닉을 배가시켜 고객의 만족을 이끌 수 있다.

키워드

교외형 쇼핑몰, 자연 요소, 표현과 도입, 자연친화 체험 효과, 상업 공간 디자인

참고문헌(8)open

  1. [학술지] 최원선 / 2010 / 체험을 적용한 쇼핑몰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 Pine & Gilmore의 체험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5 (2) : 81 ~ 90

  2. [학술지] 한혜신 / 2009 / 현대 상업공간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오나먼트의 표상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8 (6) : 133 ~ 141

  3. [학위논문] 한인호 / 2009 /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자연요소의 감성적 표현과 인지에 관한 연구

  4. [학위논문] 장현진 / 2013 / 도심형 복합쇼핑몰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5. [학위논문] 정미정 / 2004 / 미메시스(Mimesis) 이론을 적용한 실내설계연구 : 자연이미지가 표현된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6. [학술지] 김성은 / 2014 / 자연 모티브를 활용한 상업 공간의 혼성적 재료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9 (1) : 93 ~ 101

  7. [학술지] 나인영 / 1998 / 실내공간의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 자연성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 실내 디자인 학회지 (17) : 55 ~ 56

  8. [학위논문] 윤석준 / 2011 / 국내 대규모 복합쇼핑몰에 나타나는 경험디자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