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 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 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시설물, 식재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시설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시설, 휴식시설, 농업시설, 경관시설 비중이 높아졌으며 경계시설, 이동시설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시설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시설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시설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시설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시설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 등 활동이 나타나는 시설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

전통정원, 현대정원, 정원문화, 공간비율, 주택정원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An, B. W. / 1993 / Landscape gyehoekron / Munundang.

  2. [학술지] 조동범 / 2007 / 도시 단독주택 정원의 공간적 특징과 유지·관리에서 보이는 거주자의 정원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조경학회지 34 (6) : 54 ~ 65

  3. [학위논문] 최봉수 / 2012 / 維持管理類型別 住宅庭園 構成要素의 變化特性에 關한 比較 硏究

  4. [학술지] 허준 / 2009 / 민가의 전통정원 재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이장우 가옥을 대상으로 – / 농업사연구 8 (3) : 110 ~ 133

  5. [학술지] Hyun, Y. J. / 1994 / New lifestyles and residential landscaping / Lafent 77 (9) : 158 ~ 161

  6. [학술지] 진혜영 / 2011 /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농촌계획 17 (4) : 51 ~ 60

  7. [학위논문] Jin, J. Y. / 2010 / Analysis of type and floral plants in korea home garden-Focussed on the metropolitan area

  8. [학위논문] 강철현 / 2007 / 주거단지 옥외공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통개념 적용에 관한 연구

  9. [학술지] 권진욱 / 2013 / 현대정원에서 투영과 투명성 재료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프랑스, 쇼몽 가든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14 (2) : 13 ~ 23

  10. [학술지] 이주형 / 2011 / 주택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분석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4 (5) : 315 ~ 329

  11. [학위논문] 이나라 / 2015 / 도시 내 농촌마을 주택정원의 변화현상과 거주자의 정원인식에 관한 연구

  12. [학위논문] 이승훈 / 2005 / 한국정원의 전통설계요소 표현에 관한 연구 :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 사례중심

  13. [단행본] Norman K. Booth / 2008 / 조경계획과 설계 / Naeha

  14. [단행본] O, K.A. / 2013 / 정원의 발견 / 궁리

  15. [학위논문] 오성탁 / 2013 / 한국전통정원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

  16. [학술지] 박은영 / 2011 /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 (2) : 28 ~ 38

  17. [보고서] / 2014 / 한국 전통정원활성화를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지원방안 연구

  18. [학술지] 송정화 / 2012 / 한국 전통정원의 식재 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 (4) : 287 ~ 299

  19. [인터넷자료] 한국농어민신문 / 수목원・정원법 본격 시행, 일자리 창출 블루오션 정원 산업 뜬다

  20. [인터넷자료] / 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