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노령인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노인들에 대한 부양과 배려의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에 거주하는 독거노인들이 느끼고 있는 소외된 감정과 정신적 박탈감은 앞으로의 사회적 문제로 크게 부각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인 쪽방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대상으로 주거공간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서울‘쪽방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이라는 명확한 대상을 선정하였다. 첫째, 쪽방, 소형주택, 독거노인, 고령화 사회를 키워드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의 실증적 결과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 연구 대상 지역인 종로구 창신 1동 일대를 방문하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분석을 하였다. 셋째, 동대문쪽방상담센터의 협조를 통해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독거노인들의 생활 실태를 확인하였다. (결과)쪽방 거주자의 생활 환경 유형을 분석한 결과, 생계가 어려워 쪽방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방안에 세간물품들을 쌓아 놓고 정리 하지 못한 채 좁은 공간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쪽방 내부공간에서의 생활은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 해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물건은 보관이 용의하고 간편해야 하며, 위생적이고 안전한 환경이 제공돼야 한다. 이를 위해 거주하는 공간은 최소한의 공간이 제공되어져야 하지만, 최저주거기준(총 주거면적 14㎡(4.5평))에 부적합한 1.06평으로 쪽방 공간 안에서의 취사생활을 겸하고 있었다. 따라서 쪽방거주 독거노인이 소유하고 있는 필수 생활물품들이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조화롭게 배치하는 방법 및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물건 중에서 중·소 물건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공간에 분류하기 위한 수납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쪽방거주 독거노인들의 실제 거주 환경과 실상은 신문이나 방송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소개한 것보다 훨씬 열악한 환경이었다. 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회적 배려대상, 즉 소외된 계층을 위한 디자인은 조형성이나 기능성보다는 사용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감성 디자인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가시적 성과를 중시하는 연구보다는 구현 가능성이 크고 현실적인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재료 선택에 있어 경제적 논리에 치중하여 저비용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인체에 해롭거나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를 배제하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이어야 한다. 넷째, 연구결과물은 그 자체에만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키워드

소형 주택, 쪽방촌, 1인 가구, 독거노인, 공간디자인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Abraham H. Maslow / 1970 / Motivation and Personality / Harper & Row

  2. [단행본] Chae, Jeongeun / 2014 / An Analysis of Spatial Concentrated Area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Concentrating Factors in Seoul / The Seoul Institute

  3. [단행본] Hawkins, D. I. / 1983 / Consumer Behavior: Implication for Marketing, Strategy / Business Publication. Inc

  4. [단행본] Hong, Sungtai / 1999 / Roots do not see, Pakyoungsa / Pakyoungsa : 211 ~ 213

  5. [단행본] Jung, Heeyeun / 2012 / Building the Futures of Seoul, Prospects and Policy Agendas in the Context of Spatial Evolution / The Seoul Institute

  6. [단행본] Karl T. Ulrich / 2003 / Product Design Development / McGraw Hill

  7. [단행본]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2012 /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of Older People and Policy Implications, 192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8. [학술지] 이동민 / 2014 / 노년층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른 새로운 주거공간에 대한 UX 디자인 방향 연구 / 디자인지식저널 (31) : 135 ~ 144

  9. [단행본] Lee, Jeongkwan / 2013 / A Study on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Seoul / The Seoul Institute

  10. [단행본] Lee, Heeyeon / 2015 /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ighly Concentrated Districts of the Low-income Elderly in Seoul / The Seoul Institute

  11. [인터넷자료]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12. [단행본] Seoul Design Foundation / 2014 / Research on system designs of household furniture suitable for the lifestyle of small houses / Seoul Design Foundation

  13. [인터넷자료]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4. [기타] Son, Yeonkyung / 2010 / Overview and outlook of Small-sized Housing Market / Hana Finance Info. 65

  15. [단행본] Yeun Jungil / 2007 / 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 Hak Ji Sa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