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은 지금 다문화가 병행하여 발전하는 정보화 시대이며 인테리어 디자인 스타일 또한 다양한 트렌드를 나타내고 있다. 신중식 실내 스타일도 그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적 느낌이 나면서도 현대적 디자인의 세련된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여, 자연스럽게 융화시켜 현대인들의 미에 대한 기준을 찾는 공간 스타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신중식 실내 스타일의 긍정적인 가치와 맥락을 이해하고, 신중식 실내 스타일의 주요 디자인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상공간을 중심으로한 디자인 적용방법을 도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국 신중식 스타일은 문헌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였는데, 4가지 적용 방법의(문양, 색, 재료, 가구) 개념을 정리 한 후 그의 따라 표현되는 7가지 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신중식 스타일의 적용 방법과 공간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사례분석을 통해서 신중식 스타일의 어떤 디자인 적용 방법을 사용하고 또한 그 디자인 적용 방법에 따라 어떠한 공간의 특성으로 나타나는지 도표로 산출하여 결과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5가지 사례분석을 문양, 색, 재료, 가구의 4가지 적용 방법 특성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각 사례마다 강조하는 적용 방법을 통해 다양한 공간 특성이 색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전통 가구 적용방법에서는 활용성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부족함을 나타낸다. 신중식 실내 공간을 디자인 할 때 공간의 기능에 따라 방법을 다르게 적용하고 재료와 가구에 방법을 더 치중적으로 적용하면 상공간 안에 신중식 스타일을 더욱 깊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문양, 색, 재료, 가구, 네 가지 적용 방법을 다섯 개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적용 방법의 유형에 대해 분류하여 적용 비율을 도출하면 문양 적용 방법 중에서 기하문양, 색 적용 방법 중에서 흰색, 재료 적용 방법 중에서 목재와 가구 적용 방법 중에서 병풍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낸다. 이런 높은 비율의 적용 방법을 위주로 사용한다면 현대 실내 공간에 더욱 신중식 스타일의 공간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신중식 실내 공간을 계획할 때 특히 각각 디자인 적용 방법의 특성을 강조하여 공간을 디자인 한다면 새로운 중국 전통 스타일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상공간을 만들 수 있고, 또한 이런 다양한 적용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신중식 스타일 적용 방법의 색다른 시도와 상공간 특성의 상호 관계는 새로운 유형에 의해 독특한 신중식 실내 공간을 구성하며, 중국 전통 문화를 창의적이고 실험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재현되어 중요한 시너지 요소가 될 수 있다.

키워드

신중식 스타일, 상공간, 실내 디자인, 적용 방법, 공간 특성

참고문헌(19)open

  1. [단행본] Bao, Mingxin / 1998 / Viewing Fashion form istance / China Textile University Press

  2. [학위논문] 김현진 / 2012 / 상업공간 파사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홍익대 인근 '차 없는 거리'의 소규모 상점을 중심으로

  3. [단행본] Jiang, Yue / 2015 / 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New Chinese - Style Form and Meaning / Heilongjiang Nongken Vocational College

  4. [학술지] 김지현 / 2015 / 국내 복합상업시설 식음공간의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적 요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49) : 111 ~ 120

  5. [학위논문] Li, Ying / 2014 / The theory of the New Chinese Style of Modern Household Space Design

  6. [단행본] Liang, Zhitian / 2011 / Hongkong Designer in the Eyes of the New Chinese / Time Space

  7. [단행본] Liu, Jinwen / 2003 / Explore "New Chinese" Furniture Design Style / Nanjing Forestry University Press

  8. [학위논문] Liu, Feifei / 2010 / The Study of Chinese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Applied in the Modern Interior Design

  9. [학위논문] 밀봉민 / 2012 / 중국 차 전문점에서 메인 출입공간의 기하학문양 활용에 관한 연구

  10. [단행본] Mao, Xiaoyun / 2010 / The Application of New Chinese Style in Interior Design / Jinchang decoration

  11. [단행본] Sa, Xiaohong / 2008 / On the New Chinese Style Decoration Design / Metallurgical Science and technology Career Academy

  12. [학술지] 석영 / 2011 / 중국 흑룡강 성의 소수민족 전통주거공간에 대한 비교 연구 -만족, 조선족, 어룬춘 족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36) : 29 ~ 38

  13. [학위논문] Wu, Jing / 2009 / Based on the Theory of Innovation of New Chinese Style of Interior Design

  14. [학위논문] Xiong, Hongli / 2008 / The New Chinese Style and Modern Interior Decoration

  15. [학위논문] Xu, Jian / 2010 / Chinese Five-Color and Modern Living Room Interior Color Analysis

  16. [학위논문] Yang, Kai / 2014 / New Chinese style in interior design

  17. [단행본] Zhang, Qiman / 2006 / Interior Design Styles and Genres / China Building Industry Press

  18. [단행본] Zhou, Liang / 2010 / The contemporary "new Chinese style" design research / Art Work

  19. [학위논문] Zhang, Yan / 2012 / Research and Exploration of New Chinese-style Architecture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