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전시 프로그램 개발에 의한 한국기계연구원 전시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hibition Hall Design in KIMM in Accordance with the Exhibition Program Development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약어 : -
2018 vol.13, no.3, pp.145 - 154
DOI : 10.35216/kisd.2018.13.3.145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02 회 열람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의 기계 분야는 산업적 측면에서 비중이 매우 높으며 국가 경쟁력의 기준이 되는 영역이다. 또한 과거 국내 기계 산업은 영세한 분야 이었으나 국가 차원의 지원과 발전으로 현재는 국가의 대표적 수출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분야라 하겠다. 현재 국내의 기계 산업은 중소기업 및 대기업에 이르기 까지 넓은 산업적 인프라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문적 계열화를 형성하여 다른 산업분야에 비하여 수익 창출이 높으나 2010년 이후 경제적 측면에서 내수시장의 협소로 세계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생산을 특화하려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기계산업 연구의 요람인 한국기계연구원의 연구 및 산업적 제품 개발과 생산성을 기반으로 도약하여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 산업의 판로를 개척하는 공격적인 알림은 매우 필요하며 특히 방문자에게 전시관 관람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전달하는 전시관 공간 디자인은 중요하다. 전시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차별화된 전시관 디자인은 매우 중요하며 새로운 기계분야의 전시공간을 디자인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기계분야 전시관 디자인 연구는 기계 산업 분야에 대한 개발 제품 및 과정을 전시관 방문자에게 명료하게 전달하고 기계 산업의 미래를 확인시키는 내용을 공감시키는데 디자인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주제별 공간의 내용과 관람을 통하여 인지할 수 있는 전시 개념을 다양한 전시 연출매체를 통하여 공감시키므로 기계 산업을 알리고 교류하는 전시 연출을 극대화 하였다. 기계 산업의 개발 제품 및 역사적인 과정을 여러 가지 전시 매체를 통하여 단계별로 경험할 수 있는 전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으며 관람자에게 공감할 수 있는 전시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결과) 기계 산업분야 전시관 디자인에 있어서는 기계 산업의 시간적 측면을 기준으로 기계 산업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방문자에게 새로운 전시공간의 공감을 도출해내는 전시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전시 프로그램에 있어 사례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종합 및 적용은 공감을 유도하는 새로운 전시 프로그램이며 새로운 기계분야 전시관이라 할 수 있었다. (결론) 기계분야 산업의 역사성과 산업적 측면에 대한 공감을 극대화하는 전시 프로그램 개발을 적용한 전시관 디자인은 한국기계연구원 방문자에게 새로운 기계 산업 분야의 관심과 중요성을 공감할 수 있게 하였고 기계분야 전시관 디자인에 있어서 기능과 미래 비전에 대한 내용을 공감시키고 교류할 수 있는 효과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essential part of the industrial sphere, the domestic machinery sector has become a standard of national competitiveness. Even though the domestic machinery industry was seen as small and petty in the past, it has now grown into an essential area as a representative export area of the state based on support and development at a national level. Currently, the domestic machinery industry forms part of a wider industrial infrastructure including small/medium companies and even large companies. Even though its creation of profits is higher than other industrial areas in the professional systematization – largely due to the limited domestic market in terms of economic potential since 2010 – it is facing the challenge of developing new products and also specializing in production targeting the world market. In this respect, aggressive promotion is urgently needed to pioneer markets for export industry targeting the global machinery sector based on the productivity basis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s/researches by the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which is the birthplace of research into the Korean machinery industry. The design of the exhibition hall that delivers new experiences to visitors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thus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hall design that is applicable to the differentiated and exhibition program is very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design the exhibition hall in the new machinery sector. (Method) Research into exhibition hall design in the machinery sector revealed the optimum design method to deliver the product development/process in the machinery industry to visitors, and also to maximize the contents confirming the future of machinery industry. By arousing empathy for the concept of exhibition, which could be perceived through the theme of each space based on diverse exhibition media, the representation of exhibition arousing the empathy for and informing the machinery industry was maximized. By creating a narrative of the machinery industry and enabling visitors to experience the products and historical process developed in the industry in phases through many exhibition media, the study applied a program to increase the connectivity of exhibition in order to arouse viewers’ empathy. (Results) With regard to exhibition hall design in the machinery industry sector, by presenting the future vision of machinery industry focusing on the factors necessary for exhibition based on the temporal aspect of the machinery industry, an exhibition program to draw visitors’ empathy for the new exhibition space could be carried out. In terms of the exhibition program, applying the program to a case study could reveal the result of empathy for new exhibition, which could maximize the delivery aspect of new machinery industry exhibition hall.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exhibition hall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program for maximizing the empathy for the industrial concept and historicity of machinery industry could arouse the interest in and empathy for the importance of new machinery industry sector among visitors to the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As the design of the machinery industry exhibition hall gives hope to the future vision an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machinery sector,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elements, an effect and result of this study is the creation of an exhibition hall design that could fulfill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위계, 기계, 연구분야, 전시관, 디자인
Hierarchy, Machine, Research Area, Exhibition Hal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