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의 발전과 사회 트렌드의 변화로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과 함께 화장품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두드러지는 경향은 심각한 환경문제인 미세먼지와 전자파노출 등 피부에 유해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코스메슈티컬이라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코스메슈티컬이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maceutial)을 합친 새로운 단어이다. 코스메슈티컬은 전문적인 피부 상담과 개선이 필요하므로 주로 에스테틱숍과 피부과 병원을 통해 판매하는 유통경로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고객과의 접점인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은 고객에게 치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여 브랜드 인지도 확보와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을 통해 고객을 확장하여 제품판매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의 에스테틱숍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에서 운영하는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므로, 먼저, 코스메슈티컬과 에스테틱의 의미와 공간구성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공간과 C브랜드 에스테틱숍에서 요구하는 공간을 접목하여 최종적으로 필요공간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C브랜드에 대한 기본조사로서 로고와 심벌 그리고 브랜드컬러 등 브랜드분석을 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실내공간에 접목할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각 공간별로 접목하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구성한다. (결과)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로비와 안정적인 심리로 에스테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에스테틱 공간으로 크게 구분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주로 보여주는 로비 공간에서는 브랜드이미지를 표현하는 시각적 아이템을 공간디자인으로 승화하여 입면에서 보여지는 시각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의 의도를 전달받을 수 있게 구성하였고 에스테틱 공간은 프라이버시가 확보되고 고객과 직원이 편안한 행동이 가능하도록 타입별 룸구성과 유동적인 파티션을 이용한 기능적인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코스메슈디컬을 판매하며 스킨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테틱숍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간디자인을 제안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과 편안한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기능적인 공간디자인 방향의 제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코스메슈디컬과 관련된 브랜드인지도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을 계획하는 데 있어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숍, 브랜드 이미지, 공간 디자인, 더마 코스메틱

참고문헌(8)open

  1. [인터넷자료] Yoon, Gyeongseon / Skinaris effect 'Derma cosmetics'

  2. [인터넷자료] Lee, Juhui / Confused Cosmeceuticals and Derma Cosmetics Endnotes

  3. [학위논문] 김성창 / 2013 / 에스테틱 스파의 실내디자인 경향과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4. [인터넷자료] Jo, Deukjin / Korea 'spa leader' Choi Mi-ae, CMA International representative

  5. [인터넷자료] Lee, Nari /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esthetic cosmetics and general cosmetics?

  6. [인터넷자료] Ahn Yongchan / Leading global trend leader K-Cosmetic next generation

  7. [학위논문] 임진호 / 2008 / 직장인을 위한 수면전문 스파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8. [인터넷자료] Kim, Dongchan / What is Cosmeceutical Cosm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