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에게 있어 일상 속 삶의 질에 관여하는 다양한 장소들 중 도시공간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어떻게 하면 도시공간을 통해 현대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지 생각해 본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배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간 중 현대인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지하철 역사 내부의 문화예술 공간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어메니티 관점에서 기존에 다발적으로 진행되던 개발 사례들을 살펴보고 관련된 공간디자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하철 역사 내부 공간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한 일부 사례들을 선정해 분석해봄으로써 향후 더 나은 도시 지하공간 개발의 방향을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도시 지하공간, 지하철 및 문화예술어메니티와 관련된 선행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관련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디자인 특성을 분석의 틀로 삼았고, 분석의 틀에 따라 지하철 역사 내부에 문화예술 공간이 조성된 대표적인 사례 5곳을 선정하였고, 현장 답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지하철 역사 내부에 조성된 문화예술 공간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사회성, 지역성, 문화성, 경제성, 심미성 등 5가지의 관련된 공간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종합 분석 결과, 첫째, 사회성의 세부요소 중 사회적 통합성의 경우 구현 정도가 상당히 미흡한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지역성 방면에서는 각각의 지하철역마다 지역의 특색을 잘 접목시켜 지역의 정체성을 잘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성 방면에서는 각각의 지하철역마다 지역의 문화적 이미지와 지하철역 내부의 문화예술 공간의 이미지를 잘 접목시켜 문화적 상징성을 잘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성 방면에서 정부 주도의 문화예술 공간 조성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심미성 방면에서는 기존의 지하철 역사 공간과 어울리도록 역사 내부가 잘 조성되어 있고 역사 외부와도 물리적, 심리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장 답사를 통해 지하철 역사 내부에 문화예술 공간의 조성 과정이나 그 이후의 활용에 있어서 시민의 참여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 수요성이 미흡했으며, 문화예술 공간을 조성하는 프로젝트가 주로 정부 주도하에 실시되는 점이 아쉬운 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향후 사회적 통합성의 구현,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문화예술 콘텐츠들을 활용한 이용자 수요 제고, 문화예술 공간 조성의 과정 및 그 이후의 이용에 있어서의 시민 참여도 제고 등이 향후 주요 연구과제로 전망된다.

키워드

서울지하철, 문화예술어메니티, 지하철 역사 내부 공간, 공간디자인, 도시 지하공간

참고문헌(9)open

  1. [학술대회] Jeon, Kyuchan / 2008 / A Cultural and Political Reading of Seoul Subway as a Public Space / Korea Broadcasting Association, Seminar and Report : 155 ~ 181

  2. [학술지] Jeon, Yeongok / 2003 / Amenity is an Urban competitiveness /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3

  3. [인터넷자료] Jung, Musung /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underprivileged through cultural welfare. CheongJu Council on Social Welfare

  4. [학술지] Kang, Kamchang / 2013 / A Proposal for Underground Development as 21st Century Future Space: Focused on Seoul Metro Underground Stations /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10 (2) : 36

  5. [보고서] Kim, Hyeonho / 2007 / Amenity-driven Regional Development : 7 ~ 8

  6. [학술지] 권민정 / 2013 /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해외박물관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 (4) : 333 ~ 342

  7. [학술지] 이채현 / 2014 / 지하철역의 공간적 특성이 역내 공연활동과 전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도시설계 15 (5) : 17 ~ 31

  8. [학술지] 이은미 / 2012 / 공공장소에서 진행되는 공연예술의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 서울광장공연을 중심으로 / 호텔경영학연구 21 (3) : 221 ~ 236

  9. [보고서] Lee, Jaekyoung / 2009 / A study on the methods to use the subway station as a cultural exhibition space - Focused on the 6 main cultural region in Seoul : 111 ~ 116